• Title/Summary/Keyword: 악취

Search Result 1,03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Evaluation of Odor Reduction in the Enclosed Pig Building Through Spraying Biological Additives (생물학적 첨가제 살포에 의한 밀폐형 돈사에서의 악취 저감 평가)

  • 김기연;최홍림;고한종;이용기;김치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48 no.3
    • /
    • pp.467-478
    • /
    • 2006
  • Maintenance of an optimal air quality in the enclosed pig building is potentially important in terms of pig performance and farmer health. The objective of this on-site experiment is to evaluate and compare efficiencies of currently utilized biological additives to reduce odor emissions from the enclosed pig building. As a result, generally all the additives except for salt water, artificial spice and essential oil were proved ineffective in reducing odor generation. The beneficial effects of salt water, artificial spice and essential oil on odor reduction were highlighted on ammonia, odor intensity and offensiveness, and sulfuric odorous compounds, respectively. To efficiently utilize odor masking agent such as the artificial spice, ventilation rate should keep slightly lower than the optimal level. Essential oil functioned well as not only masking agent but also antimicrobial agent for reducing odor. To precisely quantify odor concentration, it should be measured by not the odor sensor but the olfactometry technique.

Characterization of Odorous Elements from Emission Sources in Chungju (충주시 악취발생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악취원인물질 특성 분석)

  • Cho, Byung-Yeol;Jo, Young-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0 no.4
    • /
    • pp.415-422
    • /
    • 2008
  •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ous compounds discharged from the major environmental treatment facilities in Chungju were closely investigated by an ammonia passive sampler and by analyzing a questionnaire of the public complains. Amongst the four major emission sources, the manure treatment facility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The major components were sulfur compounds including H$_2$S, tri-methyl amine, and aldehydes. The foodwaste treatment processes releases sulfur compounds and aldehydes. Municipal waste water treatment facility emits a high concentration of acetaldehyde.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odor level depends on the meteorological condition, and the odor intensity was higher at midnight than daytim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dor Emitted from Swine Facilities (양돈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특성에 관한 연구)

  • Kim, Jae Hyuck;Yoo, Kyung Seun;Oh, Je Beom;Jung, Ju 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4 no.7
    • /
    • pp.439-444
    • /
    • 2012
  • W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odor emitted from 40 swine facilities across the country under various conditions like rearing densities, management style, ventilation system and swine manure handling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olfactory and analytical evaluation. Odor concentrations (D/T) measured from swine facilities were respectively an average 4,055 D/T at liquid manure storage tanks on aeration, an average 913 D/T at slurry manure storage, an average 506 D/T at finishing swine facilities and an average 201 D/T at composting facilities. The higher rearing densities and slurry accumulation volume in finishing swine house, the more odor concentration (D/T) was increased. But The odor concentration (D/T) in finishing swine hous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pplication of microbial additives. 9 odor compounds ($NH_3$, $H_2S$, MM, DMS, DMDS, PA, n-BA, n-VA, i-VA) were detected at swine facilities and the main odor compounds were volatile sulfur compounds such as $H_2S$, MM and volatile fatty acids compounds such as n-BA, n-VA, i-VA. 97.5% of swine farms surveyed in this study is located within 300 m of residential area and it is easy to bring odor complaints.

Emission Characteristic and Analysis of TMA from Municipal Solid Waste Landfill Sites (생활폐기물 매립장에서 발생되는 트리메틸아민의 분석 및 배출 특성)

  • 전의찬;이성호;사재환;박종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49-350
    • /
    • 2003
  • 악취의 배출원은 제지공장, 정유공장, 화학공장 등과 같이 다양한 산업시설과 축사, 음식물 처리시설, 하ㆍ폐수처리장, 분뇨처리장, 생활폐기물 매립장 등의 생활악취시설로 구분할 수 있다. 산업시설의 경우, 악취배출시설에 대한 감시와 관리가 강화되었으나, 생활악취 배출시설의 경우 생활 주변에 광범위하게 자리 잡고 있어 효율적인 악취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악취 민원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생활폐기물 매립장의 경우 차폐시설을 설치할 수 없어, 지형적인 영향과 기상조건 및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악취의 발생 특성까지 고려해야 하므로 관리가 더욱 어렵다. (중략)

  • PDF

작업환경중 황화합물계 악취제거에 적합한 첨착흡착제 의 흡착특성

  • 유승협;김기환;신창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384-389
    • /
    • 2000
  • 각종 공장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 중 악취물질은 작업환경을 나쁘게 하고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고 있으며, 외부로 방출될 경우 공장 혹은 주택지까지 이동하여 지역주민의 민원의 요인이 되고 있다. 악취는 사람의 관능에 따라 즉시 폐해를 주며, 특히 황화수소와 메틸메르캅탑은 아주 적은 농도에서도 악취를 발생시키고, 그 자극이 메스꺼움, 두통, 식욕감퇴, 호흡곤란 및 알레르기 현상 등의 인체의 자각반응을 나타내므로 이들 악취물질들의 제거는 필수적이라 하겠다.(중략)

  • PDF

Removal of $H_2$S and $CH_3$SH on Pilot scale experiment in the odor mixture at workplace (Pilot scale에서 작업장내 혼합악취중 황화수소와 메틸머캡탄의 제거)

  • 최봉각;김기환;신창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8.11a
    • /
    • pp.73-76
    • /
    • 1998
  • 악취 물질은 주로 피혁공장, 화학공장, 유지공장, 슬러지처리장 등에서 발생하며 작업장 내의 근로자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주민들에게 정신적인 불쾌감을 주는 동시에 인체에 매우 유해한 물질들이다. 이들 악취물질중 유황화합물질로는 황화수소, 머켑탄류가 있으며 아주 적은 농도에서도 악취를 느낄 수 있고 자극이 매우 심하다. 특히, 황화수소와 메틸머켑탄은 거의 모든 악취의 주요 원인물질로서 작업현장 내에 혼합물질로 존재하며, 쾌적한 작업환경을 위해서는 이들의 처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중략)

  • PDF

Analysis of Odorous Compounds by Thermal Adsorption/Desorption and GC/MSD (흡착/열 탈착과 GC/MSD를 이용한 악취 성분의 분석)

  • 김난주;양성봉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378-379
    • /
    • 1999
  • 최근 전국 각지에서 악취의 민원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책 수립을 위해 악취 원인의 규명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산업체가 밀집하고 있어서 발생원이 명확하지 않을 때 악취의 원인 성분의 규명은 발생원의 수색이나 증거로서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탈취장치의 성능평가에 있어서는 악취의 성분분석은 필수적인 기술이라 하겠다.(중략)

  • PDF

A Fundamental Experiment of Odor Unit Estimation for Water-body Diffuse Odor (수체발산 악취물질 악취단위 산정에 관한 기초실험)

  • 김학민;이범진;김선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115-116
    • /
    • 1999
  • 대기 중으로 발산되어 인간의 감각기관을 자극함으로써 불쾌감을 유발하고 집중력을 저하시키는 등 일상생활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악취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취기를 감지할 수 있는 최저농도를 평가하는 감지역취(Threshold)의 결정, 냄새가 얼마나 강한가를 평가하는 악취강도(Odor Intensity) 측정, 냄새의 종류를 판단하는 냄새 질(Odor Quality) 판정 등 악취의 성질을 표현하는 여러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중략)

  • PDF

The Methodology for Odor Emissions Estimate from Waste Incinerator Using Indirect Olfactometry (폐기물 소각시설의 공기희석관능법에 의한 악취배출량 산정 방법 연구)

  • 김선태;박민수;전의찬;김덕현;홍지형;유병대;사재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61-162
    • /
    • 2003
  • 악취현상은 더 이상 대기오염물질에 한 형태가 아니며 또다른 하나의 감각공해라는 개념이 점차 확산되면서 악취에 대한 관심이 점차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악취현상의 규명이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도 충분한 근거를 제공받지 못하는 데에는 첫째, 대기환경 중에 악취물질은 약 40만종 이상이며, 각 물질의 최소감지 농도(threshold:역치) 값 자체가 수ppm∼수ppb 이하 수준이므로 물질농도를 정확히 규명하는 데에는 물질 고유의 특성과 더불어 상당한 수준의 기술과 장비가 요구된다. (중략)

  • PDF

Discussion on the application of odor sensor for the estimation of odor unit concentration (악취농도단위 산정을 위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 고찰)

  • 김학민;김선태;김덕현;전의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4a
    • /
    • pp.209-210
    • /
    • 2002
  • 감각적인 불쾌감을 야기하는 악취물질의 종류는 다양하며,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감각기관을 자극할 뿐 아니라 물질간 반응이 복잡한 특징을 갖고있어 화학성분분석법과 함께 감각적인 자극수준을 평가하는 관능측정법을 병행하여 악취현상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게 된다 특히 매립지 등의 환경기초시설이 운영됨에 따라 나타나는 악취현상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대기확산모델의 운영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악취배출량 자료의 구축이 필요하게 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