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동 중재

검색결과 464건 처리시간 0.026초

인권 침해와 관련한 게임 기반 스크립트 중재가 초등 장애아동의 자기옹호 언어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e-Based Self-Advocacy Script Intervention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유서현;권정민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61-17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권 침해와 관련한 게임 기반 스크립트 중재가 초등 장애아동의 언어적 행동적 자기옹호의 습득과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지적장애 초등학생 4명을 대상으로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여 게임에 기반한 스크립트 중재를 실시한 결과, 도움 요청하기, 의사표현, 폭력의 대응하기의 영역에서 연구 참여자 모두 언어적 자기옹호와 행동적 자기옹호의 긍정적 향상이 나타났으며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또한 네 학생 모두 행동적 자기옹호보다 언어적 자기옹호에 있어 더 높은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자기 결정의 하위 요소로만 다루어지던 자기옹호에 대해 인권 요소와 침해 사례를 기반으로 독립적인 자기옹호의 프로그램을 구조화하였다는 점에서 후속 연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래상담자를 활용한 멘토활동이 학급역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entor Activities by Peercounselors on Classroom Dynamic)

  • 안이환
    • 초등상담연구
    • /
    • 제7권2호
    • /
    • pp.169-180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최소의 시간으로 또래상담자를 양성하고 이들을 배척아동에 대한 멘토로 활용하여 배척아동의 사회적지위를 향상시키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멘토아동 5명이 배척아동 5명을 대상으로 번갈아가면서 멘토역할을 수행했지만 배척아동의 사회적지위는 거의 변화되지 않았다. 더욱이 멘토로 활동한 아동들마저 사회적지위 유형이 하락하여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달성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멘토활동과 같은 학급집단내 촉진적 활동은 학급아동의 개인선택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여자아동보다 남자아동이 뚜렷하였다. 여자아동들은 학급집단의 촉진적 활동과는 다소 무관하게 자기들 나름데로 고유한 변화와 방향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초등학교 5학년 수준의 아동은 성별간에 학급역동이 서로 다를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성별에 따른 학급역동의 차이와 행렬표에 나타난 선택 및 배척의 방향을 종합해 볼 때, 사회성측정은 동성간지명을 사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의 전체적 결과로 볼 때 배척아동에 대한 개인문제별 처치접근과 담임교사가 교과와 연계한 배척아동의 중재방법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 PDF

모의 양육행동 및 양육 스트레스와 K-BSID-II 수행간의 관계 : 양육 스트레스의 중재효과 탐색 (Relationships among Maternal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Stress and Performance on the K-BSID-II :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 김말경;박혜원
    • 아동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43-255
    • /
    • 2008
  • This study analyzed relations among maternal parenting behavior, infant development and parenting stres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Subjects were 30 infants and their mothers. After videotaping the mother-infant free play session, maternal parenting was analyzed by the Parent Child Interaction Play Assessment(Mash & Terdal, 1981);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measured by questionnaire. Infant development was measured individually by the Korean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 (K-BSID-II). Correlation analyses revealed that infant cognitive development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ttention) but the relation between them was moderated by maternal parenting stress; only the low parenting stress group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infant development.

  • PDF

집단괴롭힘 피해경험과 가해행동의 관계에 대한 개인내적 중재변인 탐색 (Intrapersonal Moderating Variabl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s of Victimization and Bullying Behavior)

  • 조유진
    • 아동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215-22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angerous routes by which the experience of victimization leads to bullying behavior and to clarify the intrapersonal moderating variables which control the routes. Subjects were 1,086 studen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ata were analyzed by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that (1) the experience of victimization was an important factor predicting bullying behavior; and (2) self esteem and internal locus of control were moderating variables between the experience of victimization and bullying behavior. This study provides effective information to protect students from bullying by finding some moderating variables.

  • PDF

부적응 행동 유아를 위한 정서중재 프로그램 개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n Emotional Intervention Program for Maladaptive Preschoolers)

  • 신혜원;송혜린
    • 아동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7-9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d evaluate an emotional intervention program for maladaptive preschoolers. The emotional intervention program focused on nurturing the ability to express emotions in healthy ways and how to empathize with others while the preschoolers perceives negative emotion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nineteen preschoolers, residing in S city. Nineteen subjec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practicing an emotional intervention program. The preschoolers participated in 8-session programs once a week over the course of eight weeks.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osttests and pretests results. The results showed a decrease in maladaptive preschooler's problematic behaviors and aggressive strategies. The maladaptive preschoolers showed more representations of anxiety, avoidance/withdrawal, and deregulated/aggression. In addition the results also showed a decrease in preschooler's representations of anxiety, avoidance/withdrawal, and deregulated/aggression.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중재 문헌 내 사회적 의사소통 측정 도구 분석 (Analysis of Social Communication Measurement in the Music Therapy Intervention Literature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유가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3권1호
    • /
    • pp.61-87
    • /
    • 2016
  •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은 사회적 의사소통 발달에 있어 넓은 범주의 개별적 변이성을 보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중재 개입 시 효과적인 전략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사회적 의사소통 평가도구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 중재 문헌 내에서 사용된 사회적 의사소통 측정 도구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전자데이터베이스 및 음악치료 학술지 검색을 통해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을 변인으로 한 중재 연구 중 1980년에서 2015년까지 출간된 통제된 디자인의 연구가 검색되었고, 최종 분석에는 21개의 연구가 포함되었다. 분석 결과, 측정 도구 유형으로는 행동 직접 관찰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측정 도구 유형과 그에 따른 목표 영역 간 조합에 있어 변이성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선정된 연구 중 90.4%를 차지하는 연구에서 측정 도구 사용의 적절성 검증을 위한 평가자 간 신뢰도가 보고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치료 중재문헌 내에서 객관적, 체계적 평가 시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동일 기능 수준에 접근하는 개별 연구 간 평가 방안 및 전략에 있어 일관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한 임상근거 도출에 제한이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자폐범주성장애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하여, 사회적 의사소통 평가 시 전반적 기능 수준 변화뿐만 아니라 특정한 행동 습득, 사회 인지 수준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자기점검기법이 아동의 수업 방해 행동 및 수업 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on the Class Obstacle Behaviors and Participation Behaviors of Children)

  • 이민정;황순자
    • 초등상담연구
    • /
    • 제9권1호
    • /
    • pp.75-94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행동의 개선을 위하여 수업행동을 수업 방해 행동과 수업 참여 행동으로 구분하고, 자기점검기법이 대상 아동들의 수업 방해 행동과 수업 참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자기점검기법이 아동의 수업 방해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자기점검기법이 아동의 수업 참여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가설은 1. 자기점검기법은 아동의 수업방해행동을 감소시킬 것이다. 2. 자기점검 기법은 아동의 수업참여행동을 증가시킬 것이다로 세웠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하는 A초등학교 4학년 $\circledcirc$반 일반 학급 아동 12명으로 이는 기초선 기간의 행동측정 결과 수업 방해 행동 비율이 높은 8명과 수업 참여 행동 비율이 낮은 8명을 선정하였고, 양 쪽 그룹 모두에 속하는 아동이 4명이다. 이들의 사전 행동 관찰을 거쳐 개별적으로 수업 방해 행동 및 수업 참여 행동의 목표 행동을 설정하도록 하고, 기초선 1 기간 동안 각 행동의 빈도를 연구자가 두 명의 관찰자와 함께 측정하였다. 이후 중재 1 기간 동안 자기점검기법이 적용되었고, 아동 행동변화의 효과가 자기점검기법임을 밝히기 위하여 기초선 2 기간을 가졌다. 이후 중재 2 기간 동안 다시 자기점검기법이 실시되었으며, 10일 후 유지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후 점검을 실시하였다. 개별 아동의 행동 발생 빈도를 변화 그래프를 이용하여 나타냈으며, 양적 결과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대상 아동들의 사후 소감문을 분석하였고, 연구자의 관찰내용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자기점검기법은 아동의 수업 방해 행동의 감소와 변화된 행동의 유지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점검기법은 아동의 수업 참여 행동의 증가와 변화된 행동의 유지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학령기 빈곤가정 아동의 비만도와 문제행동 양상 (A Study on Obesity and Behavior Problems in Elementary Children Living in Poverty)

  • 조경미;김은주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140-148
    • /
    • 2013
  • 목적 연구의 목적은 빈곤가정아동의 문제행동과 비만도의 발생양상을 밝히고 그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방법 인천지역 22개의 지역아동센터의 차상위계층과 기초생활수급자 가정의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197명을 대상으로 신체검진과, 아동이 직접 아동문제행동검사(K-BASC2)를 수행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17.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Mann-Whitney test, Kruskal-Wallis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신체계측결과 중등도이상비만이 9.6%이었다. 문제행동에서는 내면화문제의 위험군이상은 8.6%, 주의력결핍/과잉행동문제 위험군 이상은 22.8%, 학교문제의 위험군은 33.8%, 적응기술에서 49%가 위험군 이상이었다. 이는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우리나라 전국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정서행동선별검사보다 매우 높은 비율이었다. 성별에 따른 문제행동의 결과는 모든 영역에서 남학생에서 높은 비율이었다. 비만도에 따른 문제행동의 결과는 학교문제와 정서지표에서 비만도 그룹간 차이가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빈곤가정아동을 대상으로 현재의 학교 체계 안에서 이루어지는 검진시스템보다 더 자주, 주기적으로 점검되어야 하며, 특히 정신, 행동문제의 조기발견과 심각한 질환으로 발전하기 전에 아동 일대일 맞춤치료와 지속적인 상담, 간호중재가 절실히 필요하다. 특히 빈곤가정의 비만한 아동은 정신건강의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만큼, 이 아동들을 질병발생의 위험군으로 선정하고 조기발견, 예방중재, 치료적 상담의 시스템을 아동에게 적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가 양육기술과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메타분석 (Effects of 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y on Parenting Skill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s: Meta-Analysis)

  • 박민경;박아름;유두한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50-63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가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기술과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메타분석으로 검증하여 중재 방법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07년 1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출판된 연구 중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부모-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을 사용한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논문 검색은 PubMed, CINAHL, EBSCOhost, Science Direct를 이용하였고, 이차적으로 검색논문의 참고문헌을 추가 검색하였다. 총 7편의 연구가 선정기준에 적합하였고, 최종 논문에 대해 Jadad scale를 이용하여 질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R-meta 분석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적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의 양육기술 효과크기는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양육 스트레스 효과크기는 중간크기를 나타냈다. 아동의 문제행동 또한 중간 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모든 p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결론 : 본 연구는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가 부모의 양육기술과, 양육 스트레스,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앞으로 아동작업치료에서 가족참여 중재에 대한 근거 마련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 아동비만 중재연구의 동향 분석 (Trends in Intervention Study for Childhood Obesity in Korea)

  • 박지영;마현희;이유나;오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81-90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rends in intervention studies on childhood obesity in Korea. Methods: From 1996, when the first research paper on childhood obesity intervention was published, to 2015, 192 published paper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The number of studies increased sharply between 1996 and 2007, but declined slightly from then. The majority of studies involved only children as intervention participants. Most were elementary students, and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Exercise therapy was the most common type of intervention. Parental participation was found in 35 studies, while teacher's participation was found in only one study. In many studies physiological indicators were used as measurement variables, but follow-up was done in only 10 studies. Finally, only a few studies applied a conceptual framework, while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was used for most studies. Conclusion: Examination of trends in intervention studies on childhood obesity in Korea, shows there has been a quantitative increase but not enough improvement in terms of the quality of interventions. Findings in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eek diversity in terms of study participants, interventions and evaluation method along with quality improvement in research method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