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Mentor Activities by Peercounselors on Classroom Dynamic

또래상담자를 활용한 멘토활동이 학급역동에 미치는 효과

  • Published : 2008.10.1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in peercounselors within the minimum period and use them as mentors for rejected children in order to raise the social status of those children. To do so, five mentors were assigned to five rejected children but their social statu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Not only that, even the social status of the mentors was decreased so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achieved. However, the activities in the class such as the mentor activity increased the choices that students can get. These changes were definite in the male student groups rather in female student groups. Female students had their own way of change and direction regardless of the class activities.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5th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 have different classroom dynamics according to their genders. The different classroom dynamic by genders and the choice and direction of rejection shown in the matrix table indicate that it is proper to use same-sex peer nomination for sociometry.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raise the necessity for further studies regarding individual approaches for rejected children and the intervention methods that teachers use for those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최소의 시간으로 또래상담자를 양성하고 이들을 배척아동에 대한 멘토로 활용하여 배척아동의 사회적지위를 향상시키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멘토아동 5명이 배척아동 5명을 대상으로 번갈아가면서 멘토역할을 수행했지만 배척아동의 사회적지위는 거의 변화되지 않았다. 더욱이 멘토로 활동한 아동들마저 사회적지위 유형이 하락하여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달성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멘토활동과 같은 학급집단내 촉진적 활동은 학급아동의 개인선택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여자아동보다 남자아동이 뚜렷하였다. 여자아동들은 학급집단의 촉진적 활동과는 다소 무관하게 자기들 나름데로 고유한 변화와 방향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초등학교 5학년 수준의 아동은 성별간에 학급역동이 서로 다를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성별에 따른 학급역동의 차이와 행렬표에 나타난 선택 및 배척의 방향을 종합해 볼 때, 사회성측정은 동성간지명을 사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의 전체적 결과로 볼 때 배척아동에 대한 개인문제별 처치접근과 담임교사가 교과와 연계한 배척아동의 중재방법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