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동의 정서행동문제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8초

지원 양육조모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대처, 양육 행동에 대한 연구 -주 양육모, 부분 양육모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Coping, Parental behavior In Partial Caregiving-Grandmothers -Comparing with Caregiving-mothers-)

  • 이지연;김원경;정경미
    • 한국노년학
    • /
    • 제29권2호
    • /
    • pp.441-45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손자녀의 양육을 지원하는 지원 양육조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그의 예언변수들을 탐색하고 이를 양육모집단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낮시간 동안 아동을 돌보는 할머니 152명(지원 양육조모)과 그 아동의 어머니 152명(부분 양육모), 낮시간 동안 아동을 돌보는 어머니 157명(주 양육모)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양육행동, 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지원 양육조모는 주 양육모와 부분 양육모에 비해 유의하게 우울하였으나 양육 스트레스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원 양육조모는 주 양육모보다 사회적 지지와 문제 중심 대처 능력이 뚜렷이 낮아 스트레스에 가용한 자원이 취약함을 시사하였다. 양육스트레스를 설명하는 예언변수로 양육행동(과잉반응성, 방임성), 스트레스 대처(문제 중심 대처 및 정서 중심 대처), 사회적 지지, 우울의 설명량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탐색하였다. 지원 양육조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설명하는 변수는 과잉 반응성, 우울이었다. 주 양육모도 과잉반응성과 우울이 양육 스트레스의 유의한 예언 변수였고, 정서 중심 대처도 예언 변수로 나타났다. 한편, 부분 양육모는 사회적 지지, 우울, 과잉 반응성이 양육 스트레스의 유의한 예언 변수로 나타나 낮시간 양육 집단과는 차이를 보였다. 우울이나 자원의 측면에서 조모 집단과 모집단의 차이를 논의하고, 예언 변수를 중심으로 양육 집단과 비양육 집단의 차이, 조모 집단과 모집단 간의 차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집단 미술치료가 피학대 아동의 우울 및 불안, 자기상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과 미술치료학의 융복합적관점 (An effect of the group art-therapy on abused children's depression, anxiety, self image -Children's Art Therapy Department of complex convergence perspective)

  • 이숙민;송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291-301
    • /
    • 2015
  • 본 연구는 피학대 아동을 위한 중재방법으로 미술치료를 실시하였으며 미술치료전문가와 아동학전문가가 공동으로 참여하여 미술활동이 아동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00시 00그룹 홈 초등학생 4명으로 2013년 9월부터 2014년 8월까지 주 1회 60분간 48회기 적용하였다. 미술치료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매 회기마다 치료적 목표와 함께 대상자들의 정서적 반응과 태도 행동들을 기록하였고 행동변화에 대한 타당도검증을 위해 CDI, TAIC, SAIC, 자아상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척도는 사전측정(2013년 9월)과 사후측정(2014년8월)하였다. 척도의 신뢰도검사를 위해 SPSS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대받은 아동들은 작품에서 그들의 정서상태를 표현했고 행동이 변화하였고 친구관계가 향상되었다. 둘째, CDI, STAIC(TAIC, SAIC)서 우울과 불안에 대한 사후검사결과가 사전 검사결과보다 낮았다. 셋째, 자아상 검사결과 사후검사결과가 사전검사결과보다 높았다. 즉 아동들은 충동적 행동이 감소했고 가족, 친구들과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였다. 위탁양육자는 아동들을 잘 이해할 수 있었고 그래서 양육의 어려움이 감소하였다.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아동의 정서, 행동에 미치는 임상효과 (The Clinical Effect of School Sand Play Group Counseling on Child Emotion and Behavior)

  • 곽현정;안운경;한길자;임명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54-61
    • /
    • 2018
  •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아동의 정서 및 행동에 미치는 임상적인 효과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bigcirc}{\bigcirc}$시에 소재한 초등학교의 4-6학년 학생 113명을 대상으로 2015년 3월부터 7월까지 12주간 10회기의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을 시행하였다. 소그룹은 아동 10명-16명으로 구성되었으며, 회기는 Baseline 평가, 치료 10회기, 사후 평가회기 등 총 12회기로 구성되었다. 대상군은 남아 56명(49.6%), 여아 57명(50.4%)이었으며, 평가도구로는 역학 설문지와 한국아동청소년인성검사(Korea Child & Youth Personality Test, KCYP)를 Baseline 시점과 치료 후에 각각 평가하였다. 12주의 모래놀이 시행전후에서 KCYP의 임상척도 및 세부평가척도 점수를 각각 비교한 결과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 후 초등학생의 자존감이 향상되었으며 우울증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은 초등학생의 정서적 문제뿐만 아니라 자존감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롤플레잉게임 형식을 활용한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행복감과 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arrative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Role-Playing Game Format on Happiness and Negative Emotions in Children)

  • 김보경;배성훈;정은정;황순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271-284
    • /
    • 2018
  • 본 연구는 RPG(Role Playing Game) 형식을 활용한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행복감과 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정신건강증진센터 및 초등학교에서 정서 및 행동 문제로 의뢰된 30명의 아동으로, 각 15명씩 처치집단과 대조집단에 무작위 배정하였고, 처치집단에는 8주간 주당 1회기(60분), 총 8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처치집단의 우울, 상태불안, 특성불안이 대조집단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행복감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프로그램 종료 20일 후 재측정 시에도 유지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RPG형식을 활용한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키고, 행복감을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내면화·외현화문제행동 관련변인들 간의 인과적 구조분석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Related Variables of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 문대근;문수백
    • 아동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9-6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ed variables of children's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of problems. A total of 709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iding in Daegu City and Kyungpook province completed questionnaires which assessed family interaction functions, emotional regulation, self-control, and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of problems.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using AMOS 19.0, and a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SRMS,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the function of family interac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internalization of problems. Moreover, emotional regulation, self-control and internalization of problems had a statistically substantial direct effect on the externalization of problems. Second, family interaction function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on children's externalization of problems, although it may well have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externalization of problems through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control. Finally, self-control did not enjoy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internalization of problems.

유아의 성, 연령, 정서행동문제 수준에 따른 유아기 두려움 목록 분석 (Analysis of the Fear Inventory by Preschoolers' Sex, Age, and Degree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 구미향
    • 아동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5-6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preschoolers' perceptions of fear from their own perspective. Qualitative data from 213 preschoolers 4 to 6 years of age were obtained by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fear inventory was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and frequency. The most common fears of preschoolers in this study were fear of ferocious animals and imaginary figures, such as tigers, lions, snakes, spirits and ghosts. Fear of ghosts was the primary fear of both boys and girls. Results showed that most fears were caused by disgust-related visual images. Worry about injury and pain was another common pathway to fear. At-risk preschooler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preschoolers on fears of criticism and getting an injection.

  • PDF

초등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에 따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문제행동의 구조적 분석 (An analysis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Child Communication and Child's problematic behavior Depending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a Sport activity after School class)

  • 장봉우;김재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347-353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청주 C지역 초등 5-6학년 189명을 유층표집 하여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문제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것이었다. SPSS 18.0을 이용한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방과후 스포츠 활동에 참여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을 개선(성취동기, 자신감, 자긍심 등)시키고, 문제행동(우울, 불안, 반항, 공격성 등)을 감소시켰으며,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부정적인 소통(핀잔, 잔소리, 힐책 등)은 줄어든 반면, 문제행동 감소에도 영향을 주었다. 향후 아동의 정서적 인간적으로 제기되는 심리적 탄력성 신장을 위해서는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의 가치를 종목별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이에 대한 유효성을 지속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아동의 문제 특성에 따른 상담치료환경에 대한 요구 (The Children's Needs for the Child Psychiatric Therapy Environment as to the Type of Problem)

  • 박수빈;김소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321-33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how the interior of the child psychiatric therapy Environment should be designed according to different problems that children have.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with a literature review and an empirical survey.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100 children, 58 male and 42 female, who were using child psychiatric therapy centers located in Busan. Findings are as follows: (1) Children with behavior problem($C_b$)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atistaction with the entrance and the information in a given child psychiatric therapy space than children with emotional problem ($C_e$) did. (2) Spatial attitude of $C_e$ and $C_b$ were significantly differed. (3) Colors that were being preferred by $C_e$ were cold colors, for example, blue and indigo. While, $C_b$ were preferring warm colors such as red and yellow. (4) There was difference in the image of a entrance and classrooms at the child psychiatric therapy center that children had in mind, the two groups of children were quite differently feeling about the size and noise of the therapy space.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방식 관련요인 (Correlates of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 정윤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23-3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1) how mothers generally react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2) whether there wer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3) whether there wer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and their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4) whether there wer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5) whether there wer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were 246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It was found that emotion-focused socialization and problem-focused socialization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reactions by mothers to cope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those between mothers'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and their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those between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those between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y were all partially significant. Sex differences were found in some of the relationships found significant.

ADHD 진단에서 K-CBCL 6-18의 임상적 유용성 -아동복지시설 심리장애 아동에의 적용- (The clinical utility of K-CBCL 6-18 in diagnosing ADHD -focused on children with psychological disorders in child welfare institution-)

  • 김상아;하은혜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6호
    • /
    • pp.253-28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복지시설에 거주하는 심리장애 아동의 ADHD를 진단하는 데 있어 K-CBCL 6-18 주의력 관련 지표의 임상적 유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3-2014 아동복지시설 아동 치료 재활 지원 시범 사업'에 참여하였던 심리장애 초등학생 509명이다. 그들에게 치료 전 실시하였던 사전 심리 검사 자료 중 K-ARS와 K-CBCL 6-18의 5가지 주의력 관련 지표인 문제행동총점, 외현화총점, 주의집중문제, 공격행동, DSM ADHD 척도만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K-ARS와 K-CBCL 6-18의 주의력 관련 지표와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K-ARS를 기준으로 대상 아동을 ADHD집단(n=334)과 비ADHD집단(n=175)으로 나누어 K-CBCL 6-18 주의력 관련 지표의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한 결과, 5가지 지표 모두 ADHD집단의 평균이 유의하게 높았다. K-CBCL 6-18 주의력 관련 지표의 임상적 절단점 64T, 70T를 기준으로 산출한 분류적중률은 모든 지표에서 60-70%의 백분율을 나타냈으며 문제행동총점과 외현화 총점 척도의 민감도가 높았고 주의집중문제와 DSM ADHD, 공격행동 척도의 특이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종합심리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ADHD집단(n=95)과 정서장애집단(n=30)을 나누어 K-CBCL 6-18 주의력 관련 지표의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한 결과, 주의집중문제 척도와 DSM ADHD 척도에서 ADHD 집단이 정서 장애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임상적 절단점 70T를 기준으로 산출한 두 척도의 분류적중률은 약 55%의 비슷한 값을 나타냈으며 두 척도 모두 민감도가 낮고 특이도가 높았다. 종합적으로 K-CBCL 6-18 주의력 관련 지표는 ADHD를 변별해내는 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DSM ADHD 척도가 주의집중척도와 함께 임상 집단 내에서 ADHD 진단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복지시설과 같이 여러 검사 도구를 통한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환경에서 ADHD 진단 능력이 높은 척도를 규명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