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linical Effect of School Sand Play Group Counseling on Child Emotion and Behavior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아동의 정서, 행동에 미치는 임상효과

  • 곽현정 (단국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맑은마음 상담센터) ;
  • 안운경 (단국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맑은마음 상담센터) ;
  • 한길자 (충남교육청) ;
  • 임명호 (단국대학교 공공인재대학 심리학과)
  • Received : 2018.08.07
  • Accepted : 2018.11.12
  • Published : 2018.12.28

Abstract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clinical effects of school sandplay group counseling on the emotions and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method of survey is to consult 113 students in the 4th - 6th grade of ${\bigcirc}{\bigcirc}$ elementary school for 10 weeks from March to July 2015. The small group consisted of 10 to 16 children, with one principal counselor and three or four assistant counselors participating, with 40 minutes of treatment, and a total of 12 follow-up sessions, including the Baseline assessment and treatment sessions. It was conducted to 56 male(49.6%) and 57 female(50.4%) students with questionnaires for their sex and age, assessing KCYP results at the point of baseline and post-therapeutic condition. A comparison of the clinical and detailed assessment scale scores of KCYP before and after 12 weeks of Sandplay resulted in a significant effects in improved and reduced symptoms depres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 the school sandplay group counseling. School sandplay group counseling is thought to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otional problems and self-esteem.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아동의 정서 및 행동에 미치는 임상적인 효과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bigcirc}{\bigcirc}$시에 소재한 초등학교의 4-6학년 학생 113명을 대상으로 2015년 3월부터 7월까지 12주간 10회기의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을 시행하였다. 소그룹은 아동 10명-16명으로 구성되었으며, 회기는 Baseline 평가, 치료 10회기, 사후 평가회기 등 총 12회기로 구성되었다. 대상군은 남아 56명(49.6%), 여아 57명(50.4%)이었으며, 평가도구로는 역학 설문지와 한국아동청소년인성검사(Korea Child & Youth Personality Test, KCYP)를 Baseline 시점과 치료 후에 각각 평가하였다. 12주의 모래놀이 시행전후에서 KCYP의 임상척도 및 세부평가척도 점수를 각각 비교한 결과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 후 초등학생의 자존감이 향상되었으며 우울증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은 초등학생의 정서적 문제뿐만 아니라 자존감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표 1. 대상군의 역학적 특성

CCTHCV_2018_v18n12_54_t0001.png 이미지

표 2.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의 진행과정 및 구성

CCTHCV_2018_v18n12_54_t0002.png 이미지

표 3. 모래놀이 사전 사후 임상척도 변화 KCYP

CCTHCV_2018_v18n12_54_t0003.png 이미지

References

  1. R. R. Mitchell and H. S. Friedman, Sandplay past, present and future, Routledge Press, 1994.
  2. B. R. Boik and E. A. Goodwin, 모래놀이치료, 학지사, 2016.
  3. M. H. Wang, "Group sandtray therapy at school with preadolescents identified wit behavioral difficulties," The Journal for Specialists in Group Work, Vol.32, No.4, pp.362-382, 2007. https://doi.org/10.1080/01933920701476706
  4. M. A. Campbell, "Value of Sandplay as a Therapeutic Tool for School Guidanc Counsellors," Australian Journal of Guidance and Counselling, Vol.14, No.2, pp.211-232, 2004. https://doi.org/10.1017/S103729110000251X
  5. M. A. Dale and W. J. Lyddon, "Sandplay: A constructivist strategy for assessment and change," Journal of Constructivist Psychology, Vol.13, pp.135-154, 2000. https://doi.org/10.1080/107205300265928
  6. U.S. Public Health Service,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s conference on children's mental health: A national action agenda," U.S. Public Health Service, 2000.
  7. T. Kestly, Group sandplay in elementary schools, In A. A. Drewes, L. J. Carey, and C. E. Schaefer (Eds.), School-based play therapy, John Wiley & Sons, pp.329-349, 2001.
  8. J. Allan and P. Berry, "Sandplay," Elementary School Guidance and Counseling, No.21, pp.300-306, 1987.
  9. 곽현정,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아동의 정서, 행동에 미치는 임상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0. J. Y. Christine, "The Use of Sandplay Therapy in Urban Elementary Schools as a Crisis Response to the World Trade Center Attacks," Psychology Research, Vol.5, No.7, pp.413-427, 2015.
  11. 이효선, 집단모래놀이치료가 이혼가정 아동의 또래관계기술 증진과 행동문제 감소에 미치는 효과,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2. 유승은, "집단모래놀이치료가 아동의 불안감소와 자아탄력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 연구, 제14권, 제1호, pp.67-88, 2010.
  13. 김금란, 구조화된 집단모래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 지각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4. 박지영, 집단모래놀이치료가 아동의 사회불안과 자아강도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5. 문미쁨, 집단모래놀이치료가 장애아동 형제의 스트레스와 우울,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6. L. Carey, "Sandplay therapy with a troubled child," The Arts in Psychotherapy, Vol.17, pp.197-209, 1990. https://doi.org/10.1016/0197-4556(90)90002-8
  17. 김미라, 의사소통 모래상자 놀이가 ADHD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8. 한지혜,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가 방임아동의 분노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9. 진재륵, 정서 및 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모래놀이 치료의 효과, 전주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0. D. M. Kalff, "Introduction to Sandplay Therapy," Journal of Sandplay Therapy, Vol.1, No.1, 1991.
  21. 임호찬, 한국아동청소년인성검사 해석지침서, 한국가이던스, 2015.
  22. 안운경, "모래놀이치료가 청소년의 행동, 정서에 미치는 임상효과-다면적 인성검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2호, pp.257-265,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2.257
  23. 정연정, "가족건강성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및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8호, pp.90-97,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8.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