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천프로그램

검색결과 1,232건 처리시간 0.025초

치위생과정에서의 일부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환자의 구강건강지식, 인식, 실천과 만족도 조사 (A Study on Oral Health Knowledge, Recognition, Practice and Satisfaction of Patients by Applying a Targeted Program within a Dental Hygiene Process)

  • 성미경;조문미;김유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83-191
    • /
    • 2017
  • 본 연구는 치과 임상의 예방진료실에서 임상예방진료를 받은 환자의 구강건강인식도, 지식도, 실천도, 만족도를 비교분석하였다. 구강건강지식, 인식, 실천은 임상예방진료 전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예방진료프로그램 중 가장 만족도가 높은 것은 계획단계의 개별 예방계획과 실행단계의 PTC였고, 그 다음으로 평가단계의 평가결과 알림이었다. 만족 이유는 의료진이 친절해서가 가장 높았고, 재방문 점수는 10점 만점에 9.34점, 지인 추천 점수는 9.75점이었다. 지인 추천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은 임상예방진료프로그램 중 치아확인, 사진촬영, 계획, PMTC, TBI, 평가였다. 위의 결과를 통해 치위생과정을 근거한 임상예방진료프로그램은 환자의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 인식, 실천에 긍정적으로 효과가 있었고, 임상예방진료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 치과 재방문과 지인 추천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치위생과정을 근거한 임상예방진료프로그램을 예방진료실에서 적극 활용하여 널리 적용되기를 바란다.

강점중심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연구 (A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Strengths-Focused Group Program)

  • 박정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530-53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실시된 강점중심 집단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통합하여 제시하고, 강점중심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메타분석의 대상선정기준에 따라 국내 석 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게재논문인 25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서는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2.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점중심 집단프로그램의 평균효과크기를 살펴보면, 심리적 안녕감의 효과크기가 1.40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교적응이 1.104, 자아존중감이 0.908로 나타나서 모두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강점중심 집단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효과크기가 조절변수(연령, 프로그램 특성, 총회기수, 진행자 전공)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에 있어서는 연령, 프로그램 특성, 진행자 전공, 총회기수, 심리적 안녕감에 있어서는 연령, 프로그램 특성, 진행자 전공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조절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강점중심 집단프로그램의 이론적 실천적 함의와 전략을 제언하였다.

국내 간호사의 스트레스완화를 위한 명상프로그램에 관한 통합적 고찰 (An Integrative Review of Meditation Program for Stress Relief of Nurses)

  • 박예리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557-570
    • /
    • 2022
  • 본 연구는 국내 간호사의 스트레스완화를 위한 명상프로그램의 문헌을 분석한 통합적 고찰연구로 Whittmore와 Knafl의 통합적 고찰 지침을 적용하여 총 97편의 논문을 검색하여 최종 7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의 연구 설계는 1편은 무작위 유사실험연구, 6편은 비동등성 대조군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었으며, 명상프로그램은 5~8회기까지 다양하게 운영되었다. 7편의 연구는 국선도를 이용한 명상프로그램, 영성증진프로그램, MBSR 기반의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러나, 명상프로그램 종료 후 스트레스관리 유지 정도를 확인한 연구는 1편이었다. 간호사의 실천과 의지를 강화하기 위한 내용이 있지만, 이에 대한 평가는 확인할 수 없었다. 향후 간호사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명상프로그램이 다양한 임상 상황에 있는 간호사가 활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 높은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스트레스관리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에 참여자의 실천과 의지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이 포함될 필요성이 있음을 제언한다.

수학 교과 독서 지도를 위한 교사 교육 실행 - 예비 교사 교육 사례를 연계한 현직 교사 연수 -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for the Teaching of Content Area Reading in School Mathematics)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3호
    • /
    • pp.471-48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과 독서의 이해'를 주제로 수학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교사 연수는 교과 독서 지도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를 심화하고 효과적인 교과 독서 지도의 실천을 유도하고자 계획되었다. 특히, 연수 과정에서는 예비 수학 교사 교육의 지도 내용을 현직 수학 교사 연수 과정에 접목시키면서 교과 독서 지도에 대한 실천 사례를 구체적으로 예시하였다.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교과 독서 지도를 의미있게 실천하는 다양한 방법을 접하면서, 자신의 지도 경험을 반성적으로 되돌아보고 이전보다 개선된 지도 방법을 탐색해 나가는 학습의 기회를 갖게 되었다. 교사 양성 기관과 중등학교 현장에서의 실천 사례가 공유되면서 교사 교육자나 교사 모두에게 개선된 교육 실천을 위한 학습 경험이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교사 연수의 실행 과정과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한다. 나아가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제언을 하였다.

  • PDF

통학버스 이용 대학생의 안전띠 착용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실천의 융합적 접근 (Convergence approach to awareness, attitude, and practice of wearing seatbelt among university students using school bus)

  • 문현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33-139
    • /
    • 2017
  • 본 연구는 통학버스를 이용하는 대학생의 안전띠 착용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실천 정도를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통학버스를 이용하는 대학생 118명이며, 자기기입식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고, 기술통계,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으며 Scheffe's test로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안전띠 착용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실천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전띠 착용에 대한 인식은 대상자의 마지막 안전띠 미착용 시점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태도는 성별, 연령, 안전띠 미착용 시점에 따라, 실천은 대상자의 성별, 연령, 통학시간, 안전띠 미착용 시점, 경제적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통합적인 안전사고 예방 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운동 자기-도식과 운동행동에 관한 융합적 연구 (The Study of Exercise Self-Schema and Exercise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 공정현;이해랑;박찬경;백명화;최혜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495-502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운동 자기-도식과 운동행동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운동실천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18년 1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J시에 소재한 대학의 간호대학생 178명에게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ion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운동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행동적 운동자기도식, 운동실천의도, 인지.감정적 운동자기도식 순이었으며, 설명력은 63.8%였다(F=104.59, p<.001).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운동실천향상을 위해서는 올바른 운동자기도식을 형성시킬 수 있는 건강관련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며, 다양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대학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성인의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와 건강 실천행위가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Health Practice Behavior on Oral Health-Related Self-Efficacy in Adults)

  • 허성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68-176
    • /
    • 2020
  • 본 연구는 성인의 주관적 구강 건강상태와 건강 실천행위가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한 후,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가 좋을수록 칫솔질 관련 자기효능감(p<.001)과 구강 건강관리 자기효능감(p<.01)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건강 실천 행위를 이행할수록 칫솔질 관련 자기효능감(p<.001)과 구강 건강관리 자기효능감(p<.001)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주관적 구강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p<.001), 운동, 건강 책임이행, 흡연 순으로 건강 실천 행위를 이행할수록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따라서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의 상호 융합적 계속 구강 보건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성인의 포괄적 건강 및 구강건강 증진에 기여하고자한다.

노인의 건강실천행위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치아건강도의 매개효과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ntal Health Determinants on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actice Behavio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 이병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49-56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실천행위가 치아건강도를 매개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EQ-5D)을 예측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201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만 65세 이상 총 1,311명의 노인으로 하였으며, SPSS 24.0 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인의 동거유형에 따른 건강실천행위와 EQ-5D의 경우 부부를 포함한 1세대 동거(4.62, 0.90)가 가장 높았으며 독거노인(4.40, 0.86)이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또한, PROCESS macro를 통한 매개효과 검증결과, FS-T 지수가 건강실천행위와 EQ-5D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beta}=.0011$, BCCI [.003~.0024]). 이러한 결과는 FS-T 지수가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