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외놀이 운영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 운영에 대한 교사의 경험 분석 (The Analysis on Teacher's Experience in the Operation of Outdoor Pla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

  • 임진형;김경미;진미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467-47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가 경험한 실외놀이의 의미와 어려움을 분석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바람직한 실외놀이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사 8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의 의미, 실외놀이 운영의 어려움을 심층면담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신체발달을 도모하는 실외놀이, 소통으로서의 실외놀이, 에너지 발산으로서의 실외놀이, 자연과 함께하는 실외놀이의 의미를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유아들의 대 소 근육을 발달시키고 사회성 발달의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며, 에너지의 발산과 자연과의 교감을 할 수 있다는 점에 의미를 두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여러 자료와 방법을 통해 유아들에게 의미있는 실외놀이 활동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나 계획과 일치하지 않는 실외놀이의 운영, 시간의 부족, 놀이지도 자질의 부족의 어려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외놀이의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실외놀이에 대한 의미를 되새겨보고, 실외놀이를 효율적으로 운영해 보도록 하는데 의미를 시사한다.

영국 및 핀란드 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 (Outdoor play in preschools in England and Finland: Outdoor environment, management, educators' perspectives)

  • 나귀옥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
    • 제18권9호
    • /
    • pp.729-756
    • /
    • 2018
  • 본 연구는 영국과 핀란드의 유아교육기관에서 어떻게 질 높은 실외놀이가 이루어 지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국가에서 실외놀이가 우수하다고 인정받는 4개 기관을 추천받아 2016년 8월부터 2017년 9월 사이에 2차례씩 방문하여 실외 환경구성 및 제공되는 자원과 재료, 운영, 및 영유아들의 실외놀이를 관찰하고, 실외놀이의 가치에 대하여 교원을 면담하였다. 그 결과, 이들 기관에서는 모든 환경 구성과 활동이 자연을 지향하였고, 실외놀이는 건강과 웰빙을 위해 실행되었다. 또한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실외놀이를 실시하며, 위험성이 있는 놀이에 도전하도록 허용하면서도 안전점검을 통하여 도전과 안전이 공존하는 양상이었다. 그들은 단순한 실외놀이를 넘어서서, 실내 영역과의 통합을 추구하였으며, 유아들의 흥미와 선택권을 존중하여 유아들끼리 주도적으로 활동하도록 함으로써 자율성과 독립심을 성취하도록 격려하는 모습이었다.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웰빙과 건강, 실내외활동의 연계와 확장, 유아의 주도성, 상상력, 창의력, 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키는 실외 놀이의 실현을 위하여 이러한 측면들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관찰에 근거한 어린이집 영아반의 일과유형분류 및 일과유형별 영아의 놀이성과 교사 특성 (Playfulness of Infa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ccording to Daily Routine Types based on Observation in Infant Classes in Child Care Centers)

  • 박찬화;권연희;나종혜;최목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85-210
    • /
    • 2013
  • 본 연구는 영아반의 하루 일과를 관찰하여 실내자유놀이, 실외놀이, 집단활동 및 낮잠 휴식 등의 일과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들이 진행된 시간들을 바탕으로 하루일과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일과유형에 따라 영아의 놀이성, 교사의 학력 및 경력, 교사행동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영아반의 일과유형은 '실내 외놀이 지향형'과 '낮잠 휴식 및 집단활동 지향형' 등 2가지로 분류되었다. 일과유형별 영아의 놀이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실내 외놀이 지향형'이 '낮잠 휴식 및 집단활동 지향형'보다 영아의 놀이성 전체점수와 하위영역인 신체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모감각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리고 일과유형에 따라 교사의 학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사의 경력에서는 '실내 외놀이 지향형' 학급의 교사경력이 '낮잠 휴식 및 집단활동 지향형' 학급의 교사경력보다 유의하게 더 많았다. 교사의 상호작용행동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실내 외놀이 지향형' 일과의 교사가 '낮잠 휴식 및 집단활동 지향형'의 일과를 운영하는 교사보다 긍정적 지도행동과 중립적 지도행동을 유의하게 더 많이 보였다.

보육시설의 실외놀이 운영실태 및 교사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Teachers' Perception of Outdoor Play in Child Care Center)

  • 최목화;변혜령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03-214
    • /
    • 2010
  • This study will examine the current condition of outdoor play in child care centers and the overall perception of teachers on outdoor play in regards to its related programs and children's reaction to them. Through examining such issues, this study will provide the basic data that can be applied in planning appropriate outdoor play activities, programs and environments. For the study, we surveyed teachers and directors of child care center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objects of the survey were 22 child care centers in Daejeon and Seoul, who agreed to conduct the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1 to September 30 2006; 22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188 copies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number of outdoor plays per week were on average 1~2 in most cases, although teachers believed the play should be done everyday. Outdoor play time was mostly 21~30 minutes, while teachers thought 31~40 minutes as appropriate. Children's reaction scored the highest when they played outdoors for 30 minutes every day with their teachers involved in the play. As a result, we have concluded that the appropriate outdoor play should be conducted everyday for 30~40 minutes. 2) Outdoor play was mostly conducted as part of the overall educational plan rather than a separate plan. Since outdoor play affects children's development as much as indoor play, there is a need for development of a specific and separate plan for various outdoor play programs. 3) The outdoor play program that was most often conducted was equipment play and sand play. This indicated the monolithic nature of the outdoor program. Given the fact that children enjoy outdoor plays a lot (M=4.71), various programs including adventure play, sensitive play, and carpenter play should be developed. 4) In outdoor play, the teacher's role included supervising and interacting with children. According to the survey, teachers had a good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n safety and supervising issues in outdoor plays. However they seemed to overlook the importance of having better programs and improving teacher's participation to the play. Despite the importance of outdoor play to children's development, the result shows that teachers have tendencies to limit and obstruct outdoor plays by emphasizing supervising and safety issues instead. 5) Children's safety should not be the only consideration for outdoor plays; teachers ought to better understand that children's development can be maximized by the play. Furthermore, there should be emphasis placed on the program development and teacher's participation; teacher's participation should actively encourage the interactions between a child and a teacher, as well as among children.

대도시지역 어린이의 실외 놀이시설 선호와 시설도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Introduction of the Outdoor Play Facilities for Children in a Metropolitan Area)

  • 김경수;백태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3-24
    • /
    • 2015
  • 부산은 타 대도시에 비해 어린이들을 위한 상징적 여가공간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며, 시역내 산재한 어린이 놀이시설의 경우에도 노후화로 인해 유지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역내 어린이들이 부담 없이 찾을 수 있는 어린이 여가공간을 조성하는 것으로서 어린이 유희시설의 새로운 트렌드에 부합하는 공공형 실외 어린이 시설을 도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외 다양한 어린이 유희시설 개발사례를 검토하여 도입 가능한 기능 및 시설을 선정하고 사업계획 수립을 통해 실행 가능한 사업계획을 수립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어린이 선호도에 기반한 권역별 어린이 테마공원 조성을 위한 선도사업 추진을 제안한다. 둘째, 향후 시설도입시 교육청과 연계한 체험학습 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할 것을 제안한다.

어린이집 실외놀이 운영실태 및 교사의 인식 -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Out Door Play of Day Care Centers in Jeju)

  • 강승희;김창숙;황순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309-32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ctual environment and operation of outdoor play at day care centers in Jeju area and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outdoor play among teachers and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an outdoor play program for infant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207 teachers form about 100 day care centers in Jeju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tual environment of outdoor play mostly by the types of establishment and national, public, or corporate centers had better environment than private ones did. Second, the majority of day care centers in Jeju area were including and operating outdoor play in a daily schedule.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outdoor play among teachers.

유아와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 공간의 의미 탐색 (Exploring the Meaning of Outdoor Play Spaces Perceived by Young Children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 권선영;정지현;박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85-94
    • /
    • 2017
  • 본 논문은 유아교육기관의 실외공간인 바깥놀이터의 다양한 공간 구성과 그 속에서 이루어지는 유아 간, 교사-유아간 상호작용을 통해 유아와 교사가 경험하게 되는 공간의 의미가 어떠한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유치원 3곳과 어린이집 1곳을 선정하여 유아들의 바깥놀이 활동 시간을 중심으로 한 비참여 관찰과 유아를 대상으로 한 비형식적 면담,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참여한 기관의 바깥놀이 공간 구성에 따라 유아들은 바깥놀이 공간을 자신의 심리를 재현 또는 표출하는 공간, 일상생활이 확장된 공간, 관계가 연속적으로 지속되는 공간으로 인식하였다. 반면 유아교사의 경우에는 기능적 공간, 제한된 공간, 분리된 공간으로 인식하는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는 바깥놀이 공간에서 또래관계를 자연스럽게 형성 할 수 있는 기회와 확장된 놀이를 통해 유아자신의 일상성을 재구성하는 경험을 한다는 것과, 아동중심의 발달에 적합한 공간구성은 기능적이고 획일화된 바깥놀이 공간 구성이 아닌 유아들의 일상적인 삶과 관계성 속에서 이루어져야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