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규 간호사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6초

간호대학생의 프리셉터십 융복합 실습 경험 (A Convergence Work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under Preceptorship)

  • 남문희;김혜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283-300
    • /
    • 2017
  • 연구의 목적은 3년+1년 학제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의 프리셉터십 실습 경험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간호직의 중도 포기를 방지하기 위한 효율적인 실습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 23명의 참여자를 네 집단으로 나누어 초점 그룹 면담으로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Corbin and Strauss 근거이론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비교분석을 통하여 이 연구의 중심현상은 '등대 찾아가기'였다. 원인적 조건은 간호업무를 배우는 기회였다. 맥락적 조건은 진짜 신규 간호사가 된 기분, 임상현장의 생생한 정보획득, 학생들의 프리셉터십 실습 교육에 대한 인식 부재로 나타났다. 중재적 조건은 근무환경, 주도적 학습 및 애착심이 도출되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다양한 환자 및 보호자 맞추어 가기, 남의 일 같지 않은 일 및 아는 것만큼 보임으로 도출되었다. 작용/상호작용의 결과로 뿌듯함 및 신규간호사 역할 배움에 대한 여정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등대 찾아가기' 과정에 있는 간호 학생들에게 유용한 임상 실습 향상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신규간호사 대상 핵심기본간호술기향상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for New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

  • 최은영;안금희;오인옥;박애희;박민현;손재이;홍나숙;윤호순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19-429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new nurses' core skill program on the clinical skill, confidence,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new nurses. Methods: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design on 46 new nurses with 3 to 6 months work experience in a general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015 to August 2016. A training program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was applied on 23 new nurses from 2016 in the experiment group, and an existing training method was applied on 23 new nurses from 2015 in the comparison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3.0.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89{\pm}4.29$) showed higher score in practical skill assess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85.09{\pm}3.99$) an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Conclusion: A training program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for new nurses proved effective in improving practical skills. Further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systemic training program that can improve clinical nursing knowledge and work ability for new nurses according to the extended enforcement of a Nursing Care Integrated Service ward is needed.

신규간호사와 프리셉터가 인지하는 프리셉터의 교수효율성 비교 (A Comparison of Preceptors' and New Graduate Nurses' Perception of Teaching Effectiveness)

  • 김지양;김영선;김춘실;박현숙;신미영;윤연숙;조유숙;박미미;유문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3-202
    • /
    • 200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receptors and new graduate nurses on their perception of preceptor teaching effectivenes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90 new nurses and 90 preceptors who worked in A medical cente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 to September 30, 2008.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was done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Results: New nurses' perception ($4.07{\pm}.44$) of the preceptor teaching effective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erception of the preceptors ($3.57{\pm}.37$). Fifty five percent of new graduate nurses reported a lack of coherence in the preceptor's practice guidelines. For 5 causal factors classified on the teaching effectiveness, the factor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ability' showed the highest score, but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 got lowest score for both group. Preceptor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have enough time to teach well because of their heavy workload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eceptors need appropriate compensation and education opportunities, and new graduate nurses need consistent education by the teaching professional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give preceptors full charge of the preceptorship. Also,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 for preceptors and new nurses.

  • PDF

이직자와 재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건강문제 비교: 신규간호사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Occupational Stress and Health Problems between Leavers and Stayers: Focused on Novice Nurses)

  • 기지선;최스미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3권2호
    • /
    • pp.91-99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occupational stress and health problems as well as turnover reasons among leavers in novice nurses and to estimate factors which might affect turnover by comparing them to stayers. Methods: In this study, secondary analysis of data gathered from the Shift Work Nurse's Health and Turnover studies, was carried ou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4 stayers who have been working for 18 months since 2018 and 48 leavers who left within the same period at two tertiary hospitals in Seoul. The reasons for turnover, occupational stress, and 8 types of health problems were record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9.4 to obtain descriptive statistics. In parallel, Pearson's chi-squared test, Fisher's exact test, and independent t-test were also conducted. Results: The main reasons for turnover were job stress and difficul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workplace. Occupational stress of leavers was higher than stayers, especially in the subscales of interpersonal conflict, organizational system, lack of reward, and occupational climate. Among the 8 types of health problems, the depression prevalence of leavers was higher compared to stayers and showed marginal significance. Unexpectedly, the sleep disturbance prevalence of stayers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leavers. Conclusion: To reduce the turnover rate of novice nurses, education on how to cope with occupational stress is needed. A customized program for novice nurse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interpersonal relations would be helpful.

수술실 간호오류 예방을 위한 사례중심 멀티미디어 학습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Case-based Multimedia Learning Contents for Preventing Malpractice in Operating Room)

  • 박지명;황선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522-53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수술실에서의 간호오류 예방을 위한 간호사 대상의 교육을 목적으로 문헌고찰과 실제 경험한 오류사례와 요구도 조사 및 수술실 사건보고서 자료 분석을 통하여 사진, 음성녹음, 플래시 애니메이션, 동영상 자료를 활용한 사례중심 멀티미디어 학습콘텐츠를 개발하였다. 1시간 분량의 학습콘텐츠는 4가지 학습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학습영역별로 성우의 음성과 함께 플래시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실제 간호오류 사례를 이야기 형식으로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로부터 흥미와 현장감을 높였다. 또한 각 영역별 사례를 통해 학습자에게 비판적 사고를 유도하였고 표준화된 수술실 간호업무프로토콜을 대처방안으로 제시함으로써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습콘텐츠는 신규간호사 뿐만 아니라 경력 간호사의 수술실 간호오류 예방을 위한 교육용 자료로써 실무에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라며, 콘텐츠의 지속적인 수정 보완을 위한 시스템 마련과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지식 및 교육요구도 (Knowledge and Education Needs Related to Multidrug Resistant Organisms Infection Control among Small and Medium Size Hospital)

  • 이미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63-470
    • /
    • 2020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지식과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여 중소병원 간호사 맞춤형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11월 15일~11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ANOVA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중소병원 간호사의 86.1%가 다제내성균 환자를 간호한 경험이 있었으며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경우가 67.8%로 나타났다. 다제내성균 감염관리지식은 27점 만점에 25.51점이었으며, 다제내성균 환자가 사용한 의료기기에 대한 소독수준, 선제 격리환자의 격리 해제기준, 코호트 격리에서 환자관리, 개인보호구 탈의시점에서 정답률이 낮았다. 교육요구도는 격리병실배정, 선별검사 대상기준, 유행발생관리가 가장 높았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요구도 차이에서 최종학력과 직급에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다제내성균의 원내전파 차단 및 유행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교육이 중요하므로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시 경력별로 교육 구성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신규간호사와 경력간호사 감염관리교육시 필수적으로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교육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의미,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및 생명존중의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Death, Death Anxiety, Death Concern and Respect for Life)

  • 강정화;한숙정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6권2호
    • /
    • pp.80-89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의미,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및 생명존중의지에 대해 조사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확립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수도권 소재 10개 종합병원 중환자실 근무 간호사 중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서면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2009년 11월부터 2010년 2월까지 3개월간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 23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Inumiya(2002)가 개발한 사생관척도 중 죽음의미,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생명존중의 4개요인 총 6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ANOVA, Pearson's 상관계수를 확인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죽음의미 이해 정도는 7점 만점에 평균 4.27점이었고, 죽음의 긍정적 의미(평균 4.18점)보다 부정적 의미(평균 4.38점)에 대한 이해가 더 높았다. 죽음불안은 평균 4.43점, 죽음관여도는 평균 4.12점, 생명존중의지는 평균 4.18점이었다. 죽음의미는 죽음불안, 죽음관여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죽음의 긍정적 의미와 부정적 의미, 생명존중의지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죽음불안은 죽음관여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생명존중의지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죽음관여도는 생명존중의지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 중환자실 신규간호사는 경력간호사에 비해 죽음의미 이해 정도가 낮고, 죽음불안과 죽음관여도가 높으며 생명존중의지가 낮으므로, 죽음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정립하여 임종환자 및 가족을 간호하는 역할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의료기관별 간호인력 활용방안-중소병원 간호사 확보를 중심으로 (A Utilization Strategy of Nursing Staff by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 nurse staffing level of medium and small-sized hospitals)

  • 홍지연;채정미;송미라;김은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62-170
    • /
    • 2017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인력 현황과 관련 정책을 분석하고 인력 확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중소병원 간호인력 확보를 위한 정책을 입안하고 결정하는 데에 근거를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에서 제시한 통계자료를 2차 분석한 후 그 결과를 다양한 내 외적 보건의료환경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조명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의 활동 간호사 수는 면허간호사 수의 50% 미만으로 그 수는 해마다 감소하고 있었으며, 이는 간호대학 정원증가의 비용 대비 성과의 효율성을 재고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간호관리료 차등제 실시로 인해 신규간호사는 물론 간호사 인력부족이 심각한 중소병원의 경력간호사들이 상급종합병원으로 이동하게 되는 결과를 야기하였으며, 결국 중소병원 간호인력 부족 현상을 더욱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입원환자 간호관리료 차등제가 중소병원 간호인력 확보 정책으로 실효성이 있는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며, 면허간호사에 대한 추적 관리 시스템을 통해 간호인력 수급의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어야 한다.

2011~2015년 신규간호사와 경력간호사의 이동 경향과 지역 간 이동의 영향 요인 (Patterns and Influential Factors of Inter-Regional Migration of New and Experienced Nurses in 2011~2015)

  • 박보현;김세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676-688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igration patterns of new nurses and experienced nurse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inter-regional migration for solving regional imbalances of clinical nurses in South Korea. Methods: This study involved a secondary analysis of data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HIR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New nurses tended to migrate from Kyunggi to Seoul. However, experienced nurses tended to migrate from Seoul and Chungchung to Kyunggi. Significant predictors of inter-regional migration among new nurses were location and nurse staffing grade of hospitals. Significant predictors of inter-regional migration among experienced nurses were location, hospital type, nurse staffing grade, ownership of hospitals and age of nurses. Conclusion: Inter-regional migration occupied a small portion of total hospital movement among clinical nurses. The regional imbalances of nurses were not caused by the migration from non-metropolitan areas to Seoul. Nurse shortage problems in the small and medium hospitals of the non-metropolitan area can be solved only through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

프리셉터의 신규간호사 교육경험 (Nurses' Lived Experience of Preceptorship for Newly Graduated Nurses in Hospital)

  • 조연실;손수경;한미영;김미숙;방부경;이경미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0권1호
    • /
    • pp.37-47
    • /
    • 2014
  • Purpose: This phenomenological study is aimed to describe nurses' lived experience of preceptoring in hospitals. Methods: Ten nurse preceptors who participated in this qualitative study shared their experience of the preceptor's role in hospitals.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the Colaizzi' phenomenological method. In-depth pers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1 to November 30, 2013. Results: Based on this study, seven consistent categories and twenty-two theme clusters emerged from collected data. The seven themes were: 'not knowing what to do', 'not understood', 'burnt out due to pressure from work', 'having difficulty in building relationships at work', 'becoming similar to their preceptor, personal growth through preceptorship', and 'feeling rewarded at the preceptee's improvement'.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preceptors' adaptations to the workplace and to reduce their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