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설종사자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25초

장애인시설종사자의 인권수행과정의 어려움에 대한 탐색적 연구 -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Exploration on Difficulty of Human Rights Process Conducted in Caretaker Worker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Focused on the Caretaker Worker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in Busan-)

  • 김선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771-781
    • /
    • 2016
  •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가 인권수행과정에서 겪게 되는 추상적인 어려움을 다차원척도법을 활용하여 명확화하고 개념화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서술문 리스트를 수집하고, 인덱스카드(index card)를 분류토록 하였다. 분석결과 6개의 군집명이 도출되었고, 종사자들은 시설 내에서는 거주인과의 의사소통 갈등, 서비스 제공자의 의도가 고려되지 않고 종사자의 겉으로 드러나는 단순 행위나 거주인의 주관적인 인권상황인식에 근거한 거주인과 종사자와의 갈등이 종사자의 인권 수행의 어려움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시설 외부적으로는 인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장애인거주시설에 요구하는 인권관리 실무와 현장실무 간의 괴리로 인한 어려움, 외부 인권조사나 점검에 대한 경직성이나 종사자를 배려하지 않는 측면에서의 인권조사와 점검진행이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인권수행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한 몇 가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노인복지시설 종사자 직무요인, 조직성과의 모형정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Based for Jop Factor, Organization Performance of Senior Care Facilities Workers)

  • 조우홍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8년도 제39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16권2호
    • /
    • pp.345-349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요인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론적 배경에서 노인복지시설에 관한 문헌 검토와 노인 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요인 및 조직성과에 대한 제이론을 검토하였다. 이론을 근거로 실증적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요인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인과관계의 영향요인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요인인 보수, 승진, 조직풍토, 업무환경, 조직구조가 조직성과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충성도에 다르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실증적 분석에서는 연구대상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분석과 연구모형에 대한 적합도를 검증하며, 구조방정식모형을 향해 가설검증을 실행하고자 한다.

  • PDF

노인여가복지시설 종사자의 슈퍼비전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and Job Burnout of Workers in Leisure Welfare Centers for the Elderly: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 이병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661-666
    • /
    • 2022
  • 본 연구는 노인여가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슈퍼비전과 직무소진의 관계, 그리고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대전과 충남의 노인여가복지시설 15개소의 종사자 275명을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과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등이다. 분석결과, 노인여가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슈퍼비전이 직무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분석결과를 참고하여 노인여가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직무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노인여가복지시설 종사자들에 대한 슈퍼비전을 개선하기 위해 교육적·평가적 슈퍼비전의 강화, 슈퍼바이저에 대한 교육훈련과 개별화된 슈퍼비전의 제공, 시설평가에 슈퍼비전 포함 등이 필요하다. 종사자들의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역량강화프로그램과 정서적 지지 서비스의 제공, 윤리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행정적 지원, 셀프리더십의 함양 등이 요구된다.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 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etency of Worker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for a Disabled)

  • 김연옥;윤덕찬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2호
    • /
    • pp.285-312
    • /
    • 2009
  • 본 연구는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에게 있어 동일한 조건 속에서도 시설장애인에 대한 서비스의 질적 수준과 시설운영방식의 차이가 발생되는 원인 중의 하나가 개개인이 갖고 있는 자질과 능력이 다를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은 무엇인가를 도출해 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에 장애인생활시설 평가에서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13개소의 26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패널을 통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라면 누구나 갖추어야 할 공통역량으로 갈등 및 문제해결력, 개선 의지, 대내외 관계 구축 등의 항목들이 도출되었으며, 시설종사자의 직위별·직종별로 요구되는 역량도 각각의 직위와 직종에 따라 모두 상이한 항목이 도출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의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각각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중심으로 한 체계적인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전문성인식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th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in Community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 이병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445-452
    • /
    • 2021
  • 본 연구는 그동안 분석되지 않은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충남과 대전 지역의 14개 장애인복지관의 종사자 36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이 직무만족에 정적인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두 변수 간의 영향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장애인지역사회 재활시설 종사자들의 전문성인식과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제안하였다. 이후에는 장애인지역 사회재활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분배공정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between the Distributive Justice and the Burnout of Personnel in Community Rehabilitation Facilities)

  • 이병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481-486
    • /
    • 2022
  • 본고는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들의 분배공정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전과 충남 지역의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 32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자료를 검증하였다. 주요 분석방법은 SPSS/AMOS 18.0을 활용한 확인적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이다. 분석결과,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분배공정성이 소진에 대한 영향과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들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종사자들의 분배공정성 인식을 높이기 위해 능력과 업무량에 대한 객관적 평가에 의한 보상, 투명한 보상체계의 구축, 비정규직의 근무여건 개선 등이 요구된다. 둘째, 종사자들의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키기 위해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한 리더쉽 교육과 프로그램의 운영, 종사자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자발적 참여, 슈퍼비전의 제공과 임파워먼트의 교육 등이 필요하다.

장애인 거주시설 장애인과 종사자의 인권 인식 비교 (Comparative study on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taffs in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 전동일;김낭희;서정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11-18
    • /
    • 2016
  • 본 연구는 장애인 거주시설의 장애인과 종사자 간 인권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4년 장애인 거주시설 인권실태조사'에서 수집한 602개 장애인 거주시설 설문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인권과 관련한 16개 항목(인권보장 12개 항목, 인권침해 4개 항목)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인권보장 영역의 모든 항목에서 시설 내 장애인의 인권이 보장된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장애인보다 종사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인권침해 영역에서도 종사자 폭행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 종사자가 장애인보다 시설 내에서 장애인의 인권이 침해되고 있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p<.05). 연구를 통해 시설 거주 장애인과 종사자는 장애인의 인권보장과 인권침해에 대해 서로 상당한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와 같은 인식 차이의 원인은 첫째, 시설 내 종사자의 역할과 장애인의 욕구가 상호 충돌할 수 밖에 없는 거주시설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둘째, 인권보장이나 인권침해에 대해 장애인과 종사자 간에 서로 합의된 구체적인 기준이 부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장애인 거주시설의 장애인과 종사자 간 인권인식 격차 해소를 위해 통합인권교육, 합의된 인권지표개발 등의 전략 모색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IPA를 적용한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인권에 대한 탐색적 연구 -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Human Right of Social Workers Who Works at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 Focused on Busan Area -)

  • 김선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461-469
    • /
    • 2017
  •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인권의 중요도 인식과 현재 실행도와의 차이를 비교하여 향후 시설에서 해결되어 할 인권문제의 기초자료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 539명을 대상으로 장애인거주시설 인권의 인식 수준과 실행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중요도 인식과 현재 실행도 간의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인권 실천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기술통계 결과, 중요도(전체 평균 6.27)에 비해 실행도(전체 평균 6.07)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 인권 실천 항목들에 대해서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가 인식하고 있는 중요도와 실제 실천 정도는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인권 실천 하위영역별로 보았을 때 정치권/법 절차적 권리를 제외하고 자유권, 생존권, 사회권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평균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와 향후 과제를 제언하였다.

노인여가복지시설 종사자의 슈퍼비전과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ism Perception between Supervision and Job Commitment of Employees in Leisure Welfare Centers for the Elderly)

  • 이병록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79-84
    • /
    • 2022
  • 본 연구는 노인여가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슈퍼비전과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대전과 충남에 소재한 15개 노인여가복지시설 267명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주요 분석방법은 SPSS와 AMO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이다. 분석결과, 슈퍼비전의 직무몰입에 대한 영향과 전문성인식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종사자들의 직무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 슈퍼비전과 전문성인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종사자들에 대한 슈퍼비전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교육적 슈퍼비전의 강화, 슈퍼비전의 체계화, 슈퍼바이저 교육의 강화 등이 필요하다. 종사자들의 전문성인식의 증진을 위해 우수인력에 대한 시상 등의 프로그램, 사회적 지지의 제공, 클라이언트를 고려한 종사자교육 등이 필요하다. 향후 노인여가복지시설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직무몰입을 비롯한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다양한 변수들에 대한 조사연구들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ob str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senior welfare facility staffs suffering from emotional labor)

  • 조종현
    • 벤처혁신연구
    • /
    • 제1권1호
    • /
    • pp.129-143
    • /
    • 2018
  • 노인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종사자는 어르신 및 가족 등과 직접으로 상담하는 경우 수평적인 관계가 아닌 나이로 인한 수직적 관계로 소수지만 이용 어르신 및 가족 등이 폭언, 폭행 및 비합리적 민원 욕구 등으로 종사자에게 정신적, 신체적 고통을 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경로효친 사상이 강조되고 있는 사회인 관계로 어르신을 위하여 대부분 무조건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민원 중심이 과중되고 해결을 할 수 없는 자기중심적 민원 등으로 종사자는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현실이다. 2018년 5월초부터 노인복지시설을 포함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등 폭력위험에 노출된 직업군을 보호하는 대책이 마련되어야 합니다'라는 주제로 청와대에 국민청원이 진행되어 지고 있는 현실이다. 이번 논문을 통하여 노인복지시설 종사자가 감정노동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어려움을 제기, 노인복지시설 이용자로서 권리와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권리가 상충되는 것이 아니라 상생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연구 방법은 서울,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노인복지시설 종사자 178명을 대상으로부터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표본의 일반적 특성,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상관관계 분석, 연구가설의 검증을 근거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감정표현빈도가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감정부조화가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감정부조화가 직무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스트레스가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 요인과 조직몰입간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