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공실태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7초

제3종시설물 지정을 위한 실태조사 체크리스트 개선방안 (Propose an Improvement of Checklist for Actual Condition Survey for Designation of Class-lll Facilitie)

  • 윤지호;장명훈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00-101
    • /
    • 2021
  • Facilities with high risk of a disaster or requiring continuous safety management are designated as class-III facility. In order to designate a class-III facility, it is evaluated based on the safety status of the facility, the risk to the building users, and the number of years elapsed of the facility, etc. and this shall be referred to the actual condition survey for the designation of a class-III facility. In the actual condition survey conducted to designate the safety status is calculated by the checklist based on the evaluation scores consisting of five stages each item, and is evaluated in three stages by 'good', 'careful observation', and 'designated review' through the average of the combined scores. Currently, the actual condition survey being conducted applies only structural stability, and the risk factors such as damage to the finish, the risk of cracking, and the type and weight of major structures are not included in the checklist for the actual condition survey, so even if experts think it is dangerous, scores cannot be reflect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blems of checklist of the actual condition survey for the designation of class-III facility and to propose an improvement plan for the checklist for the actual condition survey.

  • PDF

시공책임형 CM 사업의 GMP 결정를 위한 시공이전단계 설계VE 프로세스 적용방안 도출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esign VE Process in Pre-Construction Phase for GMP Determination of CM at Risk Project)

  • 박보성;김옥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56-64
    • /
    • 2022
  • 정부의 건설산업 혁신방안 중 기술혁신을 위한 주요과제의 하나인 시공책임형 CM 사업의 제도화를 위해 2017년부터 현재까지 시범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시공이전단계 사업관리의 핵심인 GMP를 결정하는데 핵심도구인 설계VE와 관련한 기준 및 프로세스는 아직 정립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시공책임형 CM과 설계VE 관련 연구 및 운영실태, 그리고 사업참여자 인식조사를 통해 기존 설계VE 프로세스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시공책임형 CM 사업에 적합한 설계VE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Schedule, Cycle, Process 등 3가지 측면에서 적용안을 제안하였으며 심층면접조사(FGI)를 통해 적절성과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이루어질 발주기준 정립 및 법제화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시공참여자제도 폐지 이후 전문건설업체의 현장관리 실태분석 (A Status Analysis on the Field Management of Professional Construction Firms after Abrogation of Construction Participants System)

  • 박경훈;김화중;손창백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99-203
    • /
    • 2009
  • After the construction participants system is abolished, expectations are high for its consequences such as liquidating paper-companies, holding back low price contracts, and improving multi-stepwise subcontract structure. However, the professional construction firms have been took responsibilities and obligations as businessmen employing the chief workmen and construction workers. For this reason,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be charged a great deal of expenses such as increase in labor management services and laborers, the occurrence of an retirement grants, insurance fees, etc. Since the hold on power of field managers are getting weaker toward the construction workers, it is most likely to have loss in efficiency of production in the long term. Therefor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difficulties and the point at issues with which professional construction firms are undergoing after abolishing the construction participants system by investigating on the actual condition in the field management. For this research, we got a grip on the actual condition and analyzed the rise of a primary factor on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 PDF

공동주택의 생활 소음원별 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 of Living Noise in Residential Buildings)

  • 신재민;송효민;신윤석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23-13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실내 외 생활소음원들의 종류를 파악하고, 발생 빈도가 높거나 소음레벨이 높은 특정 소음원을 선정하여 소음원별 발생 실태 및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공동주택 생활 소음원 실태 조사를 통해 24개의 생활 소음원을 도출하였으며, 그 중 소음의 발생 빈도 및 소음레벨이 높은 소음원 10개를 선정하여 실태조사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생활 소음원 10개 모두 시간대별 소음 발생 특징이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생활 소음 저감을 위해서는 소음원별 소음레벨이 크거나 발생빈도가 높은 시간대를 중심으로 강화된 법적 소음 기준 및 소음원별 발생 특성에 관한 거주자 대상의 교육 시행이 필요할 것이다.

비행장 소음에 의한 건축물의 진동량 정량평가 및 건축물 설치 기준에 관한 연구 (Quantitative Evaluation of Vibration of Structure by Aircraft Noise and Installation Criteria of Building in Air bases)

  • 안상훈;임남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10-318
    • /
    • 2011
  • 군 비행장은 군용 항공기와 더불어 민간 항공기 운항의 증가와 추진력이 좋은 신형 기종의 도입으로 인하여 소음 및 진동에 의한 민원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군 비행장 내에 근무하고 있는 장병 뿐 아니라 군 가족에게도 이러한 소음과 진동이 과다하게 노출되고 있다. 그러나 군 비행장내 소음 및 진동 실태조사는 전무한 실정으로 건축물 신축시 소음 및 진동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있어 활주로 인접 건축물의 타일 등 내부 마감재가 탈락하는 문제뿐 아니라 관사와 같은 거주지역의 건설 위치를 결정하는데 기준이 없어 건축물의 진동에 의한 영향 최소화 및 적절한 진동대책 수립이 불가능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군 비행장내 소음 및 진동 실태조사를 수행하고 실태조사 자료를 통계분석 방법을 이용해 건축물의 진동량을 예측 할 수 있는 정량평가 모델을 도출하였으며, 군 비행장내 건축물의 용도별 건축물 설치기준을 제안하였다. 이는 향후 군 비행장내 건축물 신축 및 비행장 신설 시 적합한 건축물 설치를 위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서울시 중·소형 건축공사장의 안전관리 실태와 대책 마련 연구 (Study on Safety Management Status and Policy Directions of Small and Medium-sized Building Construction Field in Seoul)

  • 김주영;이지애;김종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61-375
    • /
    • 2021
  • 서울특별시는 대한민국의 수도로 높은 인구와 시설이 밀집되어 있으며 다양한 건축공사가 도심 내에서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와 서울시 건축공사장에서 안전사고가 다수 발생하여 큰 인명과 재산 피해를 야기하였으며, 중앙부처와 서울시는 공사장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 연구에서는 현행 법·제도 등 공사장 안전관리 실태를 분석하였다. 공사장 안전관리 법령의 한계점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중앙부처와 서울시의 대책을 조사하고, 서울시에서 진행한 공사장 안전점검 결과와 현장 관계자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공사장 안전관리 실태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서울시 건축공사장 안전을 확보를 위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서울시가 현재 진행하고 있는 안전점검 등의 개선과 현 법·제도가 보다 잘 작동할 수 있도록 관리감독 강화, 그리고 자율적인 안전확보를 위한 가이드와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건설현장의 위험요소 사례연구를 통한 위험저감 방안의 고찰 -토공사, 기초공사, 철근콘크리트공사를 대상으로- (Plans for Reducing Risk through a Case Study of Risk Factors at a Construction Site -Focused on Earth work, Foundation Work,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 김진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83-93
    • /
    • 2010
  • 건설프로젝트가 점차 복잡화, 대형화 되어감에 따라 건설공사에서의 위험요소와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프로젝트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한 요인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하는 것은 프로젝트의 승패를 좌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토공사, 기초공사, 철근콘크리트 공사에서의 제약조건과 위험요소를 파악함과 동시에 시공 계획수립의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위험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위험분류체계에 관한 기존연구를 고찰하였으며, 건설현장에 근무하는 기사를 대상으로 인터뷰조사를 실시하여 안전 관리의 문제점을 구체화하기 위해 실증적인 현장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내용은 건설현장의 특수상황 및 주요 공법의 적용실태, 제약조건과 위험요소의 인과관계이며,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중점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팀기반학습을 중심으로 한 건축시공학 블렌디드러닝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a Building Construction Blended Learning Curriculum Based on Team-Based Learning)

  • 김재엽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27-336
    • /
    • 2022
  • 국내대학 교육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온라인교육의 비중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교육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건축시공학 블렌디드러닝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내대학 건축시공 분야의 교과목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온라인교육의 비중이 약 66.1%, 대면강의가 약 33.9%로 조사되었다. 온라인교육의 비중이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건축시공학 교과목의 블렌디드러닝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육과정은 일주일 단위의 교육절차, 15주차별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과정을 대학에서 적용할 때는 교수자의 교육목표와 학습자의 학습능력 등에 따라 융통성있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전문건설업 실태조사 분석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57호
    • /
    • pp.48-67
    • /
    • 1995
  • 전문건설협회가 전문건설업이 안고 있는 보다 구체적인 현상들을 진단하고 이를 통해 전문건설업계가 건전하게 발전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해 지난 79년 이래 매년 전문건설업계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번 94년의 조사는 94년 2월말 현재 전문건설면허를 보유하고 있는 모든 업체(설비업종 면허 제외)를 대상으로 94년 2월 21일부터 3월 10일까지 총 20일간 조사하였는데 총 10,010개 조사대상 업체중 33.4$\%$에 해당하는 3,347개 업체가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설문내용으로는 전문건설업체의 경영일반에 관한 사항을 비롯 금융세제분야, 산업재해분야, 수주.계약분야, 하도급계열화문제, 시공 및 인력분야, 불공정 하도급거래에 관한 사항, 건설관련제도 개선에 관한 사항 등 총 7개 분야로 나누어 조사가 실시되었다. 본지는 전문건설업계가 설비공사업계와 비슷한 실정임을 감안하여 이 조사결과를 게재하므로써 타산지석으로 삼고자 한다.

  • PDF

골조공사 관련 공종 근로자의 안전보호구별 만족도 조사 (A Study on the Survey of Worker's Satisfaction with Safety Gear in Structural Frame Work)

  • 신한우;김태희;김광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1-136
    • /
    • 2008
  • Safety managemen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f the construction company don't control the risk, it causes the accident which give the company fatal loss. According to the Korea industrial safety analysis reports, the 25.72% of the disasters are from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13.6% construction disasters are caused by not properly using the safety gears. Therefor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earing Safety Gear by Occupational Classification and the Satisfaction in the Construction Field. The results are ; Carpenters are dissatisfied with the safety shoes and belt, re-bar workers are dissatisfied with the safety helmet and shoes, Concrete workers are dissatisfied with the safety helmet and gogg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