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타일 선호도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24초

라이프스타일 집단에 따른 캐주얼웨어의 한국적 이미지 선호 (Korean Image Preferences Based on Lifestyle Segments)

  • 황진숙;이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1-105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egment consumers by life style group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mong the segmented groups in regard to Korean image preferences in casual wea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53 women consumers who lived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07. Statistical analyses used in the study were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and Scheffe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even factors of life style: fashion and appearance interest, pride in Korea, sociability, interest in foreign culture, family centered, sports/culture, and interest in Korean food. Based on the seven factors, the consumers were segmented into three groups. They were fashion/diverse culture interest group, family/recreation oriented group, and sociability/family oriented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lifestyle segmented groups in regard to Korean image preferences for color, fabric, pattern, and categories of casual wear, and the intention to purchase the casual wear. For example, fashion/diverse culture interest group preferred diverse Korean prints, red, orange, blue and white colors, natural fabrics, and various types of casual wear. Also, the group has the highest interest and intention in wearing Korean image casual wear.

  • PDF

유행혁신성과 민족정체성에 따른 한국적 이미지의 의복 선호 (The Effects of Fashion Innovativeness and National Identity on Korean Image Clothing Preferences)

  • 황진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7-3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shion innovativeness and national identity on Korean clothing benefits sought, style preferences, and purchase intention. The subjects were 765 male and female consumers who were residents in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Scheffe test,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five Korean clothing benefits sought: impression improvement/fashion orientation, national pride, individuality, brand, and comfort. Korean style preferences had four factors of daring/showy, active/simple, elegant, and sophisticated images.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by fashion innovativeness and national indentity. The three groups were different in regard to Korean clothing benefits sought, Korean style preferences, and purchase intention. For example, the consumers who had a high fashion innovativeness sought benefits of impression improvement, individuality, and brand name. Also, they preferred daring/showy, elegant, and sophisticated images. In the meanwhile the consumers who had a high national identity sought benefits of national pride, comfort, and impression improvement. Also, they preferred an active/simple style and had an intention to purchase the clothing with Korean image.

  • PDF

시니어 여성의 패션스타일과 선호색 및 자기이미지에 따른 패션이미지 유형화 (Fashion Image Classification of Senior Women based on the Fashion Style, Preference Color, and Self-image)

  • 김희연;한소원;홍윤정;김영인
    • 복식
    • /
    • 제64권3호
    • /
    • pp.142-15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fashion images of senior women who have emerged as influential customers in the fashion industry. Characteristics of fashion images of senior women are identified by fashion style, preference color, and self-image. With the collected data, the Q group, consisting of Korean women who are in their 50s, was targeted using the Q methodology. The following factors were evalua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ashion style, preference color and self-image. The fashion images of senior women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4 types: Characteristic modern, Reasonable basic, Comfortable contemporary, and Conservative elegance. Those classified fashion image types were influenced by the factors of nobleness, usefulness, personality, fashionableness, and youthfulness in accordance with fashion style, preference color, and self-im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fashion image planning for senior women and meaningful data for redefining and diversifying the concept of senior fashion brand which reflects the generation's changed taste and lifestyle.

한국 영화의 특성에 따른 일본 수출 성과에 대한 연구: 2002년부터 2006년까지의 개봉작을 중심으로 (Export of Korean Films in Japan: Focused on the Films Released between 2002 and 2006)

  • 이문행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9권
    • /
    • pp.355-384
    • /
    • 2007
  • 이 연구는 한국 영화의 일본 수출이 급격하게 증가한 지난 2002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 영화 개봉작 436편을 대상으로 장르와 한류 스타 출연 여부, 메이저 배급 여부, 국내 관객수 등에 따른 일본 수출 성과를 살펴보고자 했다. 우선 장르 면에서는 멜로 영화의 수출 비중이 가장 높아서, 코믹 영화를 즐겨보고, 멜로 영화에 대한 선호도는 다소 저조한 한국 관객과의 차이를 보여준다. 또한, 한류 스타가 출연한 영화 비중은 전체 개봉작의 14%에 지나지 않았으나, 한류 스타가 출연한 영화의 일본 수출 비중은 비한류 스타 출연작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일본 수출에 있어 한류 스타의 중요성을 입증해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메이저 배급 여부와 국내 개봉 성과 또한 일본 수출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배급사의 브랜드 파워와 개별 영화의 1차 시장 성적이 후속 시장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방탄소년단의 패션 스타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BTS's Fashion Style)

  • 김장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310-320
    • /
    • 2020
  • 방탄소년단(BTS)은 전 세계 주류 음악 시장에서 한국의 대중음악을 선도하는 그룹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BTS가 선보이는 다채로운 패션 스타일은 해외 매체나 대중들의 쇼셜 네트워크에 집중 조명될 정도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BTS의 패션 스타일의 분석을 토대로 그들의 패션 경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및 범위는 BTS 및 BTS의 패션이 미치는 영향력에 관련된 이론적 연구와 함께 최근 5년간 방탄소년단의 이미지 자료를 토대로 한 내용 분석 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선적인 실루엣이 강조된 슈트, 무채색의 활용, 간소화된 장식을 통하여 클래식하면서도 모던한 스타일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둥근 어깨선이 강조된 봄버 재킷, 톤 다운된 스키니 진, 후드 티셔츠, 레터링 패턴, 비비드한 색상을 매치하여 자유분방하고 편안한 감성의 캐주얼 스타일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슬리브리스의 베스킷볼 셔츠, 라운드 네크라인의 베이스볼 셔츠와 반바지, 트레이닝팬츠, 레터링 패턴이 강조된 오버핏 맨투맨을 활용하여 역동적이고 활동적인 스포티한 스타일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에 따른 온-오프라인 융합 학습활동을 통한 학습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On-Off line Convergence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Students' Learning Styles)

  • 신명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85-90
    • /
    • 2018
  • 본 연구는 최근 핫이슈가 되고 있는 온라인 오프라인 융합 학습전략인 거꾸로 학습 전략이 학습자들에게 학습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거꾸로 학습 전략을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적용하여 대학 교양 영어 학습자들의 학습 스타일 및 학업수준에 따른 학업 성취도와 태도의 차이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학업 성취도 분석을 위해 실험 전 진단 평가와 실험 후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학습태도는 크게 동기, 선호, 가치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을 고려한 거꾸로 학습 전략 적용은 학습자들의 학업 성취도에 의미 있는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학습 태도에는 의미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대학 교양 영어 수업에 있어서의 거꾸로 학습 적용은 학습자들에게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를 줄 수 있고 수업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학습 전략임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적합한 수업 구성 및 전략을 제고하는데 연구의 가치가 있다.

축구 스타의 휴먼 브랜드가 구단에 대한 태도 및 애착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occer Star's Human Brand on Attitude and Attachment to club)

  • 신진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579-586
    • /
    • 2021
  • 본 연구는 축구 스타의 휴먼 브랜드가 구단에 대한 태도 및 애착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여 구단 소속 스타 선수들의 브랜드 관리의 중요성 및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했다. 따라서 K리그 구단 소속 축구 선수를 선호하고 있는 사람을 표본으로 선정해 2021년 1월 14일부터 3월 5일까지 모바일 조사를 실시했으며, 총 348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이용했다. 자료처리는 SPSS(ver. 21.0) 프로그램을 활용해 빈도분석, 내적일관성 및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구 스타의 휴먼 브랜드는 윤리성, 매력성, 차별성 순으로 구단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축구 스타의 휴먼 브랜드는 윤리성, 매력성, 차별성 순으로 구단에 대한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승마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시장세분화전략 (Segmentation Strategy for Revitalization of Horse Riding Industry)

  • 김기탁;박동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779-786
    • /
    • 2012
  • 본 연구는 승마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라이프스타일을 이용한 시장세분화전략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는 유의표집법에 의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고 총 397 명의 유효표본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라이프스타일의 요인분석 결과 세 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요인점수를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분석결과 총 두 개의 세분시장이 도출되었다. 첫 번째 시장은 '스포츠활동추구형'으로 스포츠활동을 선호하고 중요하게 생각하며, 총 397명 중 175명이 이 집단에 포함되었다. 남 녀가 골고루 분포되어 있고 20대와 30대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특히 미혼자가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다. 또한 10만원 이상 30만원 미만의 월평균 여가지출을 나타내고 있는 집단이기도 하다. 이들은 승마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호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승마에 대한 관심이나 승마 참여의도는 타 시장에 비해 차이가 있다고 보기 어려우며, 그 수준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세분시장은 '소극적활동추구형'으로 여가시간에 주로 혼자 지내는 것을 선호하는 집단이다. 397명 중 222명이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대에서 40대의 연령에 30만원 미만의 월평균 여가지출을 하고 있는 세분시장이다. 이들은 '스포츠활동추구형'에 비해 승마에 대한 호감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디자인 스타일에 대한 노인들의 선호이미지 연구 (Senior Citizens' Image Preference for Interior Design Styles)

  • 서민우;정유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109-120
    • /
    • 2012
  • As Korea has rapidly entered the aging society, the Korean government and academia are currently undergoing many researches on senior citizens. There also has been an increase in senior citizens'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spatial designs that reflect the newly emerged needs brought out by thei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s as well as their physical aspec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 model for senior citizens' image preference to be adopted in future developments for senior-friendly spatial designs. A literature review and a questionnaire survey were implemented as research method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t two senior welf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Ansan and two disparate senior colleges, on the subjects of 86 senior citizens aged 60 and older. 7 styles of Romantic, Classic, Country, Modern, Natural, Casual, and Traditional were chosen for the study and the realms to apply the image preference were divided into Space, Element1 and Element2. For Space, its subcategories have been restricted to living room and bedroom while color, furniture and lighting for Element1 and material, pattern and props for Element2. Survey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for the correlation among socio-demographic factors of senior citizens, spaces and the elements.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older age and men tended to prefer the modern style than younger age or women, and younger women preferred the romantic style. For the color preference in Element1, older men preferred the classic style while women preferred the romantic style. And, for the furniture preference, men with higher income preferred the natural style while women preferred the romantic style. For the pattern preference in Element2, younger people preferred the casual style and it showed that the housing type was the main reason for their preferences. Therefore, the image preference according to their age and gender shall be taken account of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en designing environments for senior citizens.

  • PDF

온라인 소프트웨어 교육 학습자들의 자기주도학습 유형 분류 및 특징 분석 (Analysis of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elf-Directed Learning of Learners in Online Software Education)

  • 성은모;채유정;이성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1-4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효과성을 증진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교육 학습자들의 자기주도학습 유형을 분석하고 각 유형에 따른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전략적인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대학교에서 온라인 소프트웨어 교육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중학생 42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자기주도학습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잠재계층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프트웨어 교육 학습자들의 자기주도학습 유형은 '최고수준 자기주도학습형(계층 1)', '자기 학습스타일 인식형(계층 2)', '자기 학습스타일 선호형(계층 3)', 그리고 '자기주도학습 부재형(계층 4)'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프트웨어 교육 학습자들의 자기주도학습 유형에 따른 소프트웨어 학업성취도 수준은 '최고수준 자기주도학습형(계층 1)'이 가장 높고, '자기 학습스타일 선호형(계층 3)'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