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shion Image Classification of Senior Women based on the Fashion Style, Preference Color, and Self-image

시니어 여성의 패션스타일과 선호색 및 자기이미지에 따른 패션이미지 유형화

  • Kim, Hee-Yeon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 Hahn, So-Won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 Hong, Yun-Jung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 Kim, Young-In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김희연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 한소원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 홍윤정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 김영인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4.02.06
  • Accepted : 2014.04.06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fashion images of senior women who have emerged as influential customers in the fashion industry. Characteristics of fashion images of senior women are identified by fashion style, preference color, and self-image. With the collected data, the Q group, consisting of Korean women who are in their 50s, was targeted using the Q methodology. The following factors were evalua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ashion style, preference color and self-image. The fashion images of senior women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4 types: Characteristic modern, Reasonable basic, Comfortable contemporary, and Conservative elegance. Those classified fashion image types were influenced by the factors of nobleness, usefulness, personality, fashionableness, and youthfulness in accordance with fashion style, preference color, and self-im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fashion image planning for senior women and meaningful data for redefining and diversifying the concept of senior fashion brand which reflects the generation's changed taste and lifestyle.

Keywords

References

  1. 정성호 (2006), 중년의 사회학, 파주: 살림, pp. 66-89.
  2. 松本すみ子(2007), 시니어 비즈니스 성공 전략, 싸이미디어 역, 서울: 해냄, pp. 14-16.
  3. 장안화 (2005), 실버 패션 디자인 연구 -노년 여성의 의복디자인 선호도를 중심으로: 델파이법의 적용-, 한국의류산업학회지, 7(6), p. 581.
  4. 김유덕, 김미영 (2004), 중 노년층 여성의 의복추구 이미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6), pp. 746-757.
  5. 장안화 (2006), 실버세대 여성의 의복디자인 선호도-60대 이상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5), pp. 496-504.
  6. 석혜정, 한승희 (2010), 실버세대의 여성을 위한 의복디자인개발, 복식, 61(1), pp. 47-57.
  7. 임현정, 이경희 (2008), 실버세대를 위한 브랜드에 나타난 디자인의 조형적 특성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3), pp. 355-361.
  8. 장안화 (2005), 실버 패션 디자인 연구 -노년 여성의 의복디자인 선호도를 중심으로: 델파이법의 적용-, 한국의류산업학회지, 7(6), pp. 581-584.
  9. 정삼호 (2009), 시니어세대의 연령에 따른 실내복 디자인 선호도 및 구매행동 연구 -50대 이상 중.노년 여성을 중심으로-, 복식, 59(4), pp. 143-154.
  10. 심정희 (2006), 중년 여성의 자기이미지 유형화에 따른 의복 이미지 평가와 선호, 한국의류학회지, 30(11), pp. 1614-1616.
  11. 권진 (2012), 실버 의류 개발을 위한 노인 선호도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8(4), pp. 19-30.
  12. 여화선 외 (2011), 뉴 실버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의류브랜드의 색상전개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7(1), pp. 295-299.
  13. 임현정, 이경희 (2008), 실버세대를 위한 브랜드에 나타난 디자인의 조형적 특성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3), p. 361.
  14. 석혜정, 한승희 (2010), 실버세대의 여성을 위한 의복디자인개발, 복식, 61(1), p. 53.
  15. 정수인 (2012), 한국 중년 여성의 패션이미지 유형에 따른 디자인 요소와 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56-79.
  16. 김영인 외 (2011), 시니어 세대의 색채지각과 선호 유사배색의 특성, 한국색채학회지, 25(3), pp. 67-76.
  17. 이명희, 김현주 (1997), 의복 스타일 이미지 선호와 자기이미지와의 관계 연구, 복식, 33(0), pp. 41-53.
  18. 장은영 (1994), 의류상품 이미지에 의한 의복선택 모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05-110.
  19. 심정희 (2006), 중년 여성의 자기이미지 유형화에 따른 의복 이미지 평가와 선호, 한국의류학회지, 30(11), pp. 1612-1614.
  20. 위혜정, 손희순 (2001), 노년 여성의 자아이미지에 관한 연구, 패션비즈니스, 5(2), pp. 117-127.
  21. 최경아, 고미경, 정성지 (2011), 중년층 여성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5(4), pp. 385-394.
  22. 한성지, 양리나, 김문숙 (2002), 50-60대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0(50), pp. 509-516.
  23. 김흥규 (2009), Q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pp. 10-172.
  24. 권수애, 이은경, 최종명 (2005), 현대사회와 패션, 서울: 교학연구사, pp. 90-96.
  25. 박숙현 외 (2003), 패션이미지별 평가용어, 색상 및 분류체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2(4), pp. 542-551.
  26. 류숙희, 김보연 (2001), 자기이미지가 의복 스타일 이미지 평가와 선택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9(5), pp. 734-746.
  27. 류현주, 홍금희 (2001), 성인여성의 자기이미지와 상표이미지 및 쇼핑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8), pp. 1367-1377.
  28. 신윤경, 이명희 (2008), 자기이미지와 니트웨어 선호도 및 착용빈도 연구, 복식문화연구, 16(3), pp. 518-532.
  29. 염인경, 김미숙 (2004), 자기이미지에 따른 착용이미지, 추구의복이미지 및 의복구매행동, 복식문화연구, 12(1), pp. 90-103.
  30. 오현정 (2006), 자기이미지와 자기평가의 구성요인과 소비가치, 대한가정학회지, 44(11), pp. 67-78.
  31. 조윤주 (2003), 실제적 자아이미지와 이상적 자아이미지 차이에 따른 여성의류시장 세분화, 한국의류산업학회지, 5(5), pp. 503-510.
  32. 심정희 (2006), 중년 여성의 자기이미지 유형화에 따른 의복 이미지 평가와 선호, 한국의류학회지, 30(11), pp. 1612-1616.

Cited by

  1. A Study on Blouse Design for Silver Generation Using Modularization vol.17, pp.3, 2015, https://doi.org/10.5805/SFTI.2015.17.3.341
  2. Effect of Self-image Pursuit by Female Consumers on Clothing Purchase Value and Fashion Images vol.39, pp.4, 2015, https://doi.org/10.5850/JKSCT.2015.39.4.492
  3. Effects of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on brand image importance and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of working women vol.24, pp.3, 2016, https://doi.org/10.7741/rjcc.2016.24.3.324
  4. 한국 중년 남성의 자기이미지와 패션스타일 유형에 따른 취향 분석 vol.64, pp.8, 2014, https://doi.org/10.7233/jksc.2014.64.8.037
  5. A Study on Hybrid Outerwear Design for Senior vol.48, pp.None, 2015, https://doi.org/10.21326/ksdt.2015..48.031
  6. Impact of Female Consumer Self-Image on Pursued Fashion Style vol.21, pp.3, 2014, https://doi.org/10.12940/jfb.2017.21.3.29
  7. 뉴시니어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구매기준이 아웃도어 의류제품 디자인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vol.21, pp.4, 2014, https://doi.org/10.12940/jfb.2017.21.4.73
  8. Personal Image Types and Preference Analysis of Male Celebrities in the Silver Generation vol.17, pp.4, 2014, https://doi.org/10.20402/ajbc.2019.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