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학 학업 성취

검색결과 325건 처리시간 0.03초

교차지원에 따른 가산점 제도의 필요성과 효과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수학 운영 사례 중심으로 - (On the Necessity and Effect of Additional Points System in Cross-Applications of University Admissions)

  • 김태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525-536
    • /
    • 2011
  •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자연계열의 수험생들이 선택하게 되는 수리 가형과 과학탐구가 아닌 다른 교과목을 선택하여 응시한 수험생이 이 공계열의 학과로 지원할 수 있는 대학입시과정에서, 교차지원제도는 그 도입 취지와는 다르게 대학 교육현장에서 부작용도 발생하고 있다. 개선 방법의 하나로, 우수한 신입생 유치와 함께 자연계열 성향의 수험생 확보라는 두 개의 큰 목표를 동시에 이루기 위하여 각 대학은 가산점을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수학 교과목 학업성취도 사례 중심으로 가산점 제도의 필요성과 그 효과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싱가포르, 핀란드의 PISA 2012 수학에서의 성차에 대한 교육맥락변인 영향력 비교 분석 (Analysis of Educational Context Variable Effects on Gender Differences Observed in PISA 2012 Mathematics in Korea, Singapore, and Finland)

  • 임해미;한정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2호
    • /
    • pp.189-20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PISA 2012 수학 영역에서 나타난 성차가 PISA 2009와 비교하여 여학생의 점수는 유지된 반면, 남학생의 점수가 급격히 상승했으며, 그 원인이 상위수준의 남녀 비율의 차이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고 남녀의 상위수준 성취에 영향을 준 교육맥락 변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PISA 2012의 상위국 가운데 여학생의 성취가 높은 싱가포르와 핀란드에 대해서도 동일 변수에 대해 분석하여 상위권 여학생의 성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이때 PISA의 위계적 자료구조의 특성을 고려하고, 국가별 수학 상위수준(5수준 이상)과 최상위수준(6수준) 집단별 교육맥락변인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이항로짓 다층분석을 실시하여 상위수준 및 최상위수준 집단에 포함될 확률에 유의한 영향을 준 변수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방과 후 과외 및 학원에서의 학습시간은 세 국가의 남녀 학생 모두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으며, 방과 후 학교에서 내어준 숙제를 하는 시간은 우리나라와 싱가포르의 남녀 학생이 상위수준 및 최상위 수준에 포함될 확률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특히 우리나라의 여학생이 상위수준 또는 최상위수준 집단에 포함되는데 공통으로 영향을 준 변수는 '방과 후 숙제 시간', '학습활동 태도', '학교평균 ESCS', '교사와 학생 관계'였으며, '가정 문화적 자산'은 우리나라, 싱가포르, 핀란드의 여학생이 최상위집단 포함되는데 주요한 영향을 주었다.

대학교양수학의 플립러닝과 플립 PBL 효과성연구 (Study on Flipped Learning and Flipped PBL Effectiveness of College General Mathematics)

  • 김동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209-215
    • /
    • 2018
  • 대학 교양수학은 이공계열에서 필수 과목으로 개설하고 있으나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은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어 대안으로 자기 주도와 학습자 중심으로 효과성이 높은 교수법으로 잘 알려진 플립러닝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 교수법에서도 몇 가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어 플립러닝에 대한 대안적 방법으로 PBL을 플립러닝에 적용한 플립 PBL 수업을 교양수학 과목에 적용하여 기존 플립러닝 수업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수학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는지의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플립 PBL 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기존 플립러닝 수업을 적용한 통제집단의 비교연구에서의 교육적 효과성을 알아본 결과 첫째, 지필고사 결과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평균이 22점 이상 높게 나타나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성찰저널 분석에서는 통제집단과 대조적으로 실험집단에서 수학의 흥미도 향상에 대한 긍정적인 내용이 많아 흥미도 변화에도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 이교수법이 기존의 플립러닝을 보완할 수 있는 교수법으로 확대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디지털교과서 활용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수학 6-가 문제 푸는 방법 찾기 단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Digital Textbook on ability of Problem-solving - Focused on the unit of problem-solving method finding In Mathematics 6-A -)

  • 조철민;문외식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203-208
    • /
    • 2010
  •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의 문제 푸는 방법 찾기 조작자료가 실험반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인지, 또한 서책교과서로 공부한 비교반 학생들과 문제해결력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아울러 디지털교과서로 공부한 실험반과 서책교과서로 공부한 비교반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학 교과에 대한 태도 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오답사례 조별발표방식이 수학과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Learning Attitude and Achievement by the Group Presentation Method of Incorrect Answer Case in Mathematics)

  • 곽만영;김승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31-45
    • /
    • 2000
  • The idea to be changed first among the general ideas of mathematics is that, from the standpoint of teachers, one-sided teaching is efficient due to the progress of classwork of excessive quantity, and, from the standpoint of students, they say they gave up mathematics publicly feeling uneasiness in every class because of the deficiency of previous learning and interest, and they think all problems are due to the educational system, neglecting their studies, not participating actively in lessons. Therefore this study is, after giving learning points and problem papers of which the degree of difficulty differs to the groups of students divided into the advanced, intermediate, and elementary by personal abilities of learning and concerns, tried out to remove uniformity and integrity of lessons through solving the problems students can, to convert lessons to the learner-oriented that learners take part in voluntarily through discussing, solving the problems, and correcting the errors of them by group-cooperative actions, for the students to realize that they can solve everything only by their own endeavors.

  • PDF

수학 교과에서 G러닝이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Learning Towards a Student's Affective Domain in Math Subject)

  • 위정현;조두영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37-45
    • /
    • 2010
  • 본 논문의 목적은 G러닝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분석이다. 교육에 있어서 화두인 구성주의 학습의 효과적인 학습 도구로써 온라인 게임 기반의 G러닝이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게임 기반의 G러닝 'SKY 수학'을 개발하여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G러닝의 정의적 C영역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G러닝을 통한 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의 태도, 자신감이 상승하였다.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G러닝이 효과적인 학습 도구로 활용 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수학적 문제해결역량을 위한 평가 문항의 조건과 그 실제 (Analysis of Mathematical Problem Based o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Competency)

  • 이선영;이지수;한선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7권2호
    • /
    • pp.111-136
    • /
    • 2018
  • This study suggests a framework for analyzing item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shows the relationship among the characteristics, difficulty,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actual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competency. Three mathematics educators' classification of 30 items of Mathematics 'Ga' type, on 2017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the responses given by 148 high school students on the survey examin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competenc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only few items satisfying the characteristics for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competency, and students feel ill-defined and non-routine items difficult, but in actual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routineness alone has an effect. For the items satisfying the characteristics, low-achieving group has difficulty in understanding problem, and low and intermediate-achieving group have difficulty in mathematical modelling. The findings can suggest criteria for mathematics teachers to use when developing mathematics questions evaluating problem solving competency.

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적 관여와 수학적 태도가 수학 학습동기와 수학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al Educational Involvement and Mathematical Attitude on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and Mathematics Anxiety)

  • 정숙영;허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3호
    • /
    • pp.291-312
    • /
    • 2017
  • 부모 행동 지원이 학생의 학업 성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양하게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적 관여와 수학적 태도가 학생의 수학 학습동기와 수학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학생의 수학 학습동기에는 영향을 미치고, 수학불안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높은 학생일수록 수학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수학적 태도는 학생의 학습동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부모의 수학적 태도가 좋을수록 학생의 수학불안은 낮아지지만 지나치게 높아지는 경우에는 학생의 수학불안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정배경이 교육에 맞춰진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학생의 수학 학습동기에 영향을 주지만 교육적 관여가 높아질수록 성취압력이 되어 수학불안을 야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부모의 수학적 태도는 교육적 관여 정도와는 별개의 독립적인 것으로, 부모가 올바르고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로 양육함으로써 학생의 수학 학습동기를 높일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수학교과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평가 결과보고 방안 논의 (The Student-Centered Educational Evaluation and Reporting on School Mathematics)

  • 고형준;원승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2호
    • /
    • pp.205-215
    • /
    • 2006
  •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s in the 7th curriculum of Korea is the student-centered education. Since educational evaluation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whole curriculum, if we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student-center education on the curriculum we should establish the student-centered educational evaluation system. Educational evaluation is defined by the theory of information to permit information users to identify, to measure, to manipulate and to communicate useful educational information concerning an educational curriculum for making decisions. If we accept the above definitions, the demands of information users are significant in the light of conceptual framework of educational eval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ual framework of educational evaluation from information users' perspectives and to investigate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which satisfy information users' need for making decisions. We also show that students aren't provided sufficient evaluation results information to decide for their study plans by analyzing an evaluation study of the 7th primary curriculum. Finally, this study suggests how to improve an evaluation system for students in mathematics.

  • PDF

수준별 과제 학습지의 구안과 학습자 자신의 선택에 의한 자기 주도적 학습이 수학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by Self-selecting of the Level Tasks for the Students' own Level on Achievement in Mathematics)

  • 노영순;윤희송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9권1호
    • /
    • pp.11-20
    • /
    • 2000
  • Compared with other subjects, mathematics has great differences in achievement. In hope of solving this problems, most schools the level-movement learning. Although they say it may have some effect because of its homogeneous group, the level groups still have differences in achievement in their students abilities. So,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 appropriate tasks for the advanced intermediate and beginner groups and to help self-directed learning by selecting an appropriate tasks for the students' own level. To achieve thiese goals, a great deal of level tasks were developed and given to the students. After lettins them an select appropriate tasks for their own level and perform self-directed teaming, the tasks were measured carefully for their interest attitude and achievement in learning. Consequently, we tried a new method to improve uniformity and to turn teacher-centered learning into student-centered teaming. The following is the conclusion to this study. First self-directed teaming based on the selection of level tasks has meaningful effects on learning achievement in mathematics, especially for the beginner group. Second though the above method did not improve an interest for mathematics, but was very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learning attitud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