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Effect of G-Learning Towards a Student's Affective Domain in Math Subject  

Wi, Jong-Hyun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Chung-Ang University)
Cho, Doo-Young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Chung-Ang Univers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 positive educational effect of G learning(online game based learning). G learning has become an effective learning tool for constructivism based learning. Therefore, the paper developed G learning 'SKY math' and applied it to the elementary students. Through the analysis, the fact has been found that students' attitude and confidence for Math changed positively.
Keywords
G Learning; Educational effect; Affective Domai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황혜진, 신항균. 구성주의적 토의식 학습이 수 학에 대한 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5권 11호, pp.59-74. 2008.   과학기술학회마을
2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수학교육 평가 체제 연구(II)-수학과 평가도구 개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92..
3 이후남, 여가활동으로서의 온라인 게임-게임 태도, 몰입, 자존감의 구조 분석, 미출간 박사 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2006.
4 강인애, 객관주의와 구성주의 : 대립에서 대화로, 교육공학연구 13권 1호, pp.3-19, 1997.
5 Abt, c. c, Games for Learning in Simulation Games in Learning, Sage Publications, pp.53-64, 1968.
6 위정현. 오나라. 김양은, 온라인 게임을 통한 아동경제 학습 효과 분석, 한국게임학회 학술 지, 5권 4호. pp.13-22, 2005.   과학기술학회마을
7 위정현. 원은석, 효과적인 구성주의학습 도구로 써 온라인 게임의 활용: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 라인 게임 '군주'를 활용한 경영전략 수업의 구 성주의적 고찰,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6권 4호, pp.25-37, 2006.   과학기술학회마을
8 위정현, 온라인 게임 비즈니스 전략, 제우미디어, 2006.
9 위정현 편저, 온라인게임 교육과 손잡다, 한경사, 2008.
10 위정현, Innovation & Strategy of online games, Imperial College Press(United Kingdom), 2009.
11 Kafai. Yasmin B, Software by Kids for Kids.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39, No. 4, pp.38-39. 1996.   DOI
12 Kaden. M, Issues on Computer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 Seefeldt(Ed.), Continuing issu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261-275. Columbus: Merrill, 1999.
13 Hooper. S, Cooperative Learning and Computer- Based Instructio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Vol. 40, No. 3, pp.21-38. 1992.   DOI
14 Sqire. K., Jenkins. H., Hamessing the Power of Games in Education. insight Vol. 3, Vision 1, pp.5-33. 2003.
15 Hodgson. P, How to Teach in Cyberspace, Techniques, Vol. 74, No. 5, pp.34-36, 1999.
16 Flottermesch. K, Building Effective Inter- Action in Distance education, A Review of Literature, Educational Technology, May-June, pp. 46-51, 2000.
17 김호권, 완전학습 이론의 발전, 서울: 문음사, 1997.
18 소금현, 중학교 과학 영재 및 일반 학생의 정의적 특성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2000.
19 Bloom. B. S, Human Characteristics and School Learn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mpany, 1976.
20 Schunk. D. H, Self-efficacy and cognitive skill learning, In C. Ames & R. Ames (Eds.), Reasearch on Motivation in Education Vol.3, 1989.
21 이민찬. 길양숙, 수학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정 의적 특성의 학년별 변화 및 성취 집단별 차 이, 한국수학교육학회지 37권 2호, pp.147-158, 1998.
22 구광조. 오병승. 류희찬, 수학교육과정과 평가의 새로운 방향, 경문사,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