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적 모형

Search Result 55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model considering learning styles of the students of engineering college (공과대학생들의 학습양식을 고려한 수학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 Jeong, Suyoun;Kang, Yunsoo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7 no.4
    • /
    • pp.407-42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odel and suggest efficient methods for improving the learning abilities in mathematics of the students of engineering college.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their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which are important factors in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them. As a result, we found that participants had a disposition of being dependent and highly participating, so we made an effort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which can make the students active and highly involved in. After applying the developed teaching-learning model to Engineering Mathematics class for one semester, we conducted survey of the participants' responses. In conclusion, we found that this model is very helpful for Engineering students to utilize a self-directed learning by diagnosing and adjusting their learning process in Meta-cognitive way. Also, it is confirmed that this model has a considerable influence in which student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and have positive attitude to Mathematics learning.

Evaluation of a Buffered Multistage Interconnection Network (Buffered-MIN의 성능 분석)

  • 신태지;양명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244-246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multiple-buffered crossbar 스위치를 이용한 다층 연결 망의 성능 분석 모형을 제안하고, 스위치에 장착된 buffer의 개수 증가에 따른 성능 향상 추이를 분석하였다. Buffered 스위치 기법은 다층 연결 망 (Multistage Interconnection Network, MIN)의 내부의 데이터 충돌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제안된 성능 분석 모형은 먼저 네트웍 내부 임의 스위치 입력 단에 유입되는 데이터 패킷이 buffered 스위치 내부에서 전송되는 패턴을 확률적으로 분석하여 수립하였다. 분석 모형의 수학적 복잡도 절감을 위하여 확률식 유도 과정에 정상상태 확률 rosa(steady state probability)을 도입하였다. 제안한 모형은 스위치의 크기 및 스위치에 장착된 buffer의 수와 무관하게 확대 적용이 가능하다. 제안한 수학적 성능 분석 연구의 실효성 검증을 위하여 병행된 시뮬레이션 처리 결과는 상호 미세한 오차 범위 내에서 모형의 예측 데이터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 분석 모형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2$\times$2 스위치로 구성된 8$\times$8 MIN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한 결과 스위치에 2~4개의 buffer를 장착했을 경우 unbuffer 스위치 경우와 비교하여 네트웍 정상상태 Throughout의 증가율이 높고 네트웍 Delay 또한 낮아져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2 crossbar 스위치로 구성된 MIN의 경우 스위치에 장착된 buffer의 개수가 네 개 정도일 경우가 가격 대 성능비 면에서 가장 유리한 것으로 연구되었다.

  • PDF

Investigation of Dispersion and Storage Processes of Pollutants in Natural Streams (자연하천에서 오염물질의 확산 및 저장에 관한 연구)

  • 서일원;유대영
    • Water for future
    • /
    • v.28 no.6
    • /
    • pp.107-118
    • /
    • 1995
  • Mathematical models have been developed in which storage-relaease processes of pollutants are modeled to explain storage effect of variations of flow and channel geometry on mixing and transport of polluted releases in natural channels including low flow conditions. The models were tested by using the laboratory dispersion data. Comparisons between concentration-time curves predicted by using the proposed model incorporating two different submodels show that Storage-Diffusion Model seems to be superior in explaining physical processes inside the storage zone to the Storage-Exchange Model even though accuracies of simulation results by two models are about the same. The proposed model shows significant improvement over the conventional one-dimensional dispersion model in predicting natural mixing processes in open channels.

  • PDF

A Study on Group Theoretic Approximation Model for Gwaeyul of Geomungo (거문고 괘율에 관한 군론적 근사화 모형 개발 연구)

  • Shin, Hyuny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8 no.3
    • /
    • pp.367-374
    • /
    • 2014
  • Recently, interdisciplinary relation is emphasized on and various models are proposed. Since group theory is one of the important areas of modern mathematics, all the mathematics teachers for secondary school are familiar with it. Group theory, the theory of symmetries, are effectively applied to music or arts. In this paper, we understand the approximation model for gwaeyul of geomungo group theoretically to show the relation between mathematics and music(Korean music, in particular). This paper, in fact, proposes a group theoretic approximation model for gwaeyul of geomungo. The materials like this will be of help to teachers who try to integrate mathematics to other areas.

The Study of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in Mathematics during the 20th Century at Home and abroad (20세기의 국.내외에서 이루어졌던 수학에서 협동학습 모형에 관한 고찰)

  • Seo, Jong-Jin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0 no.4
    • /
    • pp.123-152
    • /
    • 2007
  • This study researched on Cooperative learning. The contents of this study as follows; Especially, first, this studies researched theoretical background for cooperative learning, factor for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features and effects on a model of cooperative learning. second, this studies researched the need of cooperative learning on mathematics, several conditions to succeed cooperative learning on mathematics, the models mainly using cooperative learning on mathematics, and this model was investigated an effects of mathematics learning.

  • PDF

Analytical Modeling of a Buffered $\times$a switch (Buffered a$\times$a Switch의 성능분석)

  • 박경화;양명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630-63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Multi[le-Buffered a$\times$a Crossbar 수위치의 성능 분석 모형을 제안하고 스위치에 장착된 buffer 의 개수의 중가에 다른 성능 향상 추이를 분석하였다. buffered스위치 기법은 다수 데이터 패킷을 동시에 전송할 때 네트웍에서 발생되는 충돌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널리 알려져있다. 제안된 성능 예측 모형은 스위치 입력 단에 유입되는 데이터 패킷이 buffered 스위치 내부에서 전송되는 유형을 확률적으로 분석하여 수립되었다. 모형의 수학적 복잡도 해결을 위하여 확률 식 유도 과정 등에 steady state 개념을 도입하였다. 제안한 모형은 스위치 크기 및 스위치에 장착된 buffer의 개수와 무관하게 buffered a$\times$a 크로스바 스위치의 성능 예측을 가능케 하고, 나아가서 이들로 구성된 다층 연결 망의 성능 분석에 확대 적용이 가능하다. 제안한 수학적 성능 분석 연구는 실효성 검증을 위하여 병행된 시뮬레이션 결과는 미세한 오차 범위 내에서 모형의 예측 데이터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 분석 모형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 스위치에 소수의 버퍼를 장착했을 때, throughput이 크게 증가하지만, 네 개 이상의 버퍼를 장착되는 버퍼의 개수가 네 개 정도일 경우 가격 대 성능비가 우수한 것으로 추론되었다.

  • PDF

초등수학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수학적 학습 태도 분석에 관한 연구 - 제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초등수학반 기초과정을 중심으로 -

  • Kim, Hae-Gyu;Kim, Dae-J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2 s.19
    • /
    • pp.341-35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를 위해서 트레핑거의 자기 주도적 학습 모형과 렌줄리의 3부 심화학습모형을 이용하여, 제7차 초등수학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기본적인 개념뿐만 아니라, 영재교육과정과 관련된 주제들을 중심으로 초등 수학 영재아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을 자체 개발하여, 개발된 영재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하기 전과 이수 후의 수학적 학습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제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초등수학반 아동들을 대상으로 사전 ${\cdot}$ 사후 수학적 학습 태도를 분석하였다.

  • PDF

Impact of Mathematical Modeling Schemes into Accuracy Representation of GPS Control Surveying (수학적 모형화 기법이 GPS 기준점 측량 정확도 표현에 미치는 영향)

  • Lee, Hungkyu;Seo, Wan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0 no.5
    • /
    • pp.445-458
    • /
    • 2012
  • The objective of GPS control surveying is ultimately to determine coordinate sets of control points within targeted accuracy through a series of observations and network adjustments. To this end, it is of equivalent importance for the accuracy of these coordinates to be realistically represented by using an appropriate method. The accuracy representation can be quantitively made by the variance-covariance matrices of the estimates, of which features are sensitive to the mathematical models used in the adjustment. This paper deals with impact of functional and stochastic modeling techniques into the accuracy representation of the GPS control surveying with a view of gaining background for its standardiz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mathematical theory and procedure of the single-baseline based multi-session adjustment has been rigorously reviewed together with numerical analysis through processing real world data. Based o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draw a conclusion that weighted-constrained adjustment with the empirical stochastic model was among the best scheme to more realistically describe both of the absolute and relative accuracies of the GPS surveying results.

유아기 수학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 Hwang, Jeong-S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107-127
    • /
    • 2002
  • 본 연구는 유아기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기초 이론과 수학교육에서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제안들을 근거로 유아에게 적절하고도 효과적인 수학 교수-학습 방법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구성주의에 근거한 상호적 접근과 교수-학습을 위한 기타 제안들 그리고 활동중심의 통합적 접근으로 나누어 그 이론적 기초와 구체적인 적용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다. 구성주의에 근거한 상호적 접근은 Piaget와 Vygotsky의 견해와 인지적 도제모형, 상황적 교수 모형, 그리고 인지적 유연성 이론의 세 가지를 포함하였고, 기타 제안들에는 NCTM, NAEYC, Schweinhart Perlmutter, Bloom & Burrell, 그리고 Althouse의 견해를 포함하였다. 그리고 활동중심의 통합적 접근은 수학적 개념 중심의 활동 통합교육과 활동 중심의 수학 통합교육으로 나누어 Web을 구성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알아보았다.

  • PDF

Missile aerodynamic structure and parameter identification using the extended Kalman Filter and maximum likelihood method (확장 칼만 필터와 최대공산법을 이용한 미사일 공력계수)

  • 성태경;이장규;박양배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86.10a
    • /
    • pp.262-265
    • /
    • 1986
  • 미사일의 동특성은 공력계수(aerodynamic coefficients)들의 구조 및 그 계수값에 의해 결정된다. 현재까지 공력계수는 풍동시험(wind tunnel test)에 의한 모형법으로 구하는 것이 보편적이었으나 모형과 실제 시스템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 풍동시험의 오차, 모형의 스케일 팩터(scale factor)오차, 실제 대기조건의 특성에 의한 오차 등에 의해, 시제품을 이용한 실제 비행시험 결과가 풍동시험 모델을 이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computer simulation)의 가상 비행 데이타와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필터 이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수학적 계수 모델이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풍동시험모델로부터 3가지의 수학적 모델을 가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확장칼만필터(extended Kalman Filter: EKF)와 최대공산법(maximum likelihood method :ML)을 각각 적용시켰을때 추정된 계수치에 의한 가상비행데이타와, 풍동시험모델에 의한 가상비행데이타를 비교하여, 수학적 계수 모델 설정에 따른 각 알고리즘의 추정결과를 알아보고, 이에의해 계수 모델 설정의 방법 및 기준, 그리고 계수구조 설정에 따른 EKF와 ML의 성질을 조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