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학과 용어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5초

수의 범위와 어림하기의 정의와 실생활 맥락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he definition and real life context of range of numbers and approximation)

  • 강윤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7권3호
    • /
    • pp.247-260
    • /
    • 2024
  • 수의 범위와 어림하기는 실생활에서 자주 접하고 사용하는 개념이다. 여러 개념과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관련 용어의 정의 및 학습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수의 범위와 어림하기와 관련된 일곱 가지 수학 용어의 교과서 학습 내용을 용어의 정의와 실생활 맥락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초등 검정 수학 교과서 10종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 기준에 따라 차시가 구성되어 있었으나 교과서마다 각각 차시 구성 및 순서, 실생활 맥락, 정의에 사용된 예시, 강조되는 부분이나 사용된 활동의 내용과 방향 등이 각각 다르게 구성되어 있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교과서 집필 및 수업 진행에 관련된 교수학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중학교 수학교과서 7-가의 집합 단원 기술에 관한 언어학적 고찰 (A Linguistic Study on the Writing of Section 'Set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of 7-ga)

  • 정광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2호
    • /
    • pp.177-213
    • /
    • 2006
  •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수학은 제2차 교육과정 개정 시부터 도입된 집합 단원으로 시작하고 있다. 현대수학에서 집합론이 차지하는 중요성은 너무나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중학교에 처음으로 진학한 학생들에게 집합에 대한 내용을 가르쳐야 한다는 당위성은 있지만 용어의 기술 방법이나 내용의 전개 등이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면 이후의 후속학습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집합 단원의 내용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보다 세심한 용어의 설명과 주의 깊은 내용의 전개 등을 통하여 중학교에 갓 진학한 학생들이 쉽게 접하도록 하여 수학이라는 과목에 흥미를 느끼게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집합 단원에 수록되어있는 용어와 내용의 기술에 대하여 언어학적인 측면에서 각 교과서별 내용을 분석하고, 집합단원에서 다루었던 용어와 내용 등이 7-가 교과서 전반에 걸쳐 얼마나 활용되고 있는지 등을 조사하여 효율적인 집합단원의 기술과 구성 등에 관한 방안을 고찰하였다.

  • PDF

초등수학에서 입체도형의 밑넓이 이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the Base Area of Solid Figures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 김성준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167-191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수학에서 '밑'의 용어집합인 '밑변'과 '밑면'에 대한 고찰에서부터 입체도형의 '밑넓이' 개념과 그것을 구하는 과정에 대한 물음에서부터 출발한다. 곧,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수학에서 직육면체의 밑넓이를 구하라는 문제에서 출발한다. 이에 대한 일차적인 답은 초등수학에서는 밑넓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중학교 1학년 수학에서 밑넓이를 '한 밑면의 넓이'로 사용하고 있는데, 문제는 초등수학에서 중학교 수학으로의 이행에서 이에 대한 설명이 없다는데 있다. 또한 초등수학에서 밑면을 정의하고, 겉넓이와 옆넓이를 다루는데, 이로부터 자연스럽게 밑넓이를 구하는 문제를 생각해볼 수 있다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밑'의 용어집합에서 그 원소인 '밑변'과 '밑면'을 검토해보고, 다음으로 밑넓이에 대한 논의를 교육과정, 교과서를 비롯하여 사전적 정의와 함께 살펴보았다. 또한 입체도형 관련 설문 문항을 작성하여 예비교사와 현장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밑면과 밑넓이에 대한 이해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처음과 마지막 문항에 밑넓이를 구하는 문제를 제시하여, 이 사이에서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초등수학과 중학교 수학 사이의 '인지적 간극'(cognitive gap)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입체도형에서 밑넓이 지도를 위한 제언과 함께 이후 도형에서의 용어 지도를 위한 후속 과제를 제안하고 있다.

  • PDF

비의 값과 비율 용어에 대한 교수학적 분석 (A Didactical Analysis of Korean Mathematical Terms Bi-yul and Bi-ui-gap)

  • 임재훈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71-386
    • /
    • 2015
  • 비의 값과 비율 용어 사용에 관한 다양한 방안이 제안되어 왔다. 이 논문에서는 비의 값과 비율 용어에 관한 선행 연구에 내재된 상이한 관점들을 추출하고, 이 관점들과 최근 수학 교과서의 비의 값 및 비율 용어 사용 방식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비의 값과 비율 용어 사용에 관한 상이한 관점들이 경합해 왔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혼란이 어디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명확히 하고자, 비의 값과 비율 용어를 맥락과 기준량에 초점을 맞추어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 기초하여 기존 문헌에서 추출한 관점들을 자리매김하고, 비의 값과 비율 용어 사용에 관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예비교사와 현직교사가 바라보는 한국의 수학교실수업: 국제 교실수업 어휘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What Do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See from Korean Mathematics Classroom?: International Classroom Lexicon Project)

  • 조형미;김희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07-126
    • /
    • 2021
  • 본 연구는 국제 교실수업 어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미 조사된 한국의 교수학적 어휘를 바탕으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교수학적 어휘에 대한 인식 차이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제 교실수업 어휘 프로젝트는 호주를 중심으로 독일, 미국, 일본, 중국, 체코, 칠레, 프랑스, 핀란드, 한국의 총 10개국이 참여하는 국제공동연구이다. 각 국가에서는 자국의 수학교실에서 나타나는 교수학적 용어를 확인하고 정리하며 이를 기반으로 수학 교실 수업과 관련한 연구를 확장하거나 10개국 내에서의 국제 비교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교수학적 용어로 정리된 103개의 용어에 대하여 현직교사 136명의 응답과 예비교사 127명의 응답을 비교하여 해당 용어에 대한 친숙도와 수업에서 발생하는 정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우리나라 현직교사들과 예비교사들은 공통적으로 '교수·학습 활동'과 '평가' 범주에 있는 용어에 대한 친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비교사들은 현직교사의 응답과 비교하였을 때, 국가 주도로 제안된 용어의 친숙도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수업에서 발생하는 정도에 대한 인식 조사 분석 결과, 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교수학적 노력이 학습자의 관점에서는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어휘와 그에 대한 차이점이 드러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수학교실 관행에 대해 성찰하고 그와 관련하여 논의 및 제언하였다.

학교수학과 대학수학에서 정의와 증명 개념 변화에 대한 수학사적 분석 (Historical Analysis of Definition and Proof Conceptions in the Transition from Secondary to Tertiary Mathematics)

  • 이지현;최영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1권1호
    • /
    • pp.57-65
    • /
    • 2011
  • 이 연구는 학교수학에서 대학수학으로의 이행과정에서 정의와 증명의 변화와 관련하여, 기하학에서 공리적 방법의 발달과정을 분석하였다. 고대 그리스에서 현대수학적인 공리적 방법으로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상수 혹은 변수라는 기본용어의 성격 차이는 중요한 지표이다. 특히 기본용어의 상수에서 변수로의 성격 변화는 수학에서 정의와 증명 개념 및 수학에 대한 인식 변화를 설명한다. 이러한 수학사적 분석은 대학수학의 입문과정에서 형식적 정의와 증명 개념의 의미를 설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기호의 서술: 어떻게 읽고 이해할 것인가? (Symbol Statement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How to Read and Understand Them?)

  • 백대현;이진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1권2호
    • /
    • pp.165-180
    • /
    • 2011
  • 수학 학습에서 기호는 용어의 수학적 의미를 함축적으로 표현하여 용어와 관련된 학습 내용을 간결하게 나타낸다.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기호는 기호를 처음 접하는 학생이 기호의 수학적 의미를 읽고 이해할 수 있게 제시되었다.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서도 대부분의 기호는 읽고 이해할 수 있게 서술되었지만 교과서에 따라 기호 자체의 서술과 기호와 관련된 내용이 명확하지 않거나 서로 다르게 제시된 사례가 있다. 본 논문은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기호를 읽고 이해할 수 있게 서술하는 것과 관련하여 교수 학습에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논의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의사소통으로서의 수학 (Mathematics as a Communicatio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정은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4권3호
    • /
    • pp.377-394
    • /
    • 2012
  • 이 연구는 학습에서 중요한 요소인 의사소통으로서의 수학이 우리나라 2007 개정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됐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의사소통 활동의 적합성, 용어 기호 사용의 적합성, 문어적 표현의 적합성, 시각적 표현의 적합성, 수학 및 교육과정과의 부합성이라는 기준에 따라 교과서를 분석해본 결과 교육과정의 의도를 잘 반영하는 부분도 있지만 용어의 사용이나 여러 표현에 있어서 미숙한 부분도 많이 발견되었다. 앞으로 교과서를 제작할 때 교과서 저자들 사이의 의사소통, 저자와 작가, 삽화가 등과 충분한 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우리나라 초등학교 1~2학년 수학 교과서/익힘책에서의 용어 사용 실태 분석: <수와 연산> 영역에서의 '곱', '자릿값', '구구', '숫자'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Real State of Using Terms in Grade 1~2 Math Textbook/Workbook in Korea: Centered on 'Product', 'Place Value', 'Multiplication Stairs', 'Numeral')

  • 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4호
    • /
    • pp.833-84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1~2학년 수학 교과서/익힘책 <수와 연산> 영역에서 '곱', '자릿값', '구구', '숫자'라는 용어를 잘못 사용하거나 또는 비일관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태를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다음 네 가지를 결론으로 제시한다. 첫째, ${\ll}$수학 3${\gg}$ 교과서에서 '곱'을 정의해야 한다. ${\ll}$수학 3${\gg}$ 교과서/익힘책에서 곱셈을 도입하지만, 그 계산 결과를 '곱'이라 하고 있지는 않다. 둘째, 초등학교 2학년 수학에서 '자릿값'이라는 용어의 사용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ll}$수학 3${\gg}$${\ll}$수학 4${\gg}$ 교과서/익힘책에서 사용하는 '자릿값'이라는 용어의 의미는 명료하지 않다. 셋째, ${\ll}$수학 2${\gg}$${\ll}$수학 4${\gg}$ 교과서에서 '덧셈구구표'와 '뺄셈구구표'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말아야한다. 넷째, 초등학교 1, 2학년 수학에서 '숫자'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가급적 '수'로 통일해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