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치 적분

Search Result 75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Investigation on Numerical Integration for Radiation Heat Transfer in Radiating Fluid (복사유체의 복사열전달 수치 적분에 관한 연구)

  • Han Cho Young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3a
    • /
    • pp.62-70
    • /
    • 2004
  • Interaction between fluid flow and thermal radiation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due to its numerous applications in engineering field. In this case the thermofluid properties of radiating fluid vary with the variation of temperature field caused by absorption and emission of radiant heat. To analyze the radiation heat transfer in radiating fluid, the simultaneous solution of the radiative transfer equation (RTE) and the fluid dynamics equations is required. This means that the numerical procedure used for the RTE must be computationally efficient to permit its inclusion in the other submodels, and must be compatible with the other transport equations. The finite volume method (FVM) and the discrete ordinates method (DOM) are usually employed to simulate radiation problems in generalized coordinates. These two representative methods are examined and compared, especially in view of the numerical integration of the radiation intensity over solid angle. The FVM shows better accuracy than the DOM owing to less constraints of the selection of control angle.

  • PDF

A Hystesis Loop Modeling of Ferroelectric Thin Film Using Numerical Integration Method (수치적분을 이용한 강유전체의 이력곡선 모델링)

  • 강성준;정양희;유일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3.05a
    • /
    • pp.696-699
    • /
    • 2003
  • In this study, we suggested the model to precisely evaluate the ferroelectric hysteresis loop, using the modified Sawyer-Tower circuit and the ferroelectric capacitor with a MDFM(Metal-Dielectric-ferroelectric-Metal) structure. The mathematical expression of dipole polarization is applied to the numerical integration algorithm, and the fatigue property can be considered including the dielectric layer between ferroelectrics and bottom electrode. The validity of our model is proved comparing the estimated value of our model and the measured results of PLT(10) thin film.

  • PDF

비배수 지하굴착의 거동에 관한 수치해석적 방법

  • 이승래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1989.10a
    • /
    • pp.1.1-10
    • /
    • 1989
  • 본 연구에서는 유효응력 개념에 기초를 둔 응력-변형을 관계식을 이용하여 비배수 지하굴착 거등을 모댈하기 위한 수치해석적 방법이 개발된다. 비배수 조건 시 적용되는 체적불변형 조건은 조건방정식(Penalty formulation)의 혁태로 공극수압 변수를 이용하여 주어지며 결과되는 유한요소 방정식에 상닻히 른 물외 체적변형 개수를 부여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형태와 조건식은 지하굴착 과정에서 발생되는 비배수 공극수압의 계산을 가능케 한다. 체적불변형 조건 부여 시 발생되는 mesh locking은 그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러한 mesh locking 문제는 T-방법에 근거를 둔 salective 적분방법월 적용함으로서 해결될 수 있다. 또한 흙의 거등을 모델하기 위하여 사용 된 Cam-Clay모텔과 Drucker-prager모텔에 새로운 implicit 웅력적분 방법을 적용함으로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비선형거동을 해석할 수 있다. 개발된 지하 굴착 해석방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재 현장에서 측정된 지하굴착 거동을 예제로 이용하였다.

  • PDF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Chaotic Mixing in Chaos Single-Screw Extruder (카오스 단축 압출기의 3차원 카오스 혼합해석)

  • 권태헌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10 no.3
    • /
    • pp.121-13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카오스 스크류에 대해 비선형 동력학적 모델을 도입하여 카오스가 일어나는 경로를 밝히고 이를 수치적으로 증명하였다. 배리어가 계속존재하는 경우를 적분 가능계로 정의하고 공간주기적 상공간에서 두 개의 호모클리닉 궤도를 포함하는 원환체를 적분가능계의 모델로 도입하였다. 주기적으로 삽입된 배리어 없는 영역을 교란 으로 취급하 여 해 사상을 도입하여 면적 보존의 포인카레 단면을 정의 하였다. 호모클리닉 궤도가 깨어 져 칸토로 집합을 이룸을 설명했고 내부의 원환체는 공진띠와 KAM띠를 이루며 혼합을 방 해함을 설명했다. 다변유한요소를 이용한 완전 3차원수치해석을 통해 회전수 x/3에 해당하 는 공진띠의 존재를 보이고 교란이 큰 경우에는 거의 모든 영역이 무작위적인 혼합을 보여 주는 카오스 영역으로 바뀜을 보였다.

  • PDF

An Alternative Point-Matching Technique for Fredholm Integral Equations of Second Kind (제2종 Rredholm 적분방정식의 새로운 수식해법)

  • 이직열;김정기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 /
    • v.22 no.5
    • /
    • pp.83-86
    • /
    • 1985
  • An alternative technique (or the numerical solution of Fredholm integral equations of second kind is presented. The approximate solution is obtained by fitting the data in mixed form at knots in the region of the problem. To decrease the error in the numerical solution, cubic B-spline functions which are twice continuously differentiable at knots are employed as basis function. For a given example, the results of this technique are compared with those of Moment method employing pulse functions for basis function and delta functions for test function and found to br in good agreement.

  • PDF

Explicit and Implicit Dynamic Analysis Using MLS Difference scheme (이동최소제곱 차분법을 이용한 explicit 및 implicit 2차원 동적해석)

  • Kim, Kyeong-Hwan;Lee, Sang-Ho;Yoon, Young-Cheol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719-72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이동최소제곱 차분법을 2차원 동적고체문제를 해석하기 위하여 확장시켰으며 Newmark ${\beta}$ 방법을 통해 explicit와 implicit 시간적분법을 모두 적용하여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동최소제곱 차분법은 Taylor 다항식을 이용하여 미분계산을 근사화 함으로써 내부 및 경계에서도 강형식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그래서 계산이 빠르고 수치적분이 필요하지 않아 무요소법의 장점을 잘 살릴 수 있고 해석차수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어 cubic 등의 고차 근사계산이 간편하다. 두 가지 수치예제를 통하여 동적해석에 대한 이동최소제곱 차분법의 적용성과 안정성을 검증하였다.

  • PDF

Approximation Method for Failure Rates in a General Event Tree (사건 가지상의 사고율 추정을 위한 근사적인 방법)

  • Yang, Hee Jo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22 no.52
    • /
    • pp.181-189
    • /
    • 1999
  • 사건 가지 상의 파라메터 추정을 위한 베이지안 접근방식이 제시된다. 먼저 일반적인 사건 가지를 따라 발생하는 사고를 예측하기 위한 모형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이론적으로 베이지안 기법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논하고 실제로 문제를 풀 경우에 발생하는 다차원 수치적분 문제를 다룬다. 감마 분포와 베타분포가 이용될 경우 위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는 근사적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또한 사건가지상의 여러 경로가 같은 수준의 사고로 분류 될 수 있는 경우에 대해서도 위와 같은 방법에 관한 연구를 한다. 결과적으로 한 사고율이 여러 개의 파라메터의 함수로 표현되어 다차원의 수치적분이 요구되는 경우 이를 쉽게 해결 할 수 있는 근사적인 방법이 제시되어 베이지안 기법의 적용이 용이해 질 수 있다.

  • PDF

Application of Depth-Integrated Two-Dimensional Sediment Transport Model (수심적분 이차원 유사이동모형의 적용)

  • 이남주;최흥식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1 no.2
    • /
    • pp.127-133
    • /
    • 1999
  • The MOSU model, a depth-averaged two-dimensional sediment transport model, is applied to simulate the bed level changes before and after dock construction in Daemyung site. The model is a semi¬coupled finite difference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a river, a reservoir, a lake, estuaries, or coastal regions, The model is able to simulate the transport of fine sand, silt, and clay. The model parameters are estimated by qualitative calibration. A prediction result of the numerical model shows that the bed level changes due to dock construction are little.

  • PDF

Analytical Solution for Harbour Oscillations (항내응답에 대한 해석해)

  • 서승남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8 no.1
    • /
    • pp.72-80
    • /
    • 1996
  • Two analytical solutions for oscillations in a rectangular harbour are presented. In this paper, the correct solution is obtained by use of matched asymptotic expansion method, which was first derived by Mei(1989). The other solution derived from eigenfunction expansion method is also presented, in which more accurate numerical integration is employed. In order to check the solutions, amplification factors inside the harbor are calculated and plotted by both analytical methods and numerical boundary integral equation method.

  • PDF

Effect of patch repair in aluminum plate with a circular hole by 3-D full layerwise model (완전 층별이론에 의한 원공을 갖는 알루미늄 판의 패치 보강 효과)

  • Shin, Young-Sik;Woo, Kwang-Sung;Ahn, Jae-Seok;Yang, Seung-H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304-30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모델링을 이용하여 원공을 갖는 알루미늄 판의 패치 보강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구조물의 노후화로 인해 높은 응력을 받는 부재의 응력 특이점에서 내구력이 급격하게 저하되거나 때로는 부재의 정적파괴를 유발시키는 원인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과거에는 손상된 모재에 보강 재료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리벳 또는 볼트와 같은 기계적 연결을 통해 보강하였으나 최근에는 접착패치보강 기법이 그 주류를 이루고 있다. 패치 보강시 일면 패치 보강으로 인하여 면외 휨 효과가 발생된다. 판의 두께 방향에 따른 응력집중계수를 별도로 분석하였다. 기존의 3차원 솔리드 요소는 해의 정확성은 뛰어난 반면에 상당한 컴퓨터 시간을 요구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각 층의 변위장을 2차원 형상함수와 1차원 형상함수의 조합으로 구성하여, 면내거동에 대한 p-세분화와 면외거동에 대한 p-세분화를 분리시키는 방식을 취한다. 또한, 에너지 함수의 적분시 Gauss-Lobatto 적분법을 사용하여 절점의 위치에서의 응력점을 구하는 경우, 외삽과정을 계산하는 단계를 생략하면서도, 해의 정확성 측면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기 때문에 좀 더 효율적인 수치적분이 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