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요자 중심 교육

Search Result 20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Implementation of MOOC Based on Open Source Platform (오픈소스 플랫폼을 활용한 MOOC 구축 방안)

  • Choi, Hyun Wong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7.08a
    • /
    • pp.149-152
    • /
    • 2017
  • 최근 4차 산업혁명 및 인터넷 환경이 변화되면서 대학 교육환경의 빠른 변화와 산업체에 재 교육이나 온라인 교육에 있어, 교육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교육환경을 바꾸고자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8년부터 '한국형 나노디그리' 모델을 개발하고 한국형 무크 강좌도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MOOC에 대해서 알아보고 오픈소스 플랫폼(Moodle, Tao-testing, Joomla)를 활용하여 MOOC를 구축함으로서 대학교의 환경을 최소의 비용으로 강의자 및 교육자 위주의 환경에서 수요자가 원하는 교육환경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교육의 세계화 이끄는 촉진제

  • Hwang, Dae-Jun
    • Digital Contents
    • /
    • no.11 s.78
    • /
    • pp.82-87
    • /
    • 1999
  • 사이버 대학은 디지털 시대를 맞아 대두된 수요자 중심의 교육패러다임을 능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방형 교육체제로서 재교육, 학위교육, 평생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 수요자들에게 유연한 교육환경으로서 인식이 확산되어 가고 있다.

  • PDF

교육 수요자 중심의 학부제

  • Kim, Jin-Uk
    • 대학교육
    • /
    • s.84
    • /
    • pp.115-123
    • /
    • 1996
  • 현재 우리의 대학교육 체제가 크게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학부제의 도입이 최대의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대학이 학부제의 특성을 볼 수 있는 복수전공 취득이 가능한 구체적인 교육과정 등도 마련해놓지 않고 유사계열의 학과들을 묶어 학부라고 이름지음으로써 '학부제=학과 통폐합'이라는 오해를 불러 일으키며, 교육개혁에 대한 거부감마저 낳고 있다. 이른바 교육소비자 중심시대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학부제만이 유일한 해결책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교육서비스의 수요자를 중심으로 한 학부제라면 경쟁력 있는 대학으로 가는 길임에는 틀림이 없는 것 같다.

  • PDF

건축시공교육의 교과목 내용에 대한 제언

  • Jung, Jae-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3 no.4
    • /
    • pp.53-55
    • /
    • 2003
  • 과거의 대학교육이 교수 중심의 공급자 중심이었다고 한다면 미래의 교육은 수요자 중심의 교육, 즉 학생 중심의 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논의가 무성하다. 또한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졸업한 학생을 채용하는 기업이 바라는 교육의 내용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공학인증제도의 도입노력과 연관된다. 즉 회사가 채용한 대학 졸업생의 실력을 통하여 대학의 교육성과를 최종수요자인 회사가 평가하여 그 결과를 대학의 교육과정에 피드백하는 것이 공-학인증제도의 취지이다. 그러므로 회사가 원하는 졸업생의 능력을 갖추도록 대학교육의 커리큘럼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렇지 못한 대학은 채용에 있어서 불이익을 받을 것이다. (중략)

Issues in Cyber Education (사이버 교육의 현황)

  • 황대준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172-196
    • /
    • 1997
  • 정보통신 기술, 방송 기술 및 관련 소프트웨어 기술 발전은 수요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정보 제공자에게로 다가가던 종래의 정보서비스 환경으로부터 사이버 공간을 통해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환경으로의 변화를 촉진시켜주고 있다. 수요자 중심의 개별화된 학습체제에 대한 필요성과 시간과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는 사이버 공간을 통한 교육 기회의 확대는 정보통신망과 방송망을 통해서 다양한 형태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버 교육의 큰 특징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사이버 교육 환경 구현에 필요한 제반 요소들을 분석하고, 국내외 사이버 교육의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서 사이버 교육이 갖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국내의 경우 사이버 교육의 도입 현황을 살펴봄으로서 사이버 교육이 열린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방법으로 정착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해 보고져 한다.

  • PDF

A Linkage between Educational Autonomy Innovation and School Space Innovation - Focusing o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 (교육자치혁신과 학교공간혁신 연계 방안 - 세종특별자치시를 중심으로 -)

  • Lee, Yong-Hwan;Koo, Joong-Phil;Kim, Kwan-Young;Park, Joung-Lan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8 no.4
    • /
    • pp.33-43
    • /
    • 2019
  • This study was to research and analyze the concept of school space innovation to aim at the importance of user educational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of students, teachers, or consumers connected with the educational autonomous innovative curriculum and various school-government educational activities and suggest the ways to link school space innovation to the best possible reflection for demander-centered or the demander needs To this end, the basic concepts of the autonomous education and school space innovation were reviewed, and the literature survey on the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in 2015 and educational autonomous innovation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educational goals and basic value-added awareness of the curriculum. The purpose was to research the percep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through the survey and analysis of basic values of education, the functions of school education, the direction of school environment and space spatial composition, and school space.

An Exploratory Study on Development of Korean Media Educational Model (한국형 미디어교육 모형의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 Lee, Ran;Hyun, Eunj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3
    • /
    • pp.462-473
    • /
    • 2017
  • This study suggested appropriate media educational model for the Korean situation based on the two previous research results concerning Korean media mental model which have abstracted from elementary schoolers and parents respectively living in and around Seoul. This looked through typical media educational model being in effect in Western countries such as Buckingham's creation-centered model, Hobbs' action-centered model, Potter's analysis-centered model and Vanhoozer's worldview-centered model, synthesized all the strengths of each model, and finally modified and reorganized this new model to reflect demanders' needs. Newly developed demander-centered educational model is a kind of circulation model consisting of a chain of the steps: worldview and viewpoints, use(access), analysis and evaluation, reflection, and social act; Each step borrowed the essential contents of each domain of objectives and tried to reflect the specific situations for Korean demanders. The needs for media use etiquette against addiction and cyberbullying were applied to the step of 'worldview and viewpoint', the needs for the educational status of books as media to 'use(access)', and the reality of highly used digital media to 'social act.'

제7차 교육과정속의 통계교육

  • Lee, Sang-Bok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5a
    • /
    • pp.57-63
    • /
    • 2003
  • 시대적으로 요구되는 수요자(학습자) 중심 교육의 구현과 교육 공급자(학교)는 학습자의 적성, 능력, 흥미, 진로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을 개방하고 이에 적합한 교육환경을 제공하여 학습 주체인 학습자가 교육을 통해 생활에 필요한 능력과 적성에 맞는 진로를 찾을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이 제7차 교육 과정의 핵심이다. 1997년부터 시행되어 2002년 고등학교에서 처음 실시한 수학과교육과정 속의 초등 및 중등학교 통계교육과정의 개요와 특성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Curriculum Determinant Factors and Composition Factors -Focus on Department of Information Management- (교육과정 결정 요인과 교육 과목 구성에 관한 연구 -정보관련 학과를 중심으로-)

  • 김정열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5 no.4
    • /
    • pp.211-217
    • /
    • 2000
  • The Curriculum Determinant Factors of Information Management are identified Manpower Demand Factor, Department Associate Perception Factor, Imitation Factor, Education Demand Factor. The result of This Study proposed that Computer Science Field, IT Field, Internet Field had to Include to Curriculum of Information management. In Addi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identified that Curriculum Determinant Factor is related to Composition Factor. Manpower Demand factor Department Associate Perception Factor are important to Curriculum Determinant. And IT Field, Computer Science Field are critical to curriculum of Information Manage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