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ory Study on Development of Korean Media Educational Model

한국형 미디어교육 모형의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이란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 현은자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Received : 2016.12.16
  • Accepted : 2017.02.23
  • Published : 2017.03.28

Abstract

This study suggested appropriate media educational model for the Korean situation based on the two previous research results concerning Korean media mental model which have abstracted from elementary schoolers and parents respectively living in and around Seoul. This looked through typical media educational model being in effect in Western countries such as Buckingham's creation-centered model, Hobbs' action-centered model, Potter's analysis-centered model and Vanhoozer's worldview-centered model, synthesized all the strengths of each model, and finally modified and reorganized this new model to reflect demanders' needs. Newly developed demander-centered educational model is a kind of circulation model consisting of a chain of the steps: worldview and viewpoints, use(access), analysis and evaluation, reflection, and social act; Each step borrowed the essential contents of each domain of objectives and tried to reflect the specific situations for Korean demanders. The needs for media use etiquette against addiction and cyberbullying were applied to the step of 'worldview and viewpoint', the needs for the educational status of books as media to 'use(access)', and the reality of highly used digital media to 'social act.'

본 연구는 서울 인근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각각 수행된 미디어 심성모형 관련 두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한국 상황에 적합한 한국형 미디어 교육 모형을 문헌 고찰을 통해 제안하였다. 미디어 교육이 성공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서구의 대표적 미디어 교육 모형, 즉 버킹엄의 창작 중심 교육 모형, 홉스의 실천 중심 교육 모형, 포터의 분석 중심 교육 모형, 밴후저의 세계관 중심 교육 모형을 검토해 보고, 이들 각 모형들의 장점들을 종합한 후, 한국의 수요자들의 필요를 반영하여 이를 수정하고 재편하였다. 새로 개발된 수요자 중심 교육 모형은 '세계관과 관점,' '사용(접근),' '분석과 평가,' '성찰,' '사회적 실천' 단계로 구성된 순환 모형인데, 각 단계는 앞서 살펴본 4개의 대표적 모형이 각각 강조하고 있는 각 목표 영역의 핵심 내용들을 차용하되 한국 수요자들의 특수한 현실을 반영했다. 중독이나 사이버 폭력 등의 미디어 사용태도에 관한 필요는 '세계관과 관점' 영역에 반영하였고, 인쇄 매체인 도서의 미디어로서의 위상 교육은 '사용(접근)'에, 디지털 미디어의 높은 사용 빈도의 현실은 '사회적 실천' 영역에 반영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J. Meyrowitz, "Understandings of Media," ETC:: A Review of General Semantics, Vol.56, No.1, pp.44-52, 1999.
  2. J. Meyrowitz, "Multiple Media Literacie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8, No.1, pp.96-108, 1998.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8.tb02740.x
  3. 이란, 현은자, "미디어 환경과 사용에 관한 아동의 심성모형 질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6, pp.601-613,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6.601
  4. 김양은,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5.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6. 김양은, "미디어 교육과정 모델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7, 2007.
  7. D. Buckingham, 미디어 교육, Seoul: jNBook, 2004.
  8. W. J. Potter, Media literacy (7th edition), CA: Sage, 2013.
  9. 이란, 현은자, "디지털 시대의 아동 미디어 관련 연구동향 분석," 아동학회지, Vol.35, No.4, pp.17-40, 2014. https://doi.org/10.5723/KJCS.2014.35.4.17
  10. 이란, 홍지민, "미디어 환경과 사용에 대한 부모의 심성모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2, pp.818-83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2.818
  11. D. Buckingham, Media Education, Polity, 2003.
  12. 김양은,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미디어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에서의 미디어 교육 실행 모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13. R. Hobbs, "The state of media literacy: A response to Potter,"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55, No.3, pp.419-430, 2011. https://doi.org/10.1080/08838151.2011.597594
  14. W. J. Potter, "The state of media literacy,"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54, No.4, pp.675-696, 2010. https://doi.org/10.1080/08838151.2011.521462
  15. K. Vanhoozer, Everyday Theology, 윤석인 역, 문화신학,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07.
  16. 정재철, 손인수, 권오일, 교육원리, 서울: 교육, 1991.
  17. 안정임, 전경란, 미디어 교육의 이해, 서울: 한나래, 1999.
  18. 김양은, "미디어교육의 개념변화에 대한 고찰,"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8, pp.77-110, 2005.
  19. K. Vanhoozer, Is there a meaning in this text?, Michigan: Zondervan,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