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업 행동

검색결과 384건 처리시간 0.027초

자기주도학습의 명시적 수업과 암묵적 수업에 대한 과학영재중학생의 평가에서 관찰되는 자기주도학습 요소 비교 (Comparison of Components of Self-directed Learning Discribed in the Students' Evaluation of Explicit Instruction and Implicit Instruction Regarding Self-directed Learning)

  • 최승언;김은숙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6호
    • /
    • pp.1077-1098
    • /
    • 2013
  • 자기주도학습을 암묵적으로 다루는 과학내용수업과 명시적으로 다루는 자율학습자수업으로 구성되어 있는 과학영재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들에게 매 수업마다 평가의 일부로 수업에서 만족스러운 점을 서술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에서 언급되는 자기주도학습 관련 요소들을 비교하였다. 첫째, 자기주도 학습 관련 하위요소의 대부분이 학생들의 평가에 언급되어 있었다. 수업 평가에서 만족스러운 이유를 조금이라도 구체적으로 서술한 경우, 거의 언제나 자기주도학습 관련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분류기준에 있는 대부분의 하위요소가 언급되었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학생들이 자기주도학습 관련 요소들을 인식했고, 그에 대해서 만족스러워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두 가지 수업에 대한 평가에서 자주 언급되는 자기주도학습 관련 요소와 빈도에 차이가 있었는데, 자율학습자수업에 대한 평가에서 더 많은 요소들이 더 높은 비율로 언급되었다. 예를 들어 탐구기반 차원의 하위요소인 조별활동은 두 수업에서 동일하게 수행되지만, 자율학습자수업에 대한 평가에서 더 자주 언급되었다. 자율학습자수업 평가에서 더 자주 언급된 하위요소들로 인지차원에서 조직화, 계획, 점검, 동기차원에서 자아효능감과 성취가치, 행동차원에서 행동 통제 등이 있다. 한편 일반인지 차원의 하위요소인 지식의 정교화는 주로 과학내용수업 평가에서 언급되었으며, 동기차원의 하위요소인 목적지향은 두 수업에서 모두 많은 학생들이 언급하였으나 과학내용수업 평가에서 더 많은 학생들이 언급하였다. 따라서 두 가지 수업에서 학생들이 인식하는 자기주도학습 관련 요소들에 차이가 있으며 두 수업이 서로 보완적이며 두 가지 수업이 모두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초등 수학 수업을 위한 수학적 과정의 적용 (Applying the Mathematical Processes to an Elementary School Class for Mathematics)

  • 장혜원;김민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9-37
    • /
    • 2013
  •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취지인 창의 인성 중 창의성 신장이라는 측면에서 이전보다 훨씬 강조된 요소인 '수학적 과정'은 수학적 문제 해결, 수학적 추론, 수학적 의사소통의 세 가지로, 학생에게 기대되는 수학적 활동을 의미한다. 이는 수학 수업 전반에서 추구되어야 할 행동 요소이지만 구체적 실행 방안을 갖추지 못한 채 모든 수업에서 구현한다는 막연한 생각은 그 실행을 요원하게 할 것이라는 우려를 낳는다. 2013학년도부터 수학적 과정을 반영한 교과서가 출간되고 교사들은 이에 근거하여 수업을 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교실수업에 제대로 반영될 수 있는가하는 것은 전적으로 교사의 의지에 달려있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수학적 과정을 강조하는 초등 수학 수업의 운용에 초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수학적 과정의 세 가지 요소에 대한 교수 학습시 유의점을 기본틀로 삼아 그에 기초하여 학교수학의 한 차시에 대한 수업 지도안을 고안하였다. 그리고 지도안을 대상 학년인 4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한 수업에서 학생 행동 및 반응을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수학적 과정의 강화를 위한 효과적인 지도 방향을 탐색하였다.

  • PDF

대학교 국제개발협력의 이해 수업이 세계시민의식, 진로정체성, 진로준비행동 및 협력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Research on the Effect of Awareness Enhancing Education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on Global Citizenship, Career Identit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ooperative Efficacy)

  • 유영미;심선주;박선영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47-54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국제협력단(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에서 주관하는 대학교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사업이 대학생의 세계시민의식과 진로정체성, 진로준비행동 및 협력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유사실험연구 설계를 적용하였으며, C시 소재 일개 대학교에서 국제개발협력의 이해 수업에 참여한 32명의 수강생 및 수업에 수강하지 않은 32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학기 초와 학기 말에 세계시민의식, 진로정체감, 진로준비행동, 그리고 협력적 효능감을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국제개발협력의 이해 수업을 수강한 실험군의 세계시민의식(p=.003)과 진로준비행동(p=.013) 수준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진로정체성(p=.385)과 협력적 효능감(p=.488)은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국제개발협력의 이해수업의 효과를 확인하여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사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외식전공 대학생의 진로선택유형, 수업참여도, 진로준비행동과의 영향 관계 연구 (The Study on the Influence of Career Selection Typ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 in Foodservice, Class Participat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박이경;우이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21-13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외식전공대학생의 진로선택유형에 따라서 수업참여도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들과 그 요인을 이용한 앞으로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총 3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한 30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나머지 320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실증연구에 사용되었다. 조사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계프로그램 SPSS 1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진로선택유형에 대한 측정항목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2개 요인으로 KMO 값은 0.754, 총분산비율 64,555%, 수업참여도에 대한 요인분석은 전체설명력 95,640%, KMO 값은 0,702으로 나타났다.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요인분석은 전체설명력 64,312%, KMO 값은 0,765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로선택유형에 따른 수업참여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은 부분채택 되었다.

수업관찰 기법의 특성과 내용 분석 - CLASS 기법의 시범적 적용 - (An Analysis of the Observing Methods for Classroom: Pilot Application of CLASS)

  • 김현욱;안세근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2호
    • /
    • pp.77-95
    • /
    • 2018
  • 본 연구는 수업관찰을 위한 양적 측정도구로서 CLASS (Classroom Assessment Scoring System)를 소개하고 그 특성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CLASS는 수업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되었고 미국 전역에서 활용되고 있다. CLASS는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 작용을 측정하고 주제 영역 및 학생연령 별로 상호 작용을 확인하는 도구로서 세 가지 질적 영역, 즉, 정서적 지원, 학급 조직, 교육지원 등으로 구성된다. CLASS는 학생들의 학습을 위한 핵심으로 교사와 학생들 간의 상호 작용 패턴에 중점을 둔다. 관찰자가 교사와 학생을 10분~15분 동안 3~4번 관찰하며, 관찰은 행동과 반응의 유형에 따라 1에서 7사이의 연속된 등급척도로 평가된다. CLASS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경력이 많은 전문가 교사의 학급과 초임교사의 학급에 적용하여 분석해 보았다. 전문가 교사는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수업을 이끌어가는 데 집중을 하였고, 초임 교사는 교과의 내용을 다루는 데 집중을 하였다. 초임교사는 학급 분위기를 긍정적으로 만들고, 학생들에게 피드백 해주는 데 비교적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전문가 교사는 학생의 의견, 질문, 미세한 감정 등을 파악하고 드러내는 데 보다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CLASS는 교실에서 어떤 유형의 행동과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지를 기록하고 이를 분석하는 관찰도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과학수업에서 교사에 의해 조성되는 심리적 학습환경측정 도구개발 (Development of the 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 Generated by Science Teachers in the Science Instruction)

  • 이재천;김범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13-325
    • /
    • 1998
  • 이 연구는 과학수업에서 교사로부터 조성되는 심리적 학습환경을 조사하기 위한 도구개발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구조화된 면담지와 개방적 질문지를 이용하여 과학교사 및 학생들의 학습환경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사 38명, 학생 1,270명이 연구 대상으로 표집되었다. 문헌조사 및 우리 나라 학생들의 과학교사에 대한 반응유형 분석을 통하여 심리적 환경범주, 세부범주, 세부평가 척도등이 결정되었다. 1, 2차 현장 검사를 통하여 교사특성, 수업행동, 지원적 행동 등의 환경범주와 9개의 세부범주가 조사되었다. 최종 개발된 PLEIS는 45문항의 학습환경평가 문항으로 내적 일관성이 높고 구성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개발된 조사도구는 교사의 효율성 평가도구나 학생들의 긍정적인 학습환경 조성을 위한 교수전략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교육현장에서 과학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은 본 조사도구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과학에 대해서 편안한 마음을 지니고 학습에 임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분위기 조성과 과학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를 통하여 수업반성이나 수업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 PDF

디지털 융복합 시대에 회계정보수업의 TPB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of Accounting Information Classes in the Digital Convergence Era)

  • 이신남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169-175
    • /
    • 2015
  • 융복합 학문이 중요시 되는 21세기에 교수학습방법도 이론 중심의 강의보다 컴퓨터를 활용한 학습이 높은 학습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기지역 4년제 대학생 중 회계정보수업을 수강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회계정보수업에서 인식적 참여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회계정보수업의 TPB 변수들은 인식적 참여에 있어서 본질적 호기심에 유의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기술의 활용학습이 회계정보수업에서 학습 태도, 인지된 행위통제, 주관적 기준이 높을수록 인식적 참여 중 본질적 호기심이 향상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둘째, 회계정보수업의 TPB 변수 중 주관적 기준이 즐거움에 정(+)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TPB가 인식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학습자의 심리상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회계교육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것이다. 향후에는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인식적 참여에 대한 다양한 변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UCR활용수업의 실제학습시간 및 소실된 수업시간 분석 (The Analysis of ALT and Unuse of Learning Time in UCR Based Instruction)

  • 백제은;김경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5-24
    • /
    • 2015
  • 수업시간의 적절한 분배와 활용은 효과적인 수업의 필수 조건이며 기본 조건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수행된 UCR(User Created Robot)활용수업 관련 연구 중에서는 수업시간에 관한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UCR활용수업 수행을 위하여 UCR활용수업의 실제학습시간과 소실된 수업시간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4학년 통합학급 학생 3인을 대상으로 집중 관찰을 실시하였고 UCR활용수업 전 후에 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UCR활용 수업은 일반수업에 비해 실제학습시간이 적게 나타났다. 또한 UCR활용수업에서 소실된 수업시간의 대부분은 로봇매체를 준비하거나 정리하는 시간으로 활용되었고, 일부는 학생들의 수업무관 행동 및 비집중 하거나 외부의 영향으로 수업시간이 소실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체육 전공 대학생이 인지한 대학교 교양 수업 지도자의 전문성과 운동몰입 및 참여지속의도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the Expertise of University Liberal Arts Class Instructor, the Exercise Flow and Persistent Participation Intention Perceived by Non-Sports Major University Students)

  • 이영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735-749
    • /
    • 2021
  • COVID-19사태로 인하여 현재 대학교에서 제공하는 비대면 형식의 교양 수영 수업에 대한 평가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대학교의 교양수영 수업의 질은 지도자가 갖추고 있는 전문성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학생들은 실기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재 상황에서 운동몰입을 경험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참여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쉽게 확답을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는 수영 종목뿐만 아니라 모든 교양 체육 및 생활 체육 종목에 있어서 앞으로 상당한 위협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교양 수영 수업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281명의 비체육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교 수영 수업 지도자의 전문성이 비체육 전공 대학생이 인지한 운동몰입과 참여지속의도간의 구조적 관계에 연구의 필요성을 발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체육 전공 대학생이 인지한 교양 수영 수업 지도자의 전문성(인성, 강의기술, 학생관리, 실습능력, 기초지식)이 운동몰입(인지몰입, 행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인지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강의기술이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행위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성, 강의기술, 학생관리, 기초지식에서 통계적으로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체육 전공 대학생이 인지한 운동몰입(인지몰입, 행동몰입)이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행동몰입 요인이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수업 관찰 행위가 수학 수업 개선에 미치는 효과 연구

  • 권영인;김미옥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3권3호
    • /
    • pp.271-30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how effective teachers' self reflectiveness are on enhancing mathematics teaching activities. Researcher is the object of the study and relating preceding researches, establish some instruments for study. This research was examined for six times from fifth week of March to second week of Ma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one class of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in Ulsan was selected. In order to define the changes of teaching activity, the first lecture was practiced without analyzing or reflective activity. From the second lecture, analyze and reflect own teaching activity with recording. After finishing all lecture, distribute the recordings to observers and other teachers and then, get measured. Based on the results, self reflective teaching makes great effects on enhancing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Through teachers' own reflective teaching, they can know their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repeatable was of speaking, and the acknowledgement of objectives. And, finally, they can enhance their teaching activity by reflective teach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