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업참여행동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5초

시각적 스케줄 활용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Using Visual Schedule on Class Engagement Behaviors of an Elementary Student with ASD)

  • 박철현;최진혁
    • 특수아동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193-215
    • /
    • 2019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시각적 스케줄을 활용하는 것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상황간 중다간헐기초선 연구설계 방법을 사용하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가운데 자폐성장애를 갖고, 저조한 수업참여행동을 보이는 학생 1명을 대상으로 수업참여의 세가지 활동 상황(태블릿 PC사용, 화분 심기, 신문 스크랩)에서 학생이 나타내는 4가지 유형의 수업참여행동(활동 준비 행동, 과제 수행 행동, 정리 행동, 활동 종료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 보았다. 연구결과 및 결론: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학생은 3가지의 상황에서 모두 수업참여행동의 정반응률이 증가하여 중재 장면에서 85%이상으로 수업참여행동이 증가함을 보였다. 둘째, 중재 전 기초선·유지 측정 결과 중재 전 평균 약 25.8%의 수업참여행동 정반응률에서 중재 후 약 91.1%로 향상되었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시각적 스케줄 구성 요소 및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자기점검기법이 아동의 수업 방해 행동 및 수업 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on the Class Obstacle Behaviors and Participation Behaviors of Children)

  • 이민정;황순자
    • 초등상담연구
    • /
    • 제9권1호
    • /
    • pp.75-94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행동의 개선을 위하여 수업행동을 수업 방해 행동과 수업 참여 행동으로 구분하고, 자기점검기법이 대상 아동들의 수업 방해 행동과 수업 참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자기점검기법이 아동의 수업 방해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자기점검기법이 아동의 수업 참여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가설은 1. 자기점검기법은 아동의 수업방해행동을 감소시킬 것이다. 2. 자기점검 기법은 아동의 수업참여행동을 증가시킬 것이다로 세웠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하는 A초등학교 4학년 $\circledcirc$반 일반 학급 아동 12명으로 이는 기초선 기간의 행동측정 결과 수업 방해 행동 비율이 높은 8명과 수업 참여 행동 비율이 낮은 8명을 선정하였고, 양 쪽 그룹 모두에 속하는 아동이 4명이다. 이들의 사전 행동 관찰을 거쳐 개별적으로 수업 방해 행동 및 수업 참여 행동의 목표 행동을 설정하도록 하고, 기초선 1 기간 동안 각 행동의 빈도를 연구자가 두 명의 관찰자와 함께 측정하였다. 이후 중재 1 기간 동안 자기점검기법이 적용되었고, 아동 행동변화의 효과가 자기점검기법임을 밝히기 위하여 기초선 2 기간을 가졌다. 이후 중재 2 기간 동안 다시 자기점검기법이 실시되었으며, 10일 후 유지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후 점검을 실시하였다. 개별 아동의 행동 발생 빈도를 변화 그래프를 이용하여 나타냈으며, 양적 결과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대상 아동들의 사후 소감문을 분석하였고, 연구자의 관찰내용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자기점검기법은 아동의 수업 방해 행동의 감소와 변화된 행동의 유지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점검기법은 아동의 수업 참여 행동의 증가와 변화된 행동의 유지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교양체육수업 참여 대학생의 참여가치와 성향 및 수업 참여행동에 관한 융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Participating Value & Propensity and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Physical Education Class)

  • 김승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5호
    • /
    • pp.375-384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대학교에서 실시하는 교양체육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의 수업 참여가치를 분석하고, 학생들이 지각하고 있는 수업 참여성향과 수업 참여행동과의 융복합 관계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14년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대학교에서 실시하는 대학 교양체육수업에 참여한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연구에서 적절하지 않은 26부의 자료를 제외한 총 274부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PASW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확인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체육수업 참여 학생들의 수업 참여가치는 참여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체육수업 참여 학생들의 참여성향은 수업 참여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환경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책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Class Using EBS Program on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Environmental Responsible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정지현;김순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24-233
    • /
    • 2023
  • 본 연구는 P광역시 S초등학교 6학년 4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환경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환경감수성과 환경책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것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환경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환경감수성을 유의미하게 향상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환경수업이 학교라는 공간적 제약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지구시민들이 환경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한다는 점을 알려준다는 점과, EBS 교육방송 환경 콘텐츠에서 제안하는 환경 문제를학습자가 자신의 문제로 삼아 기쁨, 슬픔, 분노, 두려움, 기대감이라는 정서적인 측면을 기르고, 더 나아가 일상생활, 학교생활에서 환경 문제를 찾아보고 친환경 행동에 참여, 실천하면서 환경감수성이 길러졌다고 생각된다. 둘째,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환경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환경책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환경수업이 지식전달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환경과 관련된 시민적 행동, 교육적 행동, 경제적 행동, 신체적 행동, 설득적 행동으로 연결되는 학습을 제안한다는 점과 실천에 참여한 학생들이 서로 자신의 의견과 생각을 나눠보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환경에 대한 책임감이 길러졌다고 판단된다. 셋째,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환경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 흥미도, 참여도를 분석한 결과 연구집단 20명의 학생들 중 80%의 학생들이 만족했으며, 90%의 학생들이 수업이 흥미로웠다고 답했다. 또한 수업의 참여도를 묻는 질문에도 85%의 학생들이 열심히 참여했다고 답했다. 학생들이 지식으로만 환경문제를 접하고 끝내는 수업이 아니라 서로의 생각을 나누고, 행동에 변화를 주면서 환경문제에 자신이 직접 참여하고 있음을 알게 하였기에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환경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고 생각된다.

학생 참여형 수업에서 교사 배경변인과 교사효능감이 초등교사의 수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nd Teacher Efficac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structional Behavior in Student-Participatory Class)

  • 김도형;이동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51-58
    • /
    • 2020
  • 본 연구는 교사 배경변인과 교사효능감이 학생 참여형 수업에서 초등교사의 수업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G 지역에 재직 중인 초등학교 교사 1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변수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교사효능감의 하위변인인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 선호가 초등교사의 수업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교사의 수업행동 중 수업지식과 수업동기유발에 대해서는 자기조절효능감이 과제난이도 선호보다 더욱 높은 영향을 미쳤고, 수업의사소통에 대해서는 과제난이도 선호가 자기조절효능감 보다 영향력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생 참여형 수업에서 초등교사의 바람직한 수업행동이 나타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행동적 참여 분석을 위한 영상 분석 도구의 개발 (Developing an Instrument for Analysing Students' Behavioral Engagement in School Science Classroom)

  • 최준영;나지연;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47-258
    • /
    • 2015
  • 학생은 대화뿐만 아니라 비언어적인 행동을 통해서도 수업에 참여한다. 특히 과학교실에서는 다른 교과수업과 다르게 과학기구의 사용, 관찰, 측정 등의 비언어적인 행동들이 나타난다. 그런데 학생의 행동적 참여를 분석하는 기존의 도구들은 과학교과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특징적인 활동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과학교과의 학습 활동을 고려한 행동적 참여 영상 분석 도구를 개발하였다. 분석 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첫째, 문헌연구와 초등학교 과학수업 관찰을 바탕으로 수업 중에 나타나는 학생의 행동을 14가지로 범주화하였다(자유발화, 음독, 경청하기, 묵독, 쓰기, 주의 집중하기, 손들기, 이동하기, 비참여적 움직임, 과제 움직임, 관찰하기, 측정하기, 분류하기, 실험도구 다루기). 둘째, 이를 바탕으로 '과학수업 중 행동적 참여 상태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셋째, Microsoft Excel Visual Basic을 이용하여 분석틀에 따라 학생들의 발화 여부, 시선, 몸의 움직임 등을 기록하고 분석할 수 있는 분석 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도구를 이용하면 수업 중학생의 각 행동이 수행된 시간과 학생의 네 가지 수업참여 상태(즉, 참여적 발화, 참여적 침묵, 비참여적 발화, 비참여적 침묵)를 파악할 수 있다. 개발된 분석 도구를 실제 과학시간의 초등학생 두 명을 대상으로 예시적으로 적용해 본 결과, 교사는 수업활동(일반, 시범실험, 실험활동)에 따라 발화의 양을 달리하였으며, 분석대상인 두 학생은 전체 수업시간 동안 참여적 침묵 상태에 있는 시간이 가장 길었다(학생 A: 63%, 학생 B: 72%). 참여적 침묵 상태에 있는 두 학생은 '경청하기'를 하는 시간이 가장 길었는데(학생 A: 51%, 학생 B: 42%), 교사의 발화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실험활동 시간에는 오히려 '경청하기'를 거의 하지 않은 대신에 '관찰하기'를 가장 많이 하였다(학생 A: 47%, 학생 B: 53%). 개발된 분석 도구가 비언어적인 행동을 통하여 과학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LSTM 기반의 온라인 수업 속 학습활동 검출 방법 (A Method for Detecting Learning Activities in Online Classes Based on LSTM)

  • 박지영;박세희;박승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97-98
    • /
    • 2021
  • 학습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는 학업에서 중요한 행동이며 높은 학업 참여는 성공적인 학업성취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학업 참여는 학자들의 관점에 따라 행동적 참여, 정서적 참여, 인지적 참여로 구분된다. 행동적 참여는 학생들이 실제 학습활동과 과제 수행에 어떻게 참여하는가로 정의한다. 그러나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는 학생들의 학습활동을 평가하는 데 어려움이 존재하여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 분석을 이용한 양방향 Convolutional LSTM 모델을 기반으로 온라인 수업 상에서 학습활동 중 하나인 손들기 행동을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으로 학습활동 중 하나인 손들기 행동의 인식 정확도는 88%이다.

  • PDF

초등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 참여도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 국내 단일대상연구 설계 중심으로 (A Systematic Study on the Intervention Study of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 Focusing on the Design of Single-Subject Research in Korea)

  • 황인비;최유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4-60
    • /
    • 2021
  • 목적 : 이 연구는 초등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 참여도 중재에 대한 단일대상연구의 특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총 5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일반적 특성과 단일대상연구의 질적 수준을 알아보았다. 결과 : 연구 대상자는 12명이었으며, 중재는 모두 교실에서 진행되었다. 연구 설계는 모두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독립변인은 긍정적 행동지원, 장점강화활동,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 자기점검법 등이었고, 종속변인은 수업참여 행동만을 측정(4편)하거나 수업참여 행동과 수업방해 행동을 함께 측정(1편)하였다. 분석 논문의 질적 수준은 모두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 초등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 참여도 중재 연구들은 효과적인 중재를 제공하고 질적 수준이 높아 근거 기반중재로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간 온라인 수업행동분석시스템 구축 (Construction of Online Classroom Monitoring System)

  • 김세훈;최정우;김정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21-424
    • /
    • 2010
  • 수업역량향상을 위해 최근 각 학교별 수업행동분석실을 갖추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수업행동분석실은 많은 비용, 시연자와 분석자에 대한 시공간적 제약, 비효율적인 피드백 방법, 사후 자가분석 어려움 등 많은 문제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수업행동분석시스템 설계를 통해 물리적 공간 설치의 비용을 절감하고 전문가 참여를 위한 시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비대면 실기 수업 적용 교수법이 학업성취도와 학습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디자인 수업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Teaching Methods Applied to the Remote Practical Technique Classes on Learning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 Focusing on Design Classes)

  • 이희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697-710
    • /
    • 2022
  • 본 연구는 비대면 실기 수업에서 효과적인 교수법이 학습 참여도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일러스트레이션 디자인 교과목 실습수업을 소재로 한 사례 탐구와 함께 설문조사를 통한 자료의 수집 및 분석을 시행하고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측정 도구는 원격 실기 수업, 학습 참여도, 학업성취도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및 AMOS 프로그램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교육은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참여도에 부(-)의 영향으로 나타났다. 둘째, Flipped Learning은 인지적 참여와 정서적 참여에 정(+)으로, 행동적 참여도에는 확인되지 않았다. 셋째, PBL은 정서적 참여, 인지적 참여 및 행동적 참여 모두에 정(+)으로 나타났다. 넷째, 동영상은 인지적 및 정서적 참여도에 유의한 영향은 없었고, 행동적 참여도에만 정(+)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지적 참여도만 학업성취도에 정(+)의 영향, 정서적 및 행동적 참여도는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PBL 방식과 Flipped Learning을 중심으로 실제 수업에 결합하고 VR 콘텐츠 제작 방식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라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