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업모델

Search Result 53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ducational Model for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예비 교사의 인공지능 융합 수업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 모델 제안)

  • Seong-Wo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229-231
    • /
    • 2023
  • 테크놀로지의 발달에 따라 수업에서 테크놀로지의 도입이 증가하고 있다. 테크놀로지는 학교 현장에 도입되어서, 교수-학습 형태의 변화와 교육 환경의 혁신을 이끌고 있다. 이에 따라 수업에서 테크놀로지 중요성은 더욱 증가하였으며, 예비 교사의 교육 모델에서 테크놀로지 지식을 함양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졌다. 이에 따라 Mishra and Koehler(2006)의 TPACK 모델을 활용한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TPACK 모델을 활용하여 예비 교사의 인공지능 융합 수업 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교육 모델은 브레인스토밍, 협력, 탐색(TPACK, AI, 교육과정, 교육적 맥락, 수업 사례), 수업 설계, 마이크로티칭, 수업 비평, 수업 성찰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융합 TPACK 교육 모델을 바탕으로 예비 교사의 인공지능 융합 수업 전문성 변화를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PDF

The Development and Applied Case of Earth Science Class Model Based on Flipped Learning (거꾸로 수업기반 지구과학 수업모델 개발 및 적용 사례)

  • Moon, Byoung-Ch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10 no.2
    • /
    • pp.91-103
    • /
    • 2017
  •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earth science class model based on flipped learning and analyzed the effects of that model at the elementary pre-teachers' science classes. The model of this study, the material which was consists of all contents and information about classes was offered to learners before science class as a substitute for preceding homework at general flipped learning. In science class, the knowledges which were recorded in materials were explained directly to learners by instructor for 20minutes. So the learners resolved some inquiry questions in materials through mutual debate collaboration with learners in small group. After inquiry questions' resolving, the learner among small group makes a presentation in front of the whole class. At the same time, the instructor evaluated learning action of all small groups' learners during the classes as process evaluation. The final evaluation results of semester were obtained scores of the small group in 14 classes and the achievements of individual portfolio as final exam. The learners were very positive perception to this science class model, why it is helped to concentrate on the class, extended debating and thinking ability. Consequently, the class model of this study is useful to applicate the earth science classes.

Development of a Havruta Learning model and exploring its applicability in non-face-to-face real-time online classes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위한 하브루타 학습모델 개발 및 적용가능성 탐색)

  • Byon, Kil-Hee;Choi, Dea-Hun;Cho, Woo-Hong;Yun, Kyoung-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129-13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주도적 학습을 돕는 하브루타 학습방법을 대학의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하브루타 학습모델 개발과 그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하브루타 학습법 적용사례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과 관련 이론들을 분석하고 하브루타 수업운영 경험자 2인의 인터뷰를 통해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적용 가능한 학습 모델안을 고안할 것이다. 이를 하브루타 수업 운영 경험이 풍부한 6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수업 모델안의 적절성과 적용가능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위한 하브루타 학습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비대면으로 수업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학습자의 주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높여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PDF

Development of flipped learning course model based on instructor coaching (교수자 코칭에 기반한 대학의 플립러닝강좌 개발 모델)

  • Kim, EunHee;Byun, HoSeu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21 no.4
    • /
    • pp.39-52
    • /
    • 2018
  • There has been a lot of interest in flipped learning, but lacked practical research to support the faculty developing flipped learning course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nsulting model for developing a flipped learning course that can be practically used by institutions such as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that support faculty teach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instruction. A 'Coaching based on flip learning course development consulting model' was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feedback. The 8-step model is as follows: 1) survey of class development, 2) course orientation, 3) flipped learning, 4) expert class analysis, 5) flipped learning coaching, 6) flipped learning operation, 7) instructor reflection, and 8) feedback and revi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provide professional and practical guide systematically, and also help to improve quality of lesson.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대학수학 수업모델

  • Kim, Byeong-M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9
    • /
    • pp.219-226
    • /
    • 1999
  • 실업계 고등학교출신, 직장을 다니다 뒤늦게 진학한 학생, 수학성적 때문에 야간학과를 택한 학생들의 수학학습능력이 대학수학을 공부하기에는 부족함을 그들의 의견과 기초학습능력 검사와 수업을 통해 확인해보고 그들을 위한 수업지도 방법과 심리적 치료법을 곁들여 좋은 수업환경을 만들고 수업에 대한 반응으로부터 그들만을 위한 방법을 개발하고 수준에 맞는 교재를 만들어 ‘99학년도 2학기부터 시행에 본다음 종합적인 분석을 하여 계속된 현장연구 결과와 함께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대학수학 수업모델을 만든다.

  • PDF

Analysis of the Manners of Using Scientific Models in Secondary Earth Science Classrooms: With a Focus on Lessons in the Domains of Atmospheric and Oceanic Earth Sciences (중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과학적 모델의 활용 양상 분석: 대기 및 해양 지구과학 관련 수업을 중심으로)

  • Oh, Phil-Se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7 no.7
    • /
    • pp.645-66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anners in which models are used in secondary science classrooms. A total of thirteen video-recordings of science lessons dealing with the domains of atmospheric and oceanic earth sciences and their verbatim transcripts were analys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terviews with three inservice science teachers were also conducted. Six interrelated assertions were generated as the result of the study: 1) The most frequently used models in secondary earth science classrooms include two-dimensional pictorial, symbolic, iconic, and diagrammatic ones; 2) Science teachers employ models as a mode of representation to make the subject matter available to students; 3) In earth science classrooms, teachers use typical forms of models in intensive manners; 4) Students themselves deal with models on a few occasions, but they just follow similar procedures with the same models; 5) Teachers talk rarely about the nature of scientific models and provide few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think about it; and, 6) Teachers in practice think that the value of using models should be appraised in consideration of the pedagogical intentions of the teacher.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and science education research were discussed.

A Study on the Application and the Effect of Business Culture Class Using Keller's ARCS Motivational Model (Keller의 ARCS 동기모델을 적용한 비즈니스문화 수업과정 설계 및 효과에 대한 연구)

  • Kim, Bu-Ja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2
    • /
    • pp.73-8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Keller's ARCS motivational model to the business culture lesson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n cultural knowledge, interest, awareness and at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pplying ARCS model for business culture was designed, aiming to improve all elements of learning motivation such as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wo groups as follows; on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instruction using ARCS model and the other comparison group that received traditional lecture instruction. Both the instruction using the ARCS model and the traditional lecture instruction was effective in increasing knowledge of culture. The instruction using the ARCS model was verified to improve interest in culture, understanding of others from other cultures, motivation to create culture, perception of importance of culture, and perception of necessity of culture education. But the traditional lecture instruction did not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s on cultural interest, awareness and attitude.

Effect of Learning Scientific Model's Algorithm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 : Focus on the Acid-Base Concept (과학 모델의 알고리즘의 학습이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 산-염기 개념을 중심으로)

  • Paik, Seoung-Hey;Park, Chul-Yong;Choi,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384-385
    • /
    • 2017
  • 과학 모델은 복잡한 자연현상을 단순화하고 패턴화한 것이다. 따라서 과학 모델은 특정한 알고리즘을 가지며, 과학 모델에 대한 이해는 모델이 갖는 특정한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많은 학생들이 대안 개념을 가지고 있는 산-염기를 주제로 하여, 이 모델이 가지는 알고리즘을 학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알고리즘을 학습 하였을 때 과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고등학생 3학년을 대상으로 4차시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수업의 사전과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모델에 대한 이해를 분석하였다. 수업 결과, 학생들은 모델의 정의와 화학반응 및 화학평형의 정성적인 부분에서는 이해의 향상을 보였으나, 정량적인 부분에는 효과를 보이지 못하였다. 이는 화학이 많은 수의 입자를 고려해야 하는 독특한 과목의 특성에 기인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추후 컴퓨터프로그램을 교육 도구로 사용하는 수업을 통해 후속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PDF

모델 구성을 통한 지구과학 교수-학습 활동의 제안

  • O, Pil-Seok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2a
    • /
    • pp.101-107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모델 구성을 통한 교수-학습 활동을 지구과학 수업을 위한 유용한 방법의 하나로 제안하였다. 모델 구성은 지구과학자들이 직접적으로 경험하기 어려운 지구과학적 현상이나 과정을 연구하기 위하여 동원하는 방법으로서, 지구과학의 본질적 속성을 반영한 수업을 개발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모델 구성을 통한 지구과학 수업은 학생들이 지구과학적인 현상이나 과정에 대한 모델을 창안하고 학생들이 서로 모델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며 지속적으로 모델을 수정해 나가는 순환적인 과정(creation-communication-change cycle)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학습자들의 사고 과정을 촉진시켜 여러 가지 학습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지구과학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지구과학 수업을 위하여 모델 구성을 통한 교수-학습 활동이 적극적으로 실천되고 그 효과를 자세히 검토하는 일이 필요하다.

  • PDF

Teachers' Mathematical Beliefs and Teaching Practices (교사들의 수학적 신념과 수업 관행의 관계)

  • Youngyoul Oh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2 no.2
    • /
    • pp.247-264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갖고 있는 수학 및 수학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신념과 수업 관행과의 관계를 문헌적 고찰을 통하여 교사 변화를 위한 모델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 저 신념에 대한 정의, 신념과 지식의 차이점, 그리고 신념이 교사들의 수업 관행과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신념과 수업 관행과의 상호 관계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업 개선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모델을 개인적 수준, 학급 수준, 및 학교 수준의 세 시각에서 논의하였다. 이들 모델들은 결국 교사의 학습도 학생들의 학습 방법과 유사한 형태를 띄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의 주요한 수학 학습 이론들에 근거를 두고 있다. 결국, 교사들의 수업 관행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진 교사들의 수학적 신념은 위에 논의된 세 요소의 측면에서 수업 개선 프로그램들이 운영될 때 수업 관행과 함께 변화한다는 것을 본 이론 연구에서는 암시해 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