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세기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34초

초등학교 저학년 수학부진아의 수세기 능력 연구 (A Study of Counting Ability of Mathematical Low Achievers in Low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김수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2호
    • /
    • pp.137-150
    • /
    • 2010
  • 이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수학부진아들의 수세기 능력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수학부진아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2학년 수학부진아 4명을 실험군으로 하고, 4학년 수학부진아 4명과 2학년 일반 학생 2명을 비교군으로 하여, 일대일 면담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수세기 능력은 정확성, 속도, 효율성의 세 가지 관점에서 분석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학년 수학부진아들의 수세기 능력은 매우 낮았으며, 사소한 실수나 체계적인 오류, 더딘 수행, 비효율적인 전략 구사 등의 문제점을 드러냈다. 둘째, 학년 상승과 더불어 수세기의 속도는 어느 정도 개선되지만, 수세기의 정확성이나 효율성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셋째, 수세기 능력과 연산 과제 수행 능력 간의 명확한 상관관계는 도출하지 못했지만 개연성이 있음은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저학년 수학부진아들에게 수세기 활동을 좀 더 강조해서 지도해야할 필요성이 있음을 이끌어 내었다.

  • PDF

유아 수세기(counting)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Children's Counting in Korea)

  • 이정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29-148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유아 수세기(counting) 관련 연구물의 연구동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세기를 주제어로 다루고 있거나 제목으로 명시한 국내의 학위 및 학술지 논문 59편을 선정하였고, 연구시기, 연구내용, 연구방법별 분석기준을 마련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시기별로 보면 수세기 연구물은 2001-2005년 사이에 현저하게 많았고 그 이외의 시기 동안에는 비슷한 비율로 발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용별로 보면 수세기의 발달적 경향을 알아보는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수세기와 기타 수학적 개념 및 능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연구가 많았다. 셋째, 연구방법별로 보면 양적 연구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고 질적 연구는 매우 미미했으며, 연구대상은 3-5세의 일반 유아에게 집중되어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에는 이전에 확인된 내용들에 대해 중복적인 연구를 피하고 새로운 주제가 탐색될 필요가 있으며 영아를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확포 수세모델과 최근 국내 개발 수세기 특징 (Rinsing model of Open-width and Characteristics of Rinsing machine developed recently in Domestic)

  • Park, Ki Su;Kim, Su Hyung;Han, Sun Ju;Seo, Mal Yong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73-80
    • /
    • 1996
  • 수세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면서 습윤공정에서 용수사용량을 절감시키는 수세기술과 저장력 주행에 의한 고효율 수세기술이 염색공업 전반에서 절실히 느껴지고 있는 것은 감안할 때, 최근 국내에서 개발된 수세기가 높은 수세효율성과 저장력 주행, 에너지절감을 위해 어떠한 구조적 특정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수판을 이용한 자폐성 장애 학생의 수세기와 덧셈, 뺄셈의 지도 사례 (A Case Study on Lessons for Counting, Addition and Subtraction of Natural Number with Counting Board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정유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1권4호
    • /
    • pp.415-430
    • /
    • 2018
  • 본 연구는 자폐성 장애 학생들의 수판을 이용한 자연수의 수세기, 덧셈, 뺄셈의 지도 사례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장애 학생의 수와 연산 지도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학교의 특수학급에서 통합교육을 받는 4학년, 6학년의 자폐성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주당 1시간씩 30주간 수판을 사용하여 수세기, 덧셈, 뺄셈에 관한 수업을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였다. 자폐성 장애 학생들을 위한 수세기, 덧셈, 뺄셈의 지도에서 수의 구조가 드러나는 수판은 효과적인 교구이며, 수세기 전략과 연산 전략을 지도하는 것은 효율적인 지도 방안이 될 수 있고, 수학적 의사소통을 지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 학생의 수학 지도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Mental Counting Strategies for Early Arithmetic Learning

  • Koh, Sang-Sook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권2호
    • /
    • pp.127-137
    • /
    • 1997
  • 수세기는 초등 수학교육의 기초로서 보통 유치원 과정 이전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서수와 기수의 구별된 사용의 중요성은 미국의 "학교 수학의 교과 과정과 평가 기준" (NCTM 1989)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 교육의 현장에서도 많이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직선 (Number line)과 다르게 구조적으로 개발된 Hasse's structured number line을 사용하여 학생들에게 수세기의 의미와 기술을 가르친다면 구체적 경험을 통해 수학적 사고 능력을 키우고 개발하는데 도움이 된다. 만약 Hasse 의 9가지 수준에 따라 다양한 학습 활동을 개발하여 수업 계획을 세워서 학습을 진행한다면 수업은 역동적이며 매우 흥미로워 질 것이다. 학생들은 말로 나타내기(Verbalization)와 상상(Imagination)의 충분한 경험을 바탕으로 정신적 표현(Mental representation)을 개발하여 수세기 기초를 확립하고 나아가 연산을 쉽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 소개된 교구들과 학습 활동들은 초등 수학 교육이 암기 위주의 문답식이 아니며 얼마나 역동적이고 흥미로울 수 있나를 보여준다.

  • PDF

수세기를 통한 순열과 조합의 이해

  • 정인철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247-262
    • /
    • 2009
  • Permutation and combination are the part of mathematics which can be introduced the pliability and diversity of thought. In prior studies of permutation and combination, there treated difficulties of learning, strategy of problem solving, and errors that students might come up with. This paper provides the method so that meaningful teaching and learning might occur through the systematic approach of permutation and combination. But there were little prior studies treated counting numbers that basic of mathematics' action. Therefore this paper trie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permutation and combination with the process of changing from informal knowledge to formal knowledge.

굴통조림 가공부산액 유래 분말수프의 품질안정성

  • 김인수;이태기;조문래;김풍호;허민수;김진수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24-125
    • /
    • 2001
  • 1997년도 우리나라 굴 총생산량은 약 20만여톤으로 일반 패류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Korean Fisheries Association, 1998). 양식산 굴은 대략 11월부터 출하하기 시작하여 3월까지는 주로 생식용으로, 산란기로 접어드는 4월부터 6월까지는 주로 통조림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통조림의 제조를 위한 원료 굴은 뻘 등의 제거를 목적으로 수세하고, 레토르트에서 자숙 및 탈각한 후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탈각 굴에 대하여 수세 및 탈수와 같은 전처리 공정을 거치고, 이 때 부산물로 자숙수와 세척수가 발생한다. (중략)

  • PDF

수세기 능력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수학학습잠재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unting Ability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and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

  • 최혜진;조은래;김선영
    • 아동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23-14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unting ability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and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5 young children of 4 & 5 years old who attended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 in the city of B. They were evaluated in terms of counting ability, mathematical ability and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training and transfer)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and their relative influence on the partipants' mathematical ability was then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a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counting and those of mathematical ability. As a result of check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sub-factors of counting on mathematical ability, reverse counting was revealed to have the largest impact on total mathematical ability scores and each sub-factors including algebra, number and calculation, geometry and measurement. Second, the results reveal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counting ability and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Regarding the size of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sub-factors of counting ability on training scores, reverse counting was found to be most influential, followed by continuous counting. While in relation to transfer scores, reverse counting was found to exert the greatest influence.

네덜란드의 초등 수학 교육과정에 대한 개관 - 자연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 (Reflections on the Prim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Netherlands - Focused on Number and Operations Strand -)

  • 정영옥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7권4호
    • /
    • pp.403-425
    • /
    • 2005
  • 본 연구는 네덜란드의 초등 교육과정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RME에 기초한 초등 수학교육의 실제를 자연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우리나라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네덜란드의 초등 교육과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핵심 목표, 네덜란드의 교과서, TAL 프로젝트의 결과물인 초등학교 학생들의 거시적인 교수 학습 경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RME에 기초한 초등 수학교육은 현실 상황의 주제 중심의 통합형 교육과정이며, 자연수와 연산 영역 지도의 특징으로는 수세기, 상황화, 위치화, 구조화, 수준에 기초한 점진적 알고리즘화, 어림의 강조와 계산기의 적절한 사용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을 위해 논의할 문제로 수 개념 지도에서 농도수와 순서수 지도의 균형, 수의 상대적 크기의 지도, 다양한 연산 전략의 지도, 다양한 교수학적 모델의 사용을 제안하였다.

  • PDF

4~6세 일반아동 및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음운인식 및 음운처리 능력이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onological awareness and phonological processing on language skills in 4- to 6-year old children with and without language delay)

  • 김신영;손진경;임동선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2권1호
    • /
    • pp.51-63
    • /
    • 2020
  • 음운인식은 음운론 영역의 상위언어인식 능력으로, 읽기 및 어휘력 등의 언어능력을 예측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음운인식 능력과 기타 음운처리 능력, 그리고 언어능력 간의 관계를 일반아동 집단과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 간 비교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4~6세의 언어발달지연 아동(n=15)과 일반아동(n=18)을 대상으로 음운인식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음절수세기, 음절탈락, 음절변별 과제를 실시하였다. 또한 비단어 따라말하기, 숫자 거꾸로 회상하기의 두 가지 음운처리 과제와 수용 및 표현어휘력, 문법성판단 과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언어능력을 예측하는 음운인식 하위과제가 무엇인지 검토하였다. 음운인식 하위과제 중 음절수세기를 제외한 음절탈락, 음절변별 과제 수행력의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 또한 일반아동 집단은 음절탈락과 숫자 거꾸로 회상하기, 음절변별과 수용어휘력 과제 수행력 간 상관관계가 유의하였으며,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은 음절수세기 과제와 숫자 거꾸로 회상하기, 수용어휘력, 표현어휘력, 문법성판단 과제의 수행력 간 상관관계가 유의하였다. 그리고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일반아동 집단은 음절변별 과제가 수용어휘력 및 문법성판단 과제 수행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은 음절수세기 과제가 수용어휘력, 표현어휘력, 문법성판단 과제 수행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은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음절수세기를 제외한 나머지 음절 수준의 음운인식 과제의 수행력이 저조하였으며, 이러한 특징이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분석 결과에도 반영되었다. 또한 각 집단에서 음운인식 과제 수행력이 언어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음운론 영역의 상위언어인식 능력의 중요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