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hool Mathematics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Volume 12 Issue 2
- /
- Pages.137-150
- /
- 2010
- /
- 1229-4322(pISSN)
A Study of Counting Ability of Mathematical Low Achievers in Low Grades of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저학년 수학부진아의 수세기 능력 연구
- Kim, Soo-Mi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김수미 (경인교육대학교)
- Received : 2010.04.17
- Accepted : 2010.06.11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has planned to understand the counting ability of mathematical low achievers(MLAs) in low grades of elementary school. For this, four MLAs of second graders were chosen as a experimental group and four MLAs of fourth graders and two mid-achievers of second grades were chosen as a comparison group. Every student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and their data were analyzed with three respects: accuracy, speed, efficiency.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three.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is still not used to counting. They counted slowly, made many mistakes and errors, and used inefficient strategies during counting. Second, It is hard to expect natural improvement of their counting performance as growing up. Finally, the explicit correlation between counting ability and arithmetic ability is not drown in this study, but the possibility still remains. These results tell us that we need to stress counting activity to MLAs when they are low graders.
이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수학부진아들의 수세기 능력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수학부진아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2학년 수학부진아 4명을 실험군으로 하고, 4학년 수학부진아 4명과 2학년 일반 학생 2명을 비교군으로 하여, 일대일 면담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수세기 능력은 정확성, 속도, 효율성의 세 가지 관점에서 분석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학년 수학부진아들의 수세기 능력은 매우 낮았으며, 사소한 실수나 체계적인 오류, 더딘 수행, 비효율적인 전략 구사 등의 문제점을 드러냈다. 둘째, 학년 상승과 더불어 수세기의 속도는 어느 정도 개선되지만, 수세기의 정확성이나 효율성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셋째, 수세기 능력과 연산 과제 수행 능력 간의 명확한 상관관계는 도출하지 못했지만 개연성이 있음은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저학년 수학부진아들에게 수세기 활동을 좀 더 강조해서 지도해야할 필요성이 있음을 이끌어 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