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면만족도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7초

수면무호흡 환자의 양압기 제품서비스디자인 개발에 대한 서비스 제공자와 수혜자가 느끼는 디자인 컨셉 가치 비교연구 (Design Concept Value Competitive Research Between Service Provider and Service Receiver)

  • 이성필;정주영;이상기;홍정표
    • 서비스연구
    • /
    • 제7권4호
    • /
    • pp.39-5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 제공자(개발자)와 서비스 수혜자(고객)집단 간에 느끼는 디자인 컨셉 가치에 대한 비교연구로서 양압기(CPAP)를 중심으로 진행된 IoT기반 U-헬스케어 및 사용자 환경기반 서비스모델을 제시하여 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더블다이아몬드(Double Diamond)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울산에 소재한 U병원 이비인후과와 공동으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수면 무호흡 수면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단부터 구매 후 사용까지 다양한 의미 있는 경험을 발췌하고 고객 유형별 차이점을 분류 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시한 13개의 서비스 시나리오 모델을 대상으로 고객은 카노(Kano)만족도와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 지수(PCSI)평가를 진행하였고 개발에 참여한 서비스제공자 집단을 대상으로 스코어모델(+-)평가와 컨셉포지션(Concept Position)평가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한 결과는 총 12가지 문항에서 7가지 문항은 수혜자와 공급자 사이에서의 가치적 견해의 일치가 나타났으며 이는 사용자 환경기반 서비스모델 속성 이었으며, 반대로 가치적 견해가 상의한 결과인 5가지 문항은 IoT기반 U-헬스케어 서비스 모델 속성에 포함 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양육행동 및 유아의 수면문제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Sleep Problems)

  • 박보경;이선희;노지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9-128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sleep problems. Methods: Three hundred mothers of preschooler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three research variables.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Results: First,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preschoolers' sleep problems. Seco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warmth and reasoning, while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intrusiveness, coercion, and neglect. Third, mothers' warmth and reasoning were negatively linked to preschoolers' sleep problems, but mothers' coercion was positively linked to preschoolers' sleep problems. Lastly, mothers' warmth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preschoolers' sleep problem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 had an influence on preschoolers' sleep problem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e family context for preschoolers' healthy sleeping habits.

성인병 뉴스 제311호

  • 한국만성질환관리협회
    • 월간성인병
    • /
    • 311호
    • /
    • pp.1-18
    • /
    • 2006
  • 경기도 평택시 송탄 보건소 김보섭 소장/만성질환 관리 중추적 단체 위상제고/“앞으로 국민연금 덜 받는다”/건강보험료 환급 사기‘주의’/전공의 보조수당 민간병원 확대/65세이상 60%에 월8만9천원 지급/“의료용 혈액이 부족하다”/남‘암’-여‘순환기’사망확률 높아/수면무호흡증, 남성 발기부전초래/독감백신 국내 생산기반 구축/정부 의약품 가격 정책‘위헌소송’/차별화 된 고품격 보건서비스 제공/보건소 의료기관 서비스 만족도‘1위’/초고령사회 대응, 본격 시동 걸었다/노인의료“의료적 접근 동반돼야”/겨울철 어르신 건강관리 수칙 발표/비영리 의료기관 M&A 근거 마련/병원 서비스산업 주요 육성방안/고령친화 모델지역 기본구상/

  • PDF

중환자실 간호사의 2교대와 3교대근무 간 근무 만족도, 수면, 피로, 삶의 질과 환자안전사고 비교 (Comparison of Shift Satisfaction, Sleep, Fatigue, Quality of Life, and Patient Safety Incidents Between Two-Shift and Three-Shift Intensive Care Unit Nurses)

  • 채민진;최수정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1
    • /
    • 2020
  •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hift satisfaction, sleep, fatigue, quality of life (QOL), and patient safety incidents between a newly implemented two-shift system and a traditional three-shift system. Methods : A total of 127 intensive care unit nurses (48 two-shift nurses and 79 three-shift nurses) working in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were recruited from January 1, 2017, to March 31, 2017. They complet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bout their work hours, shift satisfaction, sleep patterns, sleep quality, fatigue, QOL, and patient safety incidents in the past 2 week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3.0. Results : The two-shift group showed higher shift satisfaction scores compared with the three-shift group (6.93 vs. 4.37, p<.001). Sleep latency was shorter and sleep quality was better in the two-shift group compared with the three-shift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sleep parameters, fatigue, QOL, and patient safety incident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Although a two-shift system did not improve nurses' fatigue or QOL in this study, it may effectively serve as an alternative shift-work system that can increase sleep quality and shift satisfaction without increasing patient safety incidents.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체계적 문헌고찰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s : A Systematic Review)

  • 정준식
    • 재활치료과학
    • /
    • 제4권1호
    • /
    • pp.39-51
    • /
    • 2015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치는 잠재적인 요인들을 체계적인 고찰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국회도서관, 과학기술정보통합서비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한국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문헌을 검색하였다. 검색 용어는 뇌졸중, 삶의 질, 상관관계였고 한국어로 출판된 연구만을 포함하였다. 결과 : 총 256편의 연구가 검색되었고 그 중 12편의 연구가 본 주제와 부합하여 분석되었다. 분석된 12편의 연구는 모두 비 실험적 연구였고 상관관계 논문이었다.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는 일상생활활동 r=.293~.622, 우울증 -.804~-.533, 인지 기능 .090~.610, 수면의 질과 만족도는 각각 .107과 .367, 피로 -.260, 상지 기능 중 움직임의 질 .208, 사용 양 .364, 가족지지 .824, 통증 -.306, 재활 동기 .51~.86, 균형 .740, 자기효능감 .388로 분석되었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작업치료사는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동작뿐만 아니라 우울, 인지, 수면, 가족지지, 통증, 자기 효능감 등의 요인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 수준이 구강증상에 미치는 융합 영향 (The Convergence Effect of Internet Usage Levels on Oral Symptoms of Adolescents)

  • 강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77-85
    • /
    • 2019
  • 본 연구목적은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 수준이 구강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제14차(2018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자료를 이용하여 60,04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인터넷 사용 수준이 구강증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한 결과 먹을 때 치아 아픔 증상경험, 치아가 쑤시고 욱신거림 증상, 잇몸통증 증상에서는 스트레스가 높은 경우, 일일잇솔질횟수가 없을 경우, 통증의 인지가 높았다. 또한 인터넷 사용시간은 적을수록, 주관적 건강인지, 수면만족도는 높을수록, 흡연, 음주경험이 없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의 과도한 인터넷 사용을 완화시키는 보건교육은 적절한 건강행위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고 이러한 구강증상을 예방할 수 있는 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모래사장 위 맨발걷기와 운동화걷기가 허리통증이 있는 노인의 통증, 장애, 운동기능, 수면만족도,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비교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Barefoot Walking and Sneakers Walking on a Sandy Beach on Pain, Disability, Motor Function, Sleep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th Low Back Pain)

  • 이가인;전재중;함석찬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9-38
    • /
    • 2020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refoot walking on the sandy beach on pain intensity, disability, motor function, sleep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th low back pain (LBP). Methods : A single-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as conducted involving 32 elderly with LBP who underwent sand walking barefoot (intervention, n=16) or with sneakers (control, n = 16). Both walking methods were carried out for 30 minutes per day,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Pain intensity and disability were assessed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respectively. Balance and gait were evaluated using the Berg balance scale and timed up and go test, respectively. Sleep satisfaction was quantified with the Verran and Snyder-Halpern sleep scale. Finally, quality of life was assessed through the WHO quality of life scale's abbreviated Korean version. Results :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in intensity (p=.005), disability due to LBP (p=.002), static balance ability (p=.003), dynamic balance ability (p=.002), and sleep satisfaction (p=.01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Barefoot walking on a sandy beach is significantly effective in improving pain, disability due to LBP, balance ability, and sleep satisfaction in the elderly with LBP. Further studies with larger sample sizes and longer intervention periods must to be conducted to generalize using barefoot walking in LBP management.

일부 공무원들의 사회심리적 요인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social Factors and Job Stress Among Clerical Public Officers)

  • 박호진;박승경;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610-5620
    • /
    • 2014
  • 본 연구는 일부 사무직 행정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사회심리적 요인(A형 행동유형, 통제신념, 자기존중감)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C도청에 근무하고 있는 공무원 634명(남자 505명, 여자 129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2013년 2월 18일부터 3월 1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성별, 연령, 학력, 결혼상태, 직급, 근무경력, 공무원생활에 대한 만족도, 흡연상태, 음주상태, 수면시간, A형행동유형, 통제신념 및 자기존중감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심리적 요인과 직무스트레스 수준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업무요구도는 내적 통제신념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업무의 자율성은 A형행동유형, 내적 통제신념 및 자기존중감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사의 지지도는 외적 통제신념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다중회귀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주관적인 건강상태, 직위, 잔업시간, 질병으로 인한 결근, 업무에 대한 만족도, 수면시간, 여가시간, 외래진료경험유무, A형행동유형, 통제신념 및 자기존중감이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32.1%이었다. 위의 모델에서 보면 A형행동유형, 통제신념 및 자기존중감 등의 사회심리적 요인이 추가됨으로 해서 15.0%의 설명력을 증가시켜 직무스트레스에 사회심리적 요인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면치과치료가 치과환자 만족도 및 재이용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influence of sleep dental treatment on satisfaction degree and revisit to dental clinics)

  • 신연순;이종렬;민경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415-425
    • /
    • 2009
  • Objectives : In this study, the dental treatment satisfaction degree of the patients, who experienced the sleep dental treatment or non-sleep dental treatment, the revisit rate and the differences among the encouraging inten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primary factors through which the satisfaction degree of sleep dental treatment has influence on the revisits and the encouraging intention were analyzed, and the proposal was made on clinic management to raise qualitative medical service level on the basis of this study. Methods : The questionnaires filled out by the 202 users of a certain dental clinic located in Pohang-si, Gyeongbuk were analyzed. The frequency analysis and the crosstabulation analysi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participants were carried out, and the satisfaction difference between the sleep dental treatment and the non-sleep dental treatment was identified with the t-test analysi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identify the factors through which the sleep dental treatment has influence on the through which the satisfaction degree of sleep dental treatment has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degree of the medical service and the revisited dentists. Results : In the medical service satisfaction degree in general, the sleep dental treatment had the higher meaningful value than the non-sleep dental treatment(p<0.05). In the case of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degree on each medical service factor, the satisfaction of the sleep treatment group was high in every case, but the meaningful difference showed up in the factors of waiting time, treatment procedure, revisit and the encouraging intention(p<0.01). The revisit to the sleep treatment dental clinic and the recommending dentist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satisfaction degree of sleep dental treatment, and the Beta value appeared to be 0.337 at the influence of the subordinate variable(p<0.001). As for the influence on the sleep dental treatment satisfaction, the Beta value of the dental hygienist was the highest, marking the value at 0.375(p<0.01). As for the satisfaction of the patients who experienced the sleep dental treatment, the Beta value of the treatment fee was the highest, marking 0.352(p<0.001),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revisit and the encouraging intention, and the 0.156 of dentist factor and the 0.152 of treatment procedure and waiting time showed lower regression coefficient(p<0.05). Conclusions : It is assumed that the satisfaction degree of sleep dental treatment, which is carried out as a new dental service has influence on the increase of revisit to the dental clinic as an important factor. But it was disclosed that the high level of treatment fee has the biggest influence on choice of revisit to the dental clinic. In the current medical charge system, the sleep dental treatment appeared to have a big influence on raising the quality of dentists, the satisfaction of patients, the revisit and encouraging intention, and also the roles of the dental hygienist was important. It is assumed that these facts are functioning as the factors that are linked to the increase of revisit and the encouraging intention.

  • PDF

유연근무제와 근로자의 일·생활균형 -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로 확산의 영향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Flexible Work Arrangements and Work-Life Balance - With a Focus on Working From Hom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손연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2호
    • /
    • pp.37-5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패널 23차 부가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유연근무제와 근로자의 일·생활균형의 관계에 대해 코로나 19 이후 재택근로 확산의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재택근무제는 근로자의 행복도 및 가족관계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 일자리 안정성과 관련한 직무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재택근무자와 비재택근무자의 코로나19를 전후로 한 시간활용 변화를 수면시간, 자기계발시간, 자녀돌봄, 가사노동, 운동, 친교모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았는데, 가장 큰 특징은 재택근무자가 비재택근무자에 비해 코로나19 이후 가사노동 시간과 자녀돌봄 시간이 더욱 크게 증가하였다는 점이며 이러한 경향은 여성에게서 더욱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재택근무제의 효과가 자녀돌봄과 일을 병행해야 하는 근로자들에게는 그 효과가 반감될 수 있으며, 그 영향은 여성에게 더 클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자녀돌봄 등으로 인해 일·생활갈등 상황에 놓인 재택근로자들이 업무생산성을 유지하고 일·생활균형을 실현할 수 있도록 사회적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유연근무제도가 전통적 성역할을 강화하는 매개체가 되지 않도록 적극적인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