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화설비

Search Result 364,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amage of the Data Process Equipment When $CO_2$ is Discharged ($CO_2$소화설비 방사시 정보저장장치의 저온손상에 관한 연구)

  • 김영진;이수경;김종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9.06a
    • /
    • pp.115-120
    • /
    • 1999
  • 현재 소방법 기술기준 소방대상물 및 위험물별 소화설비의 적용성에 의하면 전산실, 전기실, 통신기기실에 모두 설치가 허용된 소화선비는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할로겐화 소화설비 및 가스계 소화설비 뿐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불연성 가스인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소화 후 증거 보존이 양호하고 그 청결성 등으로 인하여 화재의 소화뿐만 아니라 화재예방, 인화폭발의 예방에도 적당한 것으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중략)

  • PDF

클린룸 내 스프링쿨러 소화설비 시공사례

  • 김형겸
    • Air Cleaning Technology
    • /
    • v.17 no.4 s.67
    • /
    • pp.58-68
    • /
    • 2004
  • 국내 반도체, TFT-LCD, PDP 등의 제조공장 클린룸 내부의 스프링클러 소화설비는 90년대 말까지는 소화설비의 오 작동에 의한 고가 생산 장비의 물 피해가 우려 되어 면제가 되어왔으나, 1998년 대만 반도체 공장의 대형 화재사건이 발생한 이후로는 영미계 재 보험사들의 강력한 요청에 의하여 국내 관련 제조시설 내부에도 스프링클러 소화설비는 의무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글에서는 반도체 제조공장의 소화설비의 특성을 중심으로 클린룸 내의 스프링클러 소화설비 시공사례를 소개하여 관련업계 관계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 PDF

Quantity of the Agent in the Piping System of Low Pressure Carbon Dioxide Extinguishing Systems (저압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방출배관내 약제량)

  • Kim, Wee-K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136-139
    • /
    • 2011
  • 국가화재안전기준 107 및 107A에서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와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 설계시 하나의 방호구역을 담당하는 저장용기의 소화약제의 체적합계보다 소화약제의 방출시 방출경로가 되는 배관(집합관을 포함한다)의 내용적의 비율이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당해 방호구역에 대한 설비는 별도의 독립방식으로 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경우에는 이산화탄소의 증기압이 충분히 높으므로 방출배관의 용적에 대한 제한사항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저압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경우 약제의 저장온도가 낮으므로 방출시 기화되어 설계시 의도한 방출량을 만족시키지 못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저압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 대한 방출배관 용적 제한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방재기술동향 - 소화설비의 최근 개발동향

  • Lee, Sang-Hyeon
    • 방재와보험
    • /
    • s.93
    • /
    • pp.41-43
    • /
    • 2002
  • 본 자료는 캐나다국립연구원 산하 건설연구소에 근무하는 김기홍 박사를 초청, '소화설비의 최근 개발 동향' 이란 주제로 열린 세미나에서 발표한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최근 할론소화약제가 단계적으로 사용 금지 됨에 따라 새로 개발된 소화설비들 중에서 할로카본 소화약제에 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미세물분무 소화설비의 현장적용을 위한 실험적 평가

  • 김성원;이경덕;원정일;신창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227-230
    • /
    • 2002
  • 환경문제를 야기하는 할론 소화설비의 사용이 금지되면서 대체소화설비로 관심을 끌며 연구되기 시작한 미세물분무 소화설비이다. 미세물분무는 고압에서 물을 방사하여 $Dv_{0.99}$가 1,000$\mu$m 미만의 물입자를 만들며 작은 물입자로 인해 표면적의 증가와 증발특성이 우수하고, 산소농도를 감소시키는 질식작용과 화염의 냉각작용에 의해 소화작용을 상승시킨다. 이러한 미세물분무의 소화작용에 대한 소규모 화재실험을 기반으로 유류화재의 진압$\cdot$소화특성에 대한 실용화를 위해 실제크기 화재실험을 하였다.(중략)

  • PDF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의 설계 프로그램 개발

  • Lee, Dong-Myeong;Im, Wo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11a
    • /
    • pp.189-19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의 설계인자(약제량, 약제방출량, 약제방출시간, 배관의 압력손실 등)를 최적화할 수 있는 설계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최적화 기법은 최적화 이론 중 최대 경사법(steepest descent method)을 이용하였고 목적함수와 제한조건식을 선형화시켜 최적점을 찾았다. 설계프로그램으로부터 소화설비의 시공 오차, 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소화설비의 신뢰성 확보로 화재진압을 극대화할 수 있다.

  • PDF

Seismic Response Estimation of Water Extinguishing Facilities using Shaking Table Tests (진동대 실험을 통한 수계 소화설비의 지진응답평가에 관한 연구)

  • Nam, Min-Jun;Park, Seung-Hee;Kim, Dong-Joon;Choi, Jun-Sung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16 no.4
    • /
    • pp.9-18
    • /
    • 2012
  • In this study, a shaking table test was performed for the evaluation of water extinguishing facilities. Water extinguishing facilities, such as a general pipe, a seismic pipe (Loof type) and a pump, were used in the experiment. This captured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water extinguishing systems by earthquake records at El-Centro with a 50%, 70%, 100%, 120% level. As a result, seismic type facilities have excellent seismic performance compared to general facilities. By using the acceleration response spectrum, not only is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water extinguishing facilities able to be determined, but also the deformation of facilities in low earthquake levels can be known. This proposed approach can determine the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water extinguishing facilities and verify seismic performance criteria.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seismic design standard for water extinguishing systems (수계 소화설비 내진설계 기준 정비에 관한 연구)

  • Lee, Chang-Wook;Park, Chang-Bok;Kim, Sang-Il;Kim, Min-J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63-66
    • /
    • 2010
  • 최근, 세계 각지에서 대규모 인명피해를 야기하는 지진이 발생하고 있으며, 소화설비의 기능이 상실되어 가스 및 전기설비의 파손으로 인해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지 못해 더욱 큰 피해를 입게 된다. 소화설비 중에서도 가장 신뢰도가 우수한 수계 소화설비의 배관, 헤드 등의 손상은 곧바로 소화수 공급 중단으로 이어져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진에 의한 수계 소화설비의 손상에 대한 문제점을 고찰한 후 국내외 내진설계 기준을 검토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내진설계 기준 정비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On-site Discharge Testing for Carbon Dioxide Fire Extinguishing Systems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현장 방출시험 방법론에 관한 고찰)

  • Park, Jun-Hyun;Kang, Tae-Seok;Kim, Jae-Hwan;Kim, Wee-Kyo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9 no.4
    • /
    • pp.26-32
    • /
    • 2015
  • Carbon dioxide principally extinguishes fires by smothering, but an acceptable amount of extinguishing agent is needed. To assure the performance of carbon dioxide systems in Korea, computer programs certified by NEMA are being applied in system design. But the design errors can occur because the geometry of a model test facility is not the same as that of the actual fire area. Since the discharge rate tends to vary considerably with the flow pattern in a pipe, an on-site discharge test is necessary to ensure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especially with low pressure carbon dioxide. Technical standards for carbon dioxide systems do not give detailed guidelines for discharge tests at present.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standards and practical tests, this paper suggests a methodology for on-site discharge tests.

A Study on verifying the reliability of $CO_2$ Fire Extinguishing Systems through the Direct Discharge Test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직접방사시험을 통한 소화성능 신뢰성 검증 연구)

  • Lee, Se-Myeong;Moon, Sung-Woong;Ryu,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155-158
    • /
    • 2012
  • $CO_2$ 소화설비는 방호구역 내 적절한 설계농도를 확보하고 또한 일정 시간 유지해 주어야 충분한 소화성능을 발휘할 수가 있다. 따라서 시공 후에도 $CO_2$ 소화설비의 성능을 주기적으로 확인이 필요하다. 석유화학플랜트나 원자력발전소와 같은 국가 중요위험시설은 화재 발생시 대형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직접방사시험을 통해 소화성능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가 중요위험시설에 설치된 전역방출방식의 $CO_2$ 소화설비 중에서 표면화재 방호구역과 심부화재 방호구역을 각각 선정하여 $CO_2$ 소화설비의 소화성능을 검증해 보았다. 시험결과 표면화재와 심부화재 방호구역 모두 $CO_2$ 설계농도를 확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심부화재의 경우 20분 이상 설계농도가 유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직접 방사시험 방법 및 판정방법을 소개하였으며, 국가 중요위험시설에는 직접 방사시험을 통한 소화설비 신뢰성 검증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