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택적 주의집중력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ffect of Volleyball Program on Physical Fitness and Attention Concentr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배구 프로그램이 중학교 지적장애학생의 체력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 Bae, Kwang-You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2
    • /
    • pp.175-182
    • /
    • 2020
  • The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s of volleyball programs on the fitness and attention-intensive abiliti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middle school. Physical strength and attention concentration were analyz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volleyball program. The volleyball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ree times a week, 90 minutes a week, a total of 36 times for 12 week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hysical strength and attention concentration, the PPS-D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 test and ATA concentration test were us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ttention concentration The six-minute walking figure related to cardiopulmonary functions was improved compared to thos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volleyball program, the report showed. We can see improvements in muscular function-related sit-ups and flexibility-related sit-ups compared to thos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did not participate, and significant changes have been seen in the distance of the place-wide jump related to net worth. We could also confirm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elective attention concentration, and that the change in self-control, continuous attention, and selective atten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A Study on The Gamification Elements of Eye-tracker for Improving Attention Concentration of Children with Quadratic Palsy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지적장애를 동반한 사지마비형 뇌성마비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을 위한 아이트래커기반 게임화 요소 연구)

  • Jeong, Yoona;Woo, Tack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20 no.4
    • /
    • pp.57-66
    • /
    • 2020
  •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interaction features using eye-track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attention concentra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present gamification elements that can be used when designing digital contents for them. For children with quadriplegic cerebral palsy, eye-trackers will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digital contents. Foreground gamification can be used for selective attention concentration, background gamific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to sustain attention concentration, and foreground gamific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for mobility.

A STUDY ON THE EVENT-RELATED POTENTIALS BETWEEN THE PATIENTS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NORMAL CHILDREN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 아동과 정상아동간의 사건관련전위 소견의 비교 연구)

  • Cho, Soo-Churl;Shin, Sung-Woon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7 no.2
    • /
    • pp.179-189
    • /
    • 1996
  •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lectrophysiological abnormalities of the patien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bbr. ADHD) through identifying the profiles of the event-related potentials. Methods : Through measuring event-related potentials of 20 patients with ADHD and 16 normal control children using Oddball paradigm, we evaluated the latencies and amplitudes of each wave form. Results : In the group older than 9 years old, the latencies that reflect selective attention and discriminative capacity of the patients with ADHD were significantly longer than those of normal controls, which suggests that patients with ADHD be more distractible to non-significant stimuli and that they be in lark of sustained attention and discriminative ability. Conclusions : We concluded that the patients with ADHD are more distractible to trivial stimuli than normal children but they lack discriminative, sustained ability of attention.

  • PDF

Development of a serious game to assess attention for children (아동의 주의력 측정을 위한 기능성 게임의 개발과 검증)

  • Choi, Moon g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 /
    • v.31 no.4
    • /
    • pp.1-8
    • /
    • 2018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validity of a serious game named 'Draw Ttoring' developed for accessment of children's attention and trie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about it. To this goal, we tested it to 284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easuring various behavior data(reaction time, total playing time, correct rate, discrepancy between type of TMT). Futhermore, the behavior data was compared with academic achievement to see the external validity. In results, 'Draw Ttoring' showed various behavior data and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In Type A of TMT, total time and reaction time had a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while, in Type B of TMT, total time and correct rate did. Mental flexibility calculated by the discrepancy between Type A and Type B showed also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serious game named 'Draw Ttoring' can provide more various information about children attention and these can't be observed by traditional paper pencil test. Finally, serious game can provide an good alternative method to access children's cognition.

Development of Mobile Application Prototype Inducing Learner's Attention (학습자의 주의집중을 유도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 개발)

  • Roh, Kyoung Eui;Lee, Chan Haeng;Park, Ji Su;Shon, Jin Gon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11 no.9
    • /
    • pp.391-398
    • /
    • 2022
  • As non face-to-face classes carry on discussion about learner's attention continues. To improve learning effect learner's attention is important whether non face-to-face classes or face-to-face classes. In this study a mobile application prototype inducing learner attention is developed taking account of learner emotion that is one of the factors affecting learner attention. When learner selects one of the four emotions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it shows the activity inducing the learner's attention related to the selected emotion. In order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developed application, 3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asked to run the application and then conduct a survey using 5 point Likert scale. The survey result indicate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developed application in this study induces learner attention as showing that the result point of 'I can pay attention' and 'I feel psychological stable' is respectively 3.56 and the result point of 'I feel useless thought disappear' is 3.6.

The Effects of the Feuerstein's Cognitive Mediated Learning for Gifted Children on Attention Control and Attention Shift (Feuerstein의 인지적 중재학습이 영재아의 주의통제와 주의전환에 미치는 효과)

  • Yang, Yeon-Suk;Kil, Kyung-Suk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0 no.3
    • /
    • pp.967-984
    • /
    • 2010
  •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Feuerstein's cognitive mediated learning for gifted children on attention control and attention shift. For the study, 40 gifted students were chosen from the 3r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divided into test and control groups using K-WISC-III and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The mediated learning program that is targeted to improve the executive functions of gifted children has used the tools of Organization of Dots, Analytic Perception and Comparisons among Feuerstein's Instrumental Enrichment(FI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 significant improvement has been observed in selective attention, self-control, sustained attention, and attention shift through cognitive mediated learning. Therefore, it has been proven that the cognitive mediated learning is effective in reducing gifted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that are caused by a lack of attention control and attention shift and improving their cognitive functions and potentials.

민영화정책(民營化政策)의 핵심논쟁(核心論爭)에 관한 소고(小考)

  • Yu, Seung-Mi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8 no.1
    • /
    • pp.149-215
    • /
    • 1996
  • 현행 민영화정책이 공기업의 효율성제고를 최우선 목표로 설정한 것은 타당한 선택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력집중 심화에 대한 우려와 주식시장의 제약 등을 이유로 민영화정책은 그 추진실적이 부진하고 향후 지속 여부가 불투명한 것이 현실이다. 본(本) 논문(論文)은 우리나라 공기업민영화를 둘러싼 논쟁의 핵심인 경제력집중(經齊力集中), 경쟁도입(競爭導入), 주식시장여건(株式市場與件) 등이 공기업민영화와 관련하여 어떻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바람직한 정책대응(政策對應)은 무엇인지를 논의하고 있다. 재산권이론(財産權理論)을 동원하여 주인(主人) 있는 경영(經營)의 의미를 재해석할 때, 기업지배(企業支配) 통제구조(統制構造)의 정착이 요원한 우리 현실에서 민영화가 기업효율을 제고하려면 민간대주주(民間大株主)의 지배(支配)를 인정하는 방식이 최선책(最善策)이며, 소유가 분산되고 전문경영체제(專門經營體制)를 도입하는 민영화방식은 지배구조(支配構造)의 실패가능성(失敗可能性) 때문에 차선책(次善策)이라고 평가된다. 그러나 효율성 차원의 최선책은 경제력집중이라는 국민경제적 비용을 초래하므로, 정부로서는 경제력 집중이라는 비용(費用)과 효율성이라는 편익(便益)을 조화시키는 방안을 모색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정부가 고려할 보완책(補完策)으로는 감자후(減資後) 민영화(民營化)와 분할민영화(分割民營化)가 있다. 한편 자연독점의 특성이 뚜렷한 일부 네트워크사업분야를 제외하면, 민영화시 경쟁도입(競爭導入)은 기업효율성과 국민경제의 배분효율성을 제고하므로 정부로서는 당연한 선택일 것이다. 경쟁은 공기업의 인수자격규제에 있어서도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데, 민영화를 정부(政府)와 민간(民間)사이의 M&A로 이해하고 경쟁제한적(競爭制限的) 기업결합(企業結合)을 규제하는 공정거래법(公正去來法)의 정신(精神)이 인수자격규제기준이 되어야 하며, 업종전문화(業種專門化) 발상(發想)에 근거한 인수자격규제는 득보(得)다 실(失)이 클 것이다. 아직도 자생적 성장기반이 취약한 주식시장의 제약에 따라 민영화일정의 탄력적인 조정은 불가피하지만, 정부는 상장(上場)의 필요성(必要性)을 재검토하고, 매각(賣却)의 우선순위(優先順位)를 조정하며, 무엇보다도 양질(良質)의 주식(柱式) 공급(供給)이 수요(需要)를 창출하는 메커니즘을 개발해야한다. 이와 함께 본(本) 논문(論文)은 현행 추진체계(推進體系)에 내재된 민영화의 지연가능성이 심각한 문제임을 지적하였고, 대규모 공기업의 민영화가 대기업(大企業)의 새로운 전형(典型)을 창출하여 한국자본주의(韓國資本主義)의 건전한 발전을 앞당기는 역사적 기회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재벌인수가 가능한 경우와 규제되어야 할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민영화정책(民營化政策)의 '체크리스트'를 제시하고 있다.

  • PDF

3-D FEA of three different single tooth abutments : Cement-retained Vs Screw-retained (3종의 단일치아 수복용 지대주의 삼차원 유한요소법적연구 : 시멘트 유지헝 대 나사 유지형)

  • Lee, Jung-Min;Kim, Yung-Soo;Kim, Chang-Whe;Kim, Yong-Ho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37 no.2
    • /
    • pp.269-288
    • /
    • 1999
  • 현재 골 유착성 임플랜트는 안전하고 유용한 보철 수복 분야의 하나로 자리잡아 가고있다. 과거 완전 무치악 환자에게 있어서 저작 기능의 회복이란 면에 중점을 두었던 경향에서 현재 골유착 임플랜트의 높은 성공률에 의해 부문 무치악, 단일치 수복에 까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심미성과 인접치의 손상을 가하지 않는다는 면에서 단일치 수복에서 골유착 임플랜트 치료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단일치 수복에 있어서 심미성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런 수복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계통의 임플랜트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중 가장 기본적인 Branemark 계통의 CeraOne 지대주, 최근에 개발된 전부도재 지대주인 CerAdapt 전부주조 지대주인 UCLA 계통등은 높은 성공률을 보이며 많이 사용되고 있다. 임상가들에 의해 나사유지형 보철물이 착탈성이란 관점에서 선호되고 있다. 시멘트유지형 보철물에서는 나사공이 없는 온전한 교합면을 유지한다는 면과 교합력을 받는 면적에 있어서 더 넓은 면을 가진다는 점등 더 많은 장점을 가진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임상가들의 기호에 의해 선택되어지는 나사 유지형과 시멘트 유지형에 있어서 교합력이 야기하는 하중하에서 각각의 응력 분포를 분석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이 연구는 단일치 수복에 사용되는 CeraOne, CerAdapt UCLA 계통에서 각각의 나사 유지형과 시멘트유지형에서의 응력분포를 삼차원 유한요소법으로 분석하고 상부 구조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 수평 하중, 경사 하중에 의해 야기되는 응력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eraOne, CerAdapt, UCLA 지대주 모두 시멘트유지형보다 나사유지형에서 응력집중이 컸다. 2. CeraOne 시멘트유지형인 1번 모델에서 응력분산이 유리하였고, UCLA 나사 유지형인 6번 모델에서 가장 불리하였다. 3. 모든 모델에서 고정체 경부에서 가장 큰 응력 집중이 있었고 이것은 UCLA 지대주에서 가장 컸다. 4. 상부 구조물에서 주된 응력의 집중은 교합면에서 일어났다. 5. 골은 상부 피질골, 즉 고정체경부와 만나는 부위에서 가장 큰 응력의 집중이 일어났으며 수평, 경사 하중시 응력집중 양상은 힘을 가한 쪽의 반대쪽 고정체 경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양상을 보였다. 6. 전체 모델과 골, 고정체 모두에서 수평 하중과 경사 하중시 보다는 수직 하중시 더 적은 응력값을 보였다.

  • PDF

Boy Preference and Imbalance in Sex Ratio in Korea (한국의 남아선호와 성비의 불균형)

  • Hong, Moon-Sik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v.12 no.1
    • /
    • pp.151-164
    • /
    • 1995
  •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이상적인 성비는 1960년의 160에서 1991년에는 130으로 크게 낮아졌다. 아직도 한국 부인들의 이상자녀수는 여아보다 남아가 더 많게 나타나고 있다. 남아의 가치에 대해서는 1960년대에는 노후봉양이 가장 으뜸가는 변수였으나, 최근에는 가계계승보다도 그 중요도가 떨어지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정서적 유대, 즉 아들이 있어야 든든하다는 식의 주장이 보다 강한 이유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남아선호사상은 사회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즉 성비의 불균형과 장래의 결혼시장의 혼란이 초래된다는 문제가 그것이다. 예를 들면 현재 셋째 및 넷째 아이의 성비가 크게 상승하고 있는 문제이다. 즉, 1992년의 경우 첫째 아이의 출생성비는 여아 100명당 남아 196.5이고, 넷째 아이의 경우는 229.0으로 더욱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2000년에는 결혼적령의 남녀 성비의 차이는 신부보다 신랑이 19.1%나 많아질 것이며, 이러한 차이는 2010년에 가면 더욱 심화되어 신부감보다 신랑감이 무려 28.6%가 초과될 전망이다. 가뜩이나 농촌 총각들이 장가 들기가 어려운 터에 장가 못갈 총각이 크게 늘어날 수 밖에 없는 사정이 된다면 사회적으로 큰 혼란이 야기될 것임에 틀림없다. 이러한 성비의 불균형이 초래되는 배경은 남아선호사상의 잔존으로 저출산 내에서 태아의 성을 감별함으로써 선택적인 인공유산을 하는데서 비롯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현재에도 불식되지 않고 있는 남아선호사상에 대한 주의를 다시 한번 환기시켜야 할 것이다. 특히 이 분야의 보다 깊은 연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대응전략의 제시에 노력해야 할 것이며, 우선 무엇보다도 여성들의 사회적 지위향상 등 여권신장에 관한 정책적 노력과 더불어 교육 홍보를 통한 노력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태아의 성감별 등 바람직하지 못한 의술남용 행위 등을 근절토록 보다 강력한 법적 적용에도 행정력을 집중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P3 in the Auditory Event-Related Evoked Potential of Schizophrenia(I) -P3 in the Schizophrenics- (정신분열증의 사건관련유발전위에 대한 연구(I) -정신분열증 환자의 사건관련유발전위-)

  • Oh, Dong-Jae;Chang, Hwan-Il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 /
    • v.1 no.1
    • /
    • pp.87-98
    • /
    • 1994
  • Objectives: To examine a defect in inhibitory gating of auditory evoked response in schizophrenics, to compare P3 latency and amplitude in negative and positive schizophrenics, and to assess the association of P3 with family history of the psychiatric disorders, electroconvulsive therapy, and clinical features. Methods: 54 schizophrenics(male 31, female 23) and 75 controls(male 33, female 42) were tested with event-related potential paradigm designed to elicit P3 response and Frankfurter Beschwerde Fragebogen. Results: In schizophrenics, the latency of P3 was significantly more delayed and the amplitude of P3 was significantly more reduced than in the controls. Significant differences in P3 latency and amplitude between negative and positive schizophrenics were not found. An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3 latency and amplitude between schizophrenics with family histories of psychiatric disorder and those without family histories of psychiatric disorder was not found also. The P3 latency and amplitude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electroconvulsive therapy and other clinical features such as age, duration of illness, onset of inllness, number of admission, and doses of antipsychotics etc.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chizophrenics had a dysfunction in the process of selective attention and that P3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family history of the psychiatric disorders,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electro1convulsive therapy, and clinical features in schizophren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