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3 in the Auditory Event-Related Evoked Potential of Schizophrenia(I) -P3 in the Schizophrenics-

정신분열증의 사건관련유발전위에 대한 연구(I) -정신분열증 환자의 사건관련유발전위-

  • Oh, Dong-Jae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yung-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ang, Hwan-Il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yung-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오동재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장환일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1994.05.31

Abstract

Objectives: To examine a defect in inhibitory gating of auditory evoked response in schizophrenics, to compare P3 latency and amplitude in negative and positive schizophrenics, and to assess the association of P3 with family history of the psychiatric disorders, electroconvulsive therapy, and clinical features. Methods: 54 schizophrenics(male 31, female 23) and 75 controls(male 33, female 42) were tested with event-related potential paradigm designed to elicit P3 response and Frankfurter Beschwerde Fragebogen. Results: In schizophrenics, the latency of P3 was significantly more delayed and the amplitude of P3 was significantly more reduced than in the controls. Significant differences in P3 latency and amplitude between negative and positive schizophrenics were not found. An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3 latency and amplitude between schizophrenics with family histories of psychiatric disorder and those without family histories of psychiatric disorder was not found also. The P3 latency and amplitude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electroconvulsive therapy and other clinical features such as age, duration of illness, onset of inllness, number of admission, and doses of antipsychotics etc.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chizophrenics had a dysfunction in the process of selective attention and that P3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family history of the psychiatric disorders,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electro1convulsive therapy, and clinical features in schizophrenics.

연구배경 : 정신분열증 환자들이 정보처리 과정의 문제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해 주는 사건관련유발 전위인 P3의 이상을 보고하는 연구들이 있어 저자들은 정신분열증 환자들에게 청각사건관련유발 전위를 실시하여 P3의 이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음성 및 양성 정신분열증환자에 P3의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으며, 가족력이나 전기충격경련요법, 밖에 임상양상과 P3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 DSM-III-R 진단기준에 맞는 정신분열증 환자 54명 (남자 31, 여자 23) 과 그 대조군 75 명 (남자 33, 여자 42) 을 대상으로 oddball paradigm 을 이용한 사건관련유발전위를 실시하여 P3의 잠복기와 진폭을 측정하였으며, 정신분열증의 인지기능이상을 알아볼 수 있는 프랑크푸르트 임상검사를 같이 실시하였다. 결과 : 정신분열증 환자의 P3 잠복기는 그 대조군에 비해 의미 있게 지연되어 있었으며, 또한 모든 진폭도 대조군에 비해 의미 있게 감소되어 있었다. 정신분열증 환자군에서 프랑크푸르트 임상검사의 10가지 임상증상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PANSS의 종합점수에 따라 음성과 양성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P3의 잠복기 및 진폭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정신과질환의 가족력의 유무에 따라, 전기 충격경련요법 유무에 따라 비교한 결과 의미 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환자군에서 프랑크푸르트 임상검사의 임상증상, 그밖에 임상특성과 P3의 잠복기와 진폭 사이에 연관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로 정신분열증 환자들에서 선택적 주의집중 과정의 이상이 있을 것이고 추측할 수 있었으며, 임상양상이나 가족력 유무와 P3사이에 연관성이 없다는 것을 시사해 주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