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the Feuerstein's Cognitive Mediated Learning for Gifted Children on Attention Control and Attention Shift

Feuerstein의 인지적 중재학습이 영재아의 주의통제와 주의전환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0.11.05
  • Accepted : 2010.12.15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Feuerstein's cognitive mediated learning for gifted children on attention control and attention shift. For the study, 40 gifted students were chosen from the 3r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divided into test and control groups using K-WISC-III and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The mediated learning program that is targeted to improve the executive functions of gifted children has used the tools of Organization of Dots, Analytic Perception and Comparisons among Feuerstein's Instrumental Enrichment(FI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 significant improvement has been observed in selective attention, self-control, sustained attention, and attention shift through cognitive mediated learning. Therefore, it has been proven that the cognitive mediated learning is effective in reducing gifted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that are caused by a lack of attention control and attention shift and improving their cognitive functions and potentials.

본 연구는 Feuerstein의 인지적 중재학습 경험이 영재아의 주의통제 및 주의전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3학년 학생 중 지능검사와 창의성검사를 통해 영재아 40명을 선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20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 집단은 Feuerstein의 도구적 심화 프로그램을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한 인지적 중재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Feuerstein의 인지적 중재학습은 영재아의 선택적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및 지속적 주의집중 등 주의통제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의전환 과제의 수행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영재아의 인지도식과 개념화 향상에도 기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심 (1994). 중재학습경험이 저 기능아의 인지수정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2. 길경숙 (2009). 영재아동의 실행기능 향상을 위한 인지적 중재학습 프로그램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3. 김봉배 (2003). 인지적 중재학습경험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효능감 및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제주교육대학교.
  4. 김영미 (2000). 도구적 보강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 감소와 자기 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5. 명성혜 (1990). 저 성취아의 인지수정 가능성을 위한 IE프로그램의 효과.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6. 문숙희 (1997). 중재학습경험이 청각장애학생의 인지능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7. 박병화 (2006). Feuerstein의 도구 심화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학습경험이 발달장애 아동의 지각능력과 유추능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8. 서금택 (2007). FIE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학습 경험이 아동의 지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우석대학교.
  9. 서금택, 박숙희 (2006). 인지향상 프로그램을 통한 또래중재학습경험이 유아의 지능에 미치는 효과. 사고개발, 2(2), 35-58.
  10. 신민섭, 구훈정 (2007). 아동색선로검사. 서울: 학지사.
  11. 신윤주 (2007). 주의집중도에 따른 중등 과학 영재의 특성 및 학습형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2. 안삼태 (1993). IE 프로그램이 국민 학생들의 지능 및 추리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13. 오영진 (2004). Feuerstein의 도구적 심화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학습경험과 영재유아의 추론능력.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14. 오현숙 (2002). 독일 FAIR의 한국 표준화 연구에 의한 한국어판 FAIR 입문서.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15. 이경화, 손원경, 윤미숙 (2008). 유아용 주의력 검사의 개발과 타당화. 열린유아교육연구, 13(4), 263-282.
  16. 이명주, 홍창희 (2006). 실행기능의 차원과 영역별 발달. 한국심리학회지, 25(2), 587-602.
  17. 이봉익 (1992). Feuerstein의 도구적 심화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인지 능력과 정의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18. 이숙희 (2001). 가정환경과 아동의 주의집중력 발달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인천교육대학교.
  19. 이재숙 (2006). Feuerstein의 도구심화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학습경험이 ADHD 아동의 선택적 주의집중과 지속적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0. 임말수 (1992). Feuerstein의 IE프로그램을 통한 저 기능 및 정상 중학생의 인지기능 향상과 자아개념 및 태도 수정.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21. 전윤식 (1990). Feuerstein의 IE프로그램을 통한 저기능 중학생의 인지개발. 교육연구, 1(1), 87-104.
  22. 전윤식, 정홍섭, 임말수 (1992). Feuerstein의 IE프로그램을 통한 저 기능아의 인지 능력 향상과 태도 및 자아개념의 수정. 교육심리연구, 6(1), 141-172.
  23. 정영이 (2003). Feuerstein의 도구적 심화프로그램 중재학습경험에 따른 정신지체아동의 인지력 및 자아개념.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24. 최은주 (2006). FIE-B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학습경험이 발달지체유아의 인지처리기능 및 문제해결행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5. 함윤주 (2003). FIE프로그램을 통한 중재학습경험이 경도 정신지체아의 인지기능과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26. Abikoff, H. B. (2002). Observed classroom behavior of children with ADHD: Relationship to gender and comorbidity.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0(4), 349-359. https://doi.org/10.1023/A:1015713807297
  27. Budoff, M. A. (1974). Learning potential and educability among educable mentally retarded. Final report, Grant No. OEG 08-080506-45977 from the Bureau of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U.S. office of Education (DHEW). Washington, D.C.
  28. Cook, R. E., Tessier, A., & Klein, M. D. (1996). Adapting early childhood curricula for children in inclusive settings (4th ed). Englewood Cliffs, NJ: Merrill.
  29. Daneman, M., & Carpenter, P. A. (1980). Individual differences in working memory and reading.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19, 450-466. https://doi.org/10.1016/S0022-5371(80)90312-6
  30. Das, J. P., Naglieri, J. A., & Kirby, J. R. (1994). Assessment of cognition processes: The PASS theory of intelligence. Needham Heights, MA: Allyn and Bacon.
  31. Eisenberg, N., Fabes, R., & Losoya, S. (1997). Emotional responding: Regulation, socail correlates and socialization. In P. Salovey & D. J. Sluyter (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pp. 129-163). NY: Basic Books.
  32. Eisenberg, N., Fabes, R., & Losoya, S. (1997). Emotional responding: Regulation, socail correlates and socialization. In P. Salovey & D. J. Sluyter (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pp. 129-163). NY: Basic Books.
  33. Feuerstein, R. (1980). Instrumental enrichment: An intervention program for cognitive modifiability. Baltimore, MD: University Park Press.
  34. Feuerstein, R. (1990). The theory of structural cognitive modifiability. In B. Presseisen (Eds.), Teaching and learning styles (pp. 68-134). Washington, DC: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35. Gibson, E., & Rader, N. (1979). Attention: The persevere as performer. In G. A. Hale & M. Lewis (Ed.), Attention and cognitive development. NY: Plenum Press.
  36. Levy, F. (1980). The development of sustained attention in children: Some normative data. Journal of Child Psychology,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21, 77-84. https://doi.org/10.1111/j.1469-7610.1980.tb00018.x
  37. Lidz, C. S. (1991). Practitioner's guide to dynamic assessment. NY: The Guilford Press.
  38. Ruff, H., & Rothbart, M. K. (1996). Attention in early development. NY: Oxford University Press.
  39. Shaffer, D. R. (1999). Developmental psychology: Childhood & adolescence (5th Ed.). Pacific Grove. CA: Brook Cole Publishing Company.
  40. Sternberg, R. J. (1986). Intelligence applied: Understanding and increasing your intellectual skills. San Diego, CA: Harcourt, Brace, Jovanovich.
  41. Struff, G. K., Anderson, D. R., & Well, A. D. (1975). A developmental study of the effect of irrelevant information on speeded classific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20, 127-135. https://doi.org/10.1016/0022-0965(75)90032-6
  42.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