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살모넬라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3초

농장내의$\cdots$ 살모넬라 감염 분석

  • 대한양계협회
    • 월간양계
    • /
    • 제23권8호통권262호
    • /
    • pp.104-106
    • /
    • 1991
  • 살모넬라는 여러 가지 전염병 중의 하나이다. 살모넬라 오염을 막는 것이 제일 중요한 일이 된 적이 있었다. 과거에는 사료에서 살모넬라가 감염된다는 사실을 쉽게 공개하기가 어려웠으나 다행히도 이제는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하게 다루어도 된다는 것이 살모넬라 감염원인을 밝히는데 큰 도움이 된다. 살모넬라는 주위의 조건이 적당하면 빠른 속도로 증식이 가능한 세균이다. 살모넬라 감염을 해결하는데는 사료의 출처를 조사해야 한다는 것이 확인이 되었고 처리방법에는 비용이 적게드는 열처리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 PDF

육계농장에서의 살모넬라 위생대책

  • 윤병선
    • 월간양계
    • /
    • 제34권5호통권391호
    • /
    • pp.79-82
    • /
    • 2002
  • 육계농장에서는 SE(Salmonella Enteritidis)감염도 있지만, 오히려 SE이외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한 혈청형 살모넬라에 오염되는 경우가 많다. 현재 육계농장에서는 계군을 살모넬라로부터 완전히 차단하는 것은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고, WHO에서도 살모넬라 오염을 가능한 한 감소시키는 쪽으로 살모넬라 대책의 지침으로 정하고 있다. 그러나, SE 및 ST(Salmonella Typhimurium)등 사람에게 병원성을 나타내는 혈청형에 의한 계군의 살모넬라 감염오염은 공중위생의 견지에서 완전히 제거하지 않으면 안되다. 여기에서 출하 및 수송시의 대책, 사료의 살모넬라 오염의 중요성 등 산란계와는 다른 점을 지적하면서 기하고자 한다. 일상의 위생관리에 관한 양계장에서의 대책과 살모넬라 검사법에 대하여는 제외하였다.

  • PDF

세계정보 - '가금 사료 고리' 전반적인 살모넬라 통제

  • 고태송
    • 사료
    • /
    • 통권56호
    • /
    • pp.71-75
    • /
    • 2012
  • ${\blacksquare}$ 살모넬라는 사람에서 전세계적으로 식품기원 질병의 주 원인으로 현저한 이환율, 치사율 및 경제적 손실의 원인이다. 모든 나라에서 계란과 가금육은 사람의 식품 기원 살모넬라 증의 주 공급원이다. ${\blacksquare}$ 가금 집단의 살모넬라 오염은 가금 육과 계란에 살모넬라가 출현하는 위험 인자 중의 하나로 본다. 동물들은 오염된 사료, 음수 및 환경으로부터 전염될 수 있다. 어린 동물과 소화 스트레스, 생산스트레스 또는 질병에 걸린 동물에서는 살모넬라 감염 감수성이 높다. 동물들은 다른 살모넬라-감염 동물들로부터 한편 직접 오염된다. ${\blacksquare}$ 살모넬라는 사료로 부터 사료를 섭취하는 동물로, 그리고 그 사료를 섭취한 동물에서 유래한 식품으로 전파한다는 증명이 있다. 유박과 어분 유래 단백질들은 EU 사료공장들과 배합사료 산업에 살모넬라 오염을 도입하는 주 위험 사료 원료들이다. 살모넬라 통제 프로그램은 가능한 추출 및 정제 공장들에서 초기 단계 부터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blacksquare}$ 살모넬라의 미 오염 보증을 위하여 가금사료 사슬의 여러 결정적 단계에서 실시하는 미생물학적 확인 방법의 확립이 매우 중요하다. ${\blacksquare}$ 전반적 가금사료 사슬에서 살모넬라의 효과적 통제를 위하여, 케민 농업식품은 모든 필요한 지원을 포함한 소비자를 생각하여 고안된 완전한 식품 안전성 문제해결 신계획 (FS$i$)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케민의 식품 안전성 문제해결 계획 (FS$i$) 프로그램은 추출과 정제를 포함한 사료 원재료 생산, 사료 공장, 완성된 사료, 음수, 동물 집단, 저장 시설들, 농장들, 수송 방법 빛 환경에서의 살모넬라 통제 방법을 포함한다.

  • PDF

이달의 인터뷰 - "살모넬라균과 하절기 오리농장 방역 중점사항" 조류질병학 전문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송창선 교수

  • 한국오리협회
    • 오리마을
    • /
    • 통권97호
    • /
    • pp.98-101
    • /
    • 2011
  • 최근 오리농장에서 살모넬라 발생이 늘어나고 있다. 살모넬라는 사육장 내 전염이 잘되어 국내에서 발생되고 있는 주요 오리질병 중 하나이다. 특히 살모넬라 혈청형은 사람에게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오리 사육단계에서 감염을 차단할 수 있어야 한다. 조류질병 전문가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송창선교수를 만나 살모넬라와 하절기 오리농장 방역 중점사항에 대해 들어보았다.

  • PDF

사멸 살모넬라와 뱅코마이신 첨가 사료가 Salmonella typhimurium 인공 감염 육계 병아리의 생산성과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

  • 이범규;임진택;박인경;최도열;최준영;이혜정;고태송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5년도 제22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76-77
    • /
    • 2005
  • 사멸 살모넬라와 뱅코마이신 첨가 사료가 Salmonella typhimurium을 감염시킨 육계 병아리의 생산성과 면역계 및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살모넬라 인공 감염전(27일)에는 육계 병아리의 생산성은 사료에 따른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항산화계에서 사멸 살모넬라와 뱅코마이신 첨가 사료가 기초사료에 비하여 적혈구 세포액내 MnSOD 활성을 낮추었다. 살모넬라 인공 감염 7일후 육계 병아리의 생산성은 사멸 살모넬라와 뱅코마이신 첨가 사료가 대조감염구에 비하여 높은 일당증체량과 사료효율을 나타냈다. 살모넬라 인공 감염 7일후 및 15일후 사멸 살모넬라와 뱅코마이신 첨가 사료가 대조감염구에 비하여 적혈구 세포내 과산화물 분해효소의 활성을 낮춘 반면, LPS 자극에 의한 PBMC 증식도와 PBMC 증식에 분비된 IL-1수준을 높였다. 본 성적은 사료중 사멸 살모넬라와 뱅코마이신 첨가가 살모넬라 감염 육계 병아리 생산성 증가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항산화 효소계와 PBMC 증식도, IL-1 분비 및 혈장 TNF-a농도 등 타고난 면역계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젖당과 사멸 살모넬라 함유 사료가 Salmonella typhimurium 인공 감염 육계 병아리의 생산성과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

  • 최준영;임진택;박인경;최도열;이혜정;이범규;고태송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5년도 제22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78-79
    • /
    • 2005
  • 젖당 또는 사멸 살모넬라 첨가 사료가 Salmonella typhimurium을 감염시킨 육계 병아리의 생산성과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젖당 사료는 3주령 육계 병아리의 생산성을 감소시켰고, 혈장 과산화물 분해 효소와 IL-1의 농도는 젖당과 살모넬라 사료에 의해서 증가되었다. 살모넬라 인공 감염 7일 후의 육계 병아리에서 비감염구에 비해 증체 및 사료효율, 혈장 과산화물 분해 효소 활성, 적혈구 세포액의 MnSOD 활성도 증가하였다. 감염후 15일이 지난 육계 병아리에서 사료효율은 젖당 또는 사멸 살모넬라 사료 그리고 살모넬라감염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혈장 과산화물 분해효소, MnSOD 활성과 LPS자극 PBMC의 증식도는 젖당과 사멸 살모넬라 급여구에서 감염 대조군보다 높았다. IL-1의 수준은 사멸 살모넬라 사료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본성적은 젖당과 사멸 살모넬라 급여는 살모넬라 감염 육계 병아리의 PBMC의 증식과 IL-1의 분비를 증가시키고, SOD 활성을 변화시켜 타고난 면역계를 조정한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 PDF

제주도에서 분리된 살모넬라균의 혈청형 및 유전학적 특성 (Serovars and Genetic Characteristic of Salmonella spp. Isolates from Jeju Island, South Korea)

  • 강은옥;조만재;양창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34-151
    • /
    • 2024
  • 살모넬라균은 가장 대표적인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중 하나이며 전 세계적으로 인간 위장염, 설사 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이 되는 병원체이다. 식품 및 환경 검체, 식중독 또는 설사 환자로부터 분리한 살모넬라균의 혈청형, vitek2를 이용한 항생제 내성검사, PFGE를 이용한 유전적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제주도의 식품 또는 환경 검체에서 26주와 인체검체에서 313주로 총 339주가 분리되었다. 월별로 분리된 살모넬라균은 3월부터 서서히 증가하여 8월에 가장 많이 살모넬라균을 분리되었다. 환자로부터 분리된 살모넬라균은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살모넬라균은 70세 이상의 사람들에게서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10-19세 사이의 사람들에게서 가장 적게 분리되었다. 식품 및 환경 검체에서 분리된 살모넬라균은 8개 혈청형이 있었으며, 주요 혈청형은 S. Bareilly (26.9%), S. Rissen (23.1%), S. Thompson (19.3%) 순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인체검체로부터 분리된 살모넬라균은 27개 혈청형이 있었으며, 주요 혈청형은 S. Bareilly (31.0%), S. Typhimurium (24.6%), S. Enteritidis (11.5%) 순으로 확인되었다. 집단식중독의 원인이 되었던 살모넬라균 혈청형은 S. Bareilly, S. Enteritidis, S. Thompson이 있었다. 항생제 내성 검사 결과에서는 다양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나타났으며, 일부 살모넬라균에서는 다제내성이 나타났다. 살모넬라균은 17개의 혈청형에 따라 다양한 유전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살모넬라균의 유행을 예측하고, 과학적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역학조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살모넬라 부재 계육 생산을 위한 위생관리 (Hygienic Management for Salmonella-Free Chicken Meat Production)

  • 양시용;홍영호;이현정;송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89-295
    • /
    • 2010
  • 축산물은 사람의 주요 식품원으로서 중요하지만, 식중독균의 주요 매개체이기도 하다. FAO/WHO(2002) 보고에 따르면 유럽에서 발생하는 식중독의 약 26%가 닭고기 및 계란을 포함한 가금유래로서, 식중독 발생의 77.1%가 살모넬라 균이 원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S. enteritidis가 1/3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계적으로 살모넬라 오염 가금 생산물의 공중보건학적 위험을 해결하기 위한 제어 방안과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 있으며, EU와 미국을 중심으로 살모넬라 제어를 위해 사육단계에서부터 도축 및 가공단계까지 전 과정에서의 살모넬라 제어 프로그램을 적용 확대해가고 있다. 식품 안전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제시한 바와 같은 살모넬라 차단 방역 시스템 설계, 현장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수준의 가이드라인 개발 및 백신과 유기산, 경쟁적 배제제, 프로바이오틱스, 박테리오파아지 등과 같은 살모넬라 저해제의 적용을 포함한 살모넬라 부재 가금 및 안전 계육 생산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Competitive PCR을 이용한 돼지고기 오염 살모넬라의 신속 계수 (Rapid Enumeration of Salmonella spp. in Contaminated Pork Meat Using Competitive PCR)

  • 문애리;최원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48-256
    • /
    • 2007
  • 돼지고기에 오염된 살모넬라의 수를 직접 측정하는 방법으로 경쟁적 PCR(competitive PCR)을 사용하였다. 세가지 DNA추출방법을 비교한 후 guanidine thiocyanate-phenol-chloroform 방법을 일부 수정하여 인위적으로 살모넬라를 오염시킨 돼지고기로부터 DNA를 직접 추출하는 방법으로 선택하였다. Rahn 등(Mol. Cell. Probes 1992년)이 이미 보고한 284-bp iuvA gene의 특이성을 평가하기 위해 살모넬라 57균주와 살모넬라가 아닌 균주 24개를 사용하였다. 시험해 본 모든 살모넬라 균주는 invA 양성으로 살모넬라가 아닌 모든 균주는 invA 음성으로 판명되었으며 살모넬라가 아닌 균주 중 양성으로 잘 못 판명된 경우는 없었다. 돼지고기 0.1 g을 사용할 경우 검출한계는 1,460 cfu였다. 경쟁적 PCR을 위해 invA gene중 82-bp를 결실시킨 DNA조각을 pGEM-4Z백터에 클로닝을 하였다. 인위적으로 오염된 돼지고기로부터 추출한 살모넬라 염색체 DNA와 이와 같은 primer결합자리를 가진 경쟁 DNA를 동시에 경쟁적 PCR로 증폭하였다. 경쟁적 PCR을 사용하여 결정한 균수와 MPN방법으로 결정한 균수는 거의 유사하였으며 전체 과정을 수행하는 데 약 5시간이 소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