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후조리 수행도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산후조리원 이용 산모의 산후조리 인지도와 수행도 (A Study on the Level of Recognition & Performance of Traditional Postpartal Care for postpartal Women in Postpartum Care Center)

  • 박심훈;김현옥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06-52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degree of recognition & performance of traditional postpartal care for postpartal women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service in a postpartum care center. The respondents of this study were 100 women of 6 postpartum care centers within a C province from Oct. 20 to Dec. 10, 2000. The instruments of measure were used for collecting data on the degree of recognition & performance of traditional postpartal ca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Data analysis consisted of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paired t-test, t-test, ANOVA which are calculated by Scheffe test and Cronbach's alpha which is used as a reliance level by using a SPSS-PC+.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1. The average score for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raditional postpartal care(Sanhujori) for postpartal women was $3.09{\pm}.31$, and they recognized that it was important. The methods which were ranked were as follows; Protecting the body from a harmful state, invigorating the body by the argumentation of heat and avoidance of cold, handling with whole heart, and keeping clean, resting without working, eating well. 2. The average score for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traditional postpartal care (Sanhujori) for postpartal women was $2.81{\pm}.31$, and they performed that it was important, too. The methods which were ranked were as follows; Protecting the body from a harmful state, invigorating the body by the augumentation of heat and avoidance of cold, eating well, handling with whole heart, and keeping clean, resting without working.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paired-t=-8.39, p=.000) of the degree of recognition & performance of traditional postpartal care(Sanhujori) for the postpartal women. The degree of recognition was higher than the degree of performance. So, the recognition of traditional postpartal care (Sanhujori) was higher than the performance of it. 4.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of the degree of recognition & performance of traditional postpartal care(Sanhujori) among the postpartal women's age, religion, job, educational background, delivery frequency, delivery method or the sex of baby. 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were not influenced as far as the degree of recognition & performance of traditional postpartal care(Sanhujori).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of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traditional postpartal care(Sanhujori) among the 5 postpartum care centers except 1 postpartum care center(p<.01). So, the recognition of traditional postpartal care(Sanhujori) was higher than the performance of traditional postpartal care(Sanhujori) in the 5 postpartum care centers. But there was performed as good as recognition in only 1 postpartum care center.

  • PDF

산후조리 수행과 산후 건강상태간 정준상관관계 (Canonical Correlation between Korean Traditional Postpartum Care Performance and Postpartum Health Status)

  • 안숙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7-46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longitudinal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partum care performance and postpartum health status. Sample: The study subjects were 82 mothers who delivered full-term infants at 3 hospitals at P city. Data were collected for their health status at the postpartum unit and the sample was followed up to 6 weeks postpartum to collect postpartum care performance and health status. Results: Mothers rated postpartum care performance as moderate to high and especially rated the maternal role attainment the highest. Mothers experienced 4 physical symptoms and moderate levels of fatigue. In addition, they experienced moderate levels of positive affect and low levels of negative affect at both times. Canonical correlation revealed that ostpartum care performance was related to postpartum health status with 2 significant canonical variables. The first variate indicated that mothers who performed hospitality, physical and emotional recovery, self-caring, and role attainment well showed higher positive affects, lower negative affects, fewer physical symptoms, and lower levels of fatigue. The second variate showed that the greater the performance of caring and physical and emotional recovery, the fewer physical symptoms and lower levels of fatigue. Conclusion: Although Korean traditional postpartum care performance was related to postpartum health status, the further study is needed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Nurses need to integrate the perspective of westernized postpartum care and Korean traditional views of postpartum approach to maintain and promote women's health.

한국산 초롱꽃과(Campanulaceae)의 민속식물, 화학성분, 약리작용에 대한 종합적 고찰 (Ethnobotany, Phytochemistry, Pharmacology of the Korean Campanulaceae: A Comprehensive Review)

  • 김현준;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40-264
    • /
    • 2017
  • 한국산 초롱꽃과 식물의 전통지식을 확인하고, 이들의 화학성분, 약리효과에 관한 자료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종합적인 고찰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민속식물은 총 18분류군으로 식용, 약용, 관상용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 중 약용으로는 도라지, 잔대, 더덕 등 총 1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약용 전통지식은 감기, 천식, 산후조리 등 49개의 질병 및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이용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금까지 한국산 초롱꽃과 잔대속, 더덕속, 도라지속, 초롱꽃속, 영아자속에서 총 211개의 화학성분이 선행 연구자들에 의해 밝혀졌으며, 이들은 triterpenes 109종류, sterols 8종류, polyacetylens 4종류, alkaloids 21종류, flavonoids 14종류, phenolic acids 14종류, phenolic glycosides 11종류, phenylpropanoids 8종류, 그 밖의 성분으로 organic acid 계열 등 22종류이다. 약리효과로는 면역활성, 항염증, 항천식 및 점액분비촉진, 항알레르기, 항산화, 에스트로겐 활성, 항당뇨, 간 보호, 신경 보호, 항종양, 항진통, 순환계, 항비만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전통지식과 화학성분, 약리효과에 대한 자료를 종합해 본 결과, 한국산 초롱꽃과 식물을 호흡기 계통, 임신 출산 산후조리, 생식 배설 계통, 순환 계통, 근골격계 계통 등의 질병 및 질환에 사용된 전통지식은 해당 식물체 조추출물 및 화학성분을 이용한 약리 실험을 통해 그 효과가 입증되었다고 판단된다.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임신 및 출산, 양육 변인에 관한 연구: 2002년과 2007년 실태 비교를 중심으로 (Prevalence Study of Mothers' Perception on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care: Comparison Between Years 2002 and 2007)

  • 김양은;조복희;정민자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68-8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36개월 미만 첫 자녀를 둔 어머니 270명(2002년 183명, 2007년 87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임신 및 출산, 양육지식과 양육스트레스 수준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1)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Inventory(KCDI)(Larsen & Juhasz, 1985), 2) 양육스트레스(김기현, 강희경, 1997)와 양육관련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초통계와 신뢰도 검사, t-test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2년에 비해 2007년에는 결혼 후 첫 자녀를 임신 하는 시기는 빨라졌고, 자연분만으로 출산을 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었다. 출산 시 남편이 분만실에서 같이 출산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아졌으며, 산후조리는 친정이나 시댁에 의존하던 비율이 줄어들고, 산후조리원이나 고용인을 두고 조리를 하는 것으로 바뀌고 있었다. 반면, 남편의 육아에 대한 참여 수준은 2002년과 2007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어머니의 양육지식 수준은 2002년에 비해 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육에 대한 어머니의 스트레스는 2002년에 비해 더 높은 수준으로 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지난 5년간 의 영아모의 임신 및 출산에 관한 여러 환경의 변화를 살펴본 것으로, 향후의 변화추이를 예상해 볼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연령에 따른 산후조리에 대한 인식과 수행정도가 산후풍 발생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Awareness of Postnatal Care and San Huo Pung)

  • 김종근;이인선;조혜숙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43-166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awareness or incidence of SHP and postnatal care. Methods: We analyzed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for 104 women who have experienced childbirth within the last 10 years and examined June 2007 to December 2007. We divided to three groups according to age and investigated. Results: 1. Awareness of SHP and postnatal care. Responses about "How informed are you about the syndrome known in Korea as SHP?", Person's ration who know is 72.11%. Responses about "Are you aware of current traditional postnatal practices in Korea?", Person's ration who know is 80.77%. "Do you think that postnatal care as practised is Korea is necessary?", Person's ration who know is 84.62%. "Do you think that in general postnatal care is necessary?", Person's ration who know is 93.27%. "Do you believe, if you are unable to practice postnatal care, you will subsequently develop health problems?", Person's ration who know is 91.35%. 2. Relevant comments of postnatal care. Responses about lifestyle after childbirth are Prevent bodily hard work 35.37%, Prevent cold stimulus 27.21 %, Hold body warmly 17.69%, Psychologically comfortably 7.48%, Eat good food 7.48% Etc 10.88%. Foods after childbirth are Avoid cold foods 22.38%, Avoid hard foods 17.48%, avoid hot foods 16.78%, avoid salty foods 10.49%, avoid excitative foods 8.39%. Medication after childbirth are Oriental medicine and restorative medicine 21.24%, iron was 15.04%, pumpkin 15.04%, vitamin 9.73%, calcium and snakehead each 7.96%. 3. Postnatal care practices Correlation postnatal care practices with present health condition are 19 items of 31 items. Conculsion: We hope these results could be helpful to diagnosis and treatment of SHP.

  • PDF

출산경험 여성의 산후관리 중요도, 수행정도 및 건강상태와의 관계 연구 (A Correlational Study on the level of Importance & performance of postpartal Care and its Relationship with Women's Health Status)

  • 김태경;유은광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45-161
    • /
    • 1998
  • This correlational study sought to find the relationship among women's health status and the level of importance & performance of postpartal care. One hundred thirty three women who live in Seoul and rural area including hospitalized in a general hospital and midwifery clinic were studied from 1st April, 1998 to 25th April, 1998 for 25 days. Data analysis consisted of frequency, percentag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cy, t-test, ANOVA and Sheffe test as a post hoc, using SPSS.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 mean age of respondents was 31.9 years and mean number of children was 1.8. The most of family type was nuclear family and lived int apartment. Mean frequency of pregnancy was 2.7 times and most women delivered at local clinic, general or University hospital. Mean period of after delivery was 53.7 month. The level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raditional postpartal care (Sanhujori) was more higher than hospital postpartal care. The level of importance, performance of postpartum care and health status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The higher level of importance was, & the higher level of performance was higher, and the higher degree of health status. The factors related to health status were postabortal sahujori period after abortion, nuclear family, the evaluation of sahujori, whether women and followed the caregiver's advice well or not and whether they have physical symptoms or not, at the level of $5{\sim}0.1%$ of significance statistically. The factors related to the level of importance of postpartal care were the number of child, present health status and health status of pre-post of delivery, deliver place and the opinion of effective postpartum care method at the level of $5{\sim}0.1%$ of significance statistically. The factors related to the level of performance of postpartal care were delivery place, the opinion of whether they can do at the hospital or not and whether they have physical symptom or not at the level of $1{\sim}0.1%$ of significance statistically. In conclusion, this finding reconfirmed the relationship among women's health status and the postpartal care. It provides a challenge to the health professional caregivers to research continually and repeatedly and confirm the conceptual model of Sanhujori, reestablish effective and integrative postpartal caring system which contains oriental and western paradigm for women's life long health toward the 21C.

  • PDF

전통 산후 회복식과 한방 생화탕이 산모의 회복 정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raditional Recipes and Saenghwatang on Postpartume Care)

  • 박성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652-658
    • /
    • 2005
  • 우리나라의 한방영역에서 분만 후 빠른 회복을 위해 사용해오던 처방 중 생화탕과 관습적으로 산후 회복식으로 민간에서 널리 사용해오던 가물치와 호박 전탕액을 대상으로 분만 후 산모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과학적으로 규명 해 보고자 연구를 계획${\cdot}$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분만 후의 흰쥐에게 생화탕, 가물치 전탕액 및 호박 전탕액을 각각 7일간 투여한 후 적혈구, 백혈구,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트치, 혈소판 수, 피브리노겐과 혈청의 알부민과 타이록신 농도를 구하였고 소변 중의 나트륨과 칼륨의 함량을 측정하여 비교${\cdot}$고찰하였다. 생화탕을 섭취한 군에서는 혈액의 적혈구 농도, 헤모글로빈 농도, 헤마토크릿트치, 알부민 및 타이록신 농도가 대조군(생리식염수 투여군)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았던 반면 백혈구 수와 피브리노겐 농도 및 소변의 나트륨과 칼륨 농도는 유의적 (p<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가물치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백혈구 수, 피브리노겐 농도가 유의적 (p<0.05)으로 낮았고 혈 중 알부민과 타이록신의 농도는 유의적(p<0.05)으로 높았으며 소변의 칼륨 함량은 대조군보다 유의적 (p<0.05)으로 낮았다. 호박 전탕액을 섭취한 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혈청 알부민과 타이록신 농도가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고 소변의 칼륨 함량이 대조군의 농도보다 유의적(p<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생화탕은 산후회복에 뚜렷한 효과를 나타낸 반면 전통 산후 회복식은 분만 후 저하된 상태를 다소 개선시키는 효능은 있으나 그 정도가 생화탕에는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산후회복의 방법으로 적절한 효능은 인정되지 못하여 산후 조리법으로 권장하기에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으며, 전통적으로 인정되어온 가물치와 호박의 이수소종(利水消腫) 효과에 대하여는 향후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식생활 정착을 위해 우리 식생활에서 약식동원의 목적으로 많이 쓰이는 전통 음식의 재료 및 사용분량에 대한 효능 평가에 관한 연구가 시도된다면 우리나라 전통 식생활의 우수성을 입증할 수 있으며 우리 음식을 소개하는데 있어 좋은 자료가 되리라 생각된다.

영아 수면건강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of an Infants' Sleep Health Program Using a Video for SIDS Prevention Education and Measurement of the Program's Effects)

  • 장숙;김일옥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11-19
    • /
    • 2015
  • 목적 수면은 인간의 기본적인 생리욕구이며, 건강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특별히 영아기는 수면주기가 불안정하고 영아급사증후군의 위험이 높아 초산모를 위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으로 초산모를 위한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 동영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본 영아 수면건강과 SIDS 예방 동영상 교육 프로그램은 Dick, Carey와 Carey (2009)의 체제적 교수설계모형에 따라 문헌고찰과 자문위원들의 자문과정을 거쳐 개발되었으며, 소책자, 동영상 및 PPT 슬라이드로 구성되었다. 산후조리원에 입소한 출산 2주 이내의 초산모들을 대상으로 편의 모집한 총 78명 중 최종적으로 분석한 연구대상자는 59명이었다. 실험군 I, II에게 영아 수면건강과 SIDS 예방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실험군 II에게는 교육 2주 후 동영상 강화교육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실험군 I, II와 대조군 모두 교육 전과 교육 4주 후에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 어머니 역할 자신감을 측정하였다. 결과 영아의 수면 건강과 SIDS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 I, II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 및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육 2주 후에 동영상 강화교육을 받은 실험군 II는 실험군 I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 동영상 교육 프로그램은 초산모의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과 어머니 역할 자신감을 상승시키는 데 효과적임이 입증되었고, 동영상 강화교육은 현장 강의를 대신할 수는 없으나 초산모를 위한 교육에 보조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