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적위축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2초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mpacts of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on Children's Smartphone Dependency: Based on Meditation Effect of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 박혜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406-41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의존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 구실을 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초4 코호트" 2,607명 중 불성실한 응답표본 208명을 제외한 2,399명이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성 지지와 강요는 아동의 공격성에 대해 부(-)영향을 미치지만, 거부와 비일관성은 공격성에 대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일관성과 거부는 아동의 사회적 위축에 대해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강요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격성은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사회적 위축은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자율성지지, 거부, 강요 그리고 비일관성은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공격성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시사하는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권력 거리 (Power Distance)

  • 정진용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공운항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25-227
    • /
    • 2016
  • Cockpit 내에서도 다른 사회영역과 마찬가지로 "기장", "부기장"이라는 직함 및 직급에 의한 상하관계의 권력거리가 형성된다. 권력거리가 높은 우리나라 사회에서는 다른 사회영역과 마찬가지로 Cockpit 내에서도 권력거리가 높게 나타남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러므로 사회적 심리거리를 느끼는 부기장은 기장에게 운항안전에 관한 조언을 하는 데 있어서 상대적으로 위축되며, 또한 그러한 분위기도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승무원 간의 긴밀한 협력이 요구되는 Cockpit 환경에서 상호 간의 적극적인 Communication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때문에 조언이 위축되고 크고 작은 운항안전 event, 심지어는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식 사고와 문화적 의식을 지니고 있는 조종사들은 문화적 마찰을 겪을 수 있다. 이러한 그들의 문화가 잘 스며든 효율적이고 안전한 운항을 위해서는 간단히 말해 그들의 문화와 맞추는 노력이 필요하다. 즉, 권력거리가 낮추는 연습이 필요 하다. 따라서 교육훈련도 거기에 맞추는 권력거리를 낮은 방식의 교육훈련이 효과적일 수 있다. 권력거리가 낮은 문화권의 교육의 중심은 교관과 학생간의 낮은 권력거리가 특징이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훈련의 중심을 학생중심으로 맞추어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며, 교육자인 교관은 "Facilitator"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 결과적으로는 학생과 교관과의 낮은 권력거리를 체험, 연습하게 되며, 실제 라인에서도 이러한 관계가 기장 부기장으로 이어지는 상하관계에 있어서도 주도적으로 참여, 조언할 수 있는 밑바탕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 PDF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학교 환경이 스마트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매개효과 (Impact of Social Withdrawal and School Environment on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 손신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577-58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의 영향 요인들을 확인하고, 요인들 간의 작용하는 직·간접 경로를 통해 스마트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8)의 2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고, SPSS 26.0 및 26.0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여섯 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자아존중감과 우울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위축과 학교 환경은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매개 요인으로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영향을 미쳤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은 개인적 요인뿐 아니라 학교 환경과 같은 사회적 요인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의존을 예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근거자료로 제시될 것이다.

아동의 사회적 위축에 대한 아동의 행동억제, 보육경험 및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의 영향 (The Effects of child Inhibition, Day-care Experiences and Mothers' Controlling Child-rearing Behavior on Child Social Withdrawal)

  • 최혜선;박성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15-24
    • /
    • 2008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of inhibition, day-care experiences and mothers' controlling child-rearing behavior on young children's social withdrawal in peer situations. A total of 62 young children(34 boys; 28girls) enrolled in day-care center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on child inhibition and parenting were gathered via questionnaires whereas the quality of day-care and social withdrawal were observed in the day-care center. As results, the quality of day-care and mothers' controlling child-rearing behavior were negatively related to social withdrawal. Further, both day-care entry age and the quality of day-care were served as an intervening variables between child inhibition and social withdrawal.

모바일 사용행동에 대한 실증연구 - 스마트폰 사용 중독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Mobile Usage Behavior - Focusing on Smartphone Usage Addiction -)

  • 신호경;이민석;김흥국
    • 정보화정책
    • /
    • 제18권3호
    • /
    • pp.50-6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폰의 사용 행동 중에서 사용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효과를 분석하고, 스마트폰 사용 중독이 사용자의 사회적 위축을 가져 오는지를 실증 분석을 통해 규명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 사용자의 자기 감시, 외로움, 자아존중감, 스마트폰 특성을 중심으로 한 변수들이 스마트폰 사용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스마트폰 사용 중독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더불어 실증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스마트폰 사용자 315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기법의 한 통계 프로그램인 PLS(Partial Least Square)를 이용하여 측정 모형 및 가설들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스마트폰 사용자의 자기 감시, 외로움 및 스마트폰의 특성은 스마트폰 사용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스마트폰 사용 중독은 다시 사용자의 사회적 위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아울러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기술하였다.

  • PDF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예측변인에 대한 성차 연구 (The Gender Difference in Predictors of Mobile Phone Dependency in Youth)

  • 김현순;최영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40-35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휴대전화 의존 예측변인에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에서 중학교 1학년 패널 3차 년도(2012)의 데이터를 활용 분석하였다. 예측 변인으로 주의집중결핍, 공격성, 우울, 사회적 위축, 부모의 학대, 부모의 방임, 학습활동, 또래소외를 설정하고 단계적(stepwise)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휴대전화 의존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여학생의 휴대전화 의존도는 남학생의 휴대전화 의존도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남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을 가장 잘 설명하는 예측변인은 공격성이고 그 다음이 부모의 학대, 주의집중 결핍, 그리고 학습활동 순이었으며, 여학생의 예측변인은 첫째가 우울이고 그 다음이 주의집중 결핍, 공격성, 학습활동 그리고 사회적 위축 순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은 남학생의 경우보다 더 많은 변인의 영향을 받으며, 남학생의 경우와는 달리 우울과 사회적 위축과 같은 관계지향적인 변인에 의해 더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개입의 실천적 방안은 모든 대상자들에게 일괄적으로 적용되기 보다는 성별에 따라 차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청소년의 우울과 관련된 융합요인: 2016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The Convergent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in the Korean Adolescent: Focusing on the Data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6)

  • 류정림;홍소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80-188
    • /
    • 2019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우울과 관련한 다양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016년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를 이용하여 중학교 1학년 1,881명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청소년이 지각하는 주의집중 문제, 공격성, 신체 증상, 사회적 위축이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신체 증상이 우울에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청소년의 주의집중 문제, 공격성, 신체 증상, 사회적 위축이 높을수록 우울 증상이 증가하는 것으로 청소년의 우울을 54.1% 설명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적 지원 및 실천적인 개입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중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우울과 위축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Suicidal Ideation -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s of depression, withdrawn)

  • 임재현;전동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649-659
    • /
    • 2019
  • 본 연구는 중학생의 자살생각에 학교 및 부모폭력, 학업스트레스가 우울과 위축을 매개로 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복지패널 제13차년도 아동부가조사 자료를 사용하였고, 조사 응답 중학생은 391명이었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서 분석한 결과, 자살생각에 효과가 가장 큰 것은 학교폭력의 총효과였으며, 직접적인 효과도 크게 나타났다. 즉, 학교폭력은 자살생각에 우울과 위축을 통한 부분매개효과라고 할 수 있다. 부모폭력은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우울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폭력은 자살생각에 우울을 통한 완전매개효과라고 할 수 있다. 학업스트레스는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우울과 위축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업스트레스는 자살생각에 우울을 통한 완전매개효과라고 할 수 있다. 위축은 자살생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자살생각에 우울을 통한 간접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학생의 자살예방을 위해서 우울의 감소와 우울을 발생시키는 원인인 학교폭력 예방과, 부모폭력, 학업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유아의 위축 행동에 영향을 주는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기술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Social Skills on Their Withdrawal Behavior)

  • 김지현;정지나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9호
    • /
    • pp.15-24
    • /
    • 2011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social skills on the children's withdrawal behavior. The participants were 92 mothers of five year-old preschoolers and their teachers from two day care centers and one kindergart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boys' and girls' withdrawal behavior. (2) the mothers' consistent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lack of assertive behavior explained the children's withdrawal behavior. In conclusi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social skills influence on the children's withdrawal behavior.

아동의 성, 기질, 어머니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이 사회적 위축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ld's Temperament,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Child's Emotion Regulation on Child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 박지숙;임승현;박성연
    • 아동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85-9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th model of child's sex, temperament,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child's emotion regulation on child social behaviors. The subjects were 286 elementary school children. Data were gathered through questionnaires reported by mothers and teachers. Path analysis revealed that (1) mother's overprotective or coercive parenting behaviors effected neither child's emotion regulation nor social behaviors (2) child's sex and activity level effected child's aggression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child's emotion regulation (3) child's 'activity level' and 'avoidance' temperament effected child's social withdrawal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child' emotion regulation. Findings underscore the role of emotion regulation as a mediator in predicting child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