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업성 타당성 분석

Search Result 419,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 financial feasibility analysis of architectural development projects that use probabilistic simulation analysis method (확률론적 시뮬레이션 분석방법을 적용한 건축개발사업의 재무적 타당성 분석)

  • Lee, Seong-Soo;Choi, Hee-Bok;Kang, Kyung-I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8 no.3
    • /
    • pp.76-86
    • /
    • 2007
  • Construction development work invents profit as those finalize object, and a make or break success of project depends on correct analysis and forecast business feasibility at project early. Business feasibility study would be decision-making under precarious situation because is connoting uncertainty that is future. estimate at present visual point essentially. Under uncertainty, a decision-making method is based on probability theory of statistics, but business feasibility study had applied with not feasibility study by probabilistic decision method but it by determinism derision method so far. Therefore in this study doing decision-making by a probability theory method for successful project at early business feasibility study, it present a probabilistic study method that use simulation that can supply a little more correct and reliable data to decision-maker As result, a probabilistic study method is more suitable than deterministic study method as technique for a financial feasibility study of construction development work. Making good use of this probabilistic study method at important business or careful decision-making, because efficient Judgment that is based accuracy and authoritativeness may become available.

Improvement Direction for Feasibility Analysis of Water Resources Projects by Analyzing Preliminary Feasibility Analysis Projects (예비타당성조사 사례분석을 통한 수자원사업 타당성분석의 개선방향 설정)

  • You, Jae-Young;Kim, Gil-Ho;Yeo, Kyu-Dong;Shim, Myu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545-1549
    • /
    • 2008
  • 최근 이상홍수나 가뭄과 같은 물 관련 재해의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산업 고도화, 인구증가와 같은 원인에 의해 장 단기적 물 부족 현상이 우려되면서 수자원 사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대부분의 수자원 사업은 공공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대규모 정부예산의 투입을 필요로 하고 있으나, 수자원사업의 특성상 사업의 공공성에 반하여 사업 시행에 따른 여러 경제적, 정책적 이해관계가 난립하여 사업 시행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수자원(댐)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제3판'에서는 수자원 사업의 타당성 평가를 위해 크게 경제성분석과 정책적분석의 두 부문으로 접근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다기준의사결정기법 중 하나인 AHP기법을 이용하여 결정함으로써 수자원 사업의 가치 평가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1999년부터 2006년까지 수행된 수자원분야 및 타분야의 사례를 바탕으로 수자원사업 예비타당성조사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현재 지적되고 있는 문제점을 고찰하고 그에 따른 해결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A Economic Feasibility Study of the Soybean Processing in Jeju (콩류 가공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 Ko, Seong-B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777-78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식품부 농어촌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이뤄지고 있는 제주도 한립읍 판포권역의 해거름영농조합법인의 소득기반사업인 콩류 가공(콩나물+두부)의 경제적 타당성분석을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경제성 분석방법은 순현가와 투자수익률(내부수익률)을 이용한 기본적인 경제성분석과 주요변수들의 변화에 따른 순현가의 변화를 파악하기위한 민감도분석이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콩나물, 두부 등 콩류 가공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은 순현가기준 38억 9천7백만원, 내부수익율(IRR) 기준 47.2%로 경제적 타당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규모의 변화에 대해서도, 콩나물콩의 사업규모 1,100가마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두부콩 수준의 처리규모를 3,600가마에서 1,400가마까지 처리규모를 축소해 나가도 경제적 타당성이 있고, 또한 기본시나리오에서 콩나물과 두부의 평균가격이 현재가격 대비 75% 수준이 될 때까지는 모든 할인율 수준에서 경제적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nfluence Factor Analysis for Feasibility Study of Building Projects (상업건축물의 사업타당성 영향요인 분석)

  • Son, Ki-Young;Kook, Dong-Hoon;Kim, Sun-K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6.11a
    • /
    • pp.462-466
    • /
    • 2006
  • The startingpoint of successful buildingproduction process is the feasibility study of the project. If the feasibility study is poor which is affected in direct production processes such as designing and engineering, it incurs a great unrecoverable loss to the company. The governmentinstitutionalized the feasibility study for projects that budgets over 50billion won in an effort to ensure competitivenes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fter IMF; however, the system and effort to created systematic studies or guidance preparation for private construction development projects are lacking in great deal.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analysis factors of feasibility study and evaluation standard by systematic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the changes of various variables and mutual relationships using system dynamics technique for office buildings among commercial buildings.

  • PDF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for Water Resources Policy Effect Analysis Direction (수자원분야 예비타당성 조사 정책효과 분석 방향)

  • Seong, Yeonjeong;Choi, Seungan;Kwon, Hyun-Han;Jung, Youngh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4 no.3
    • /
    • pp.1-16
    • /
    • 2021
  • Recently, large-scale projects are required in the water resources sector considering safety and publicitythe due to uncertainty of securing water resources and changes in the ecological environment by climate change. Among these large-scale projects, the projects that fall under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are determined by comprehensive analysis based on economic analysis, policy analysis,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alysis. However, most of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showed a tendency to depend heavily on economic analysis. For this reason, projects in non-metropolitan areas sometimes fail in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To supplement this point, the Korea Development Institute revised the standard guidelines for preliminary feasibility studies for water resources sector projects that place a high weight on policy feasibility analysi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s of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conducted previously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policy analysis in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for water resources sector projects. For this, we analyz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ies conducted for 18 years from 2002 to 2019, and suggest direction of policy analysis method using the benefit items not included in the economic analysis.

A Model on the Feasibility Analysis for the Apartment Reconstruction (재건축사업의 타당성분석 절차의 모델링)

  • Jung Jung-Man;Kim Soo-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460-464
    • /
    • 2003
  • A reconstrucion project is very complex and requires technical knowledges and experiences, however due to not having any related knowledge consortium usually does not have any related knowledge. So in this study, we have suggested a systematic procedure to execute a reconstruction project focused on the profitability analysis. a model is developed to identify and calculate all relevant cost and revenue to the project using the IDEF0 methodology.

  • PDF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Benefits for Water Resources Projects (수자원사업의 농업용수 공급편익 산정 방안 연구)

  • Kim, Gil-Ho;Yi, Choong-Sung;Lee, Jin-Hee;Shim, Myu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550-1554
    • /
    • 2008
  • 우리나라에서 수리불안전답은 전체 답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총 수자원이용량 대비 농업용수 이 용량은 50% 수준으로 아시아 또는 세계 평균에 비하여 매우 낮은 편이다. 또한, 과거 설치된 수리시설물이 노후화되었고, 국가의 균형적인 농촌사회 개발, 그리고 국내 농업경쟁력 제고 측면에서 추가적인 농업용수 공급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농업용수 공급사업과 관련된 타당성분석 사례를 살펴보면 편익항목의 설정, 분석방법 및 절차에서 일관성이 없는 경우가 많고, 이처럼 일관성이 결여된 분석은 사업의 타당성을 충분히 제시하지 못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사업의 신뢰도를 잃게 되어 투자의 우선순위에서 밀려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편익산정에 앞서 농업용수 공급이 가지는 정성적인 가치를 생산측면, 소득/소비측면, 고용측면, 식량안보측면, 환경측면으로 구분하였고, 이 가운데, 편익산정 시 반영할 항목으로 생산증대편익과 가뭄피해 저감편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농업용수 편익산정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타당성조사 시 편익을 보다 실제적이고, 적극적으로 반영하고자 하였고, 향후 관련 사업의 추진 시 사업이 갖는 타당성을 보다 현실적으로 반영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 판단된다.

  • PDF

경기도 문화콘텐츠분야 창업보육센터 지원서비스가 입주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을 중심으로

  • Hong, Dae-Ung;Lee, Il-H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41-41
    • /
    • 2017
  • 연구에서는 기존의 업종구분 없이 창업보육센터의 서비스와 입주기업의 성과와의 상관관계 분석과 관련된 연구들을 문화콘텐츠 분야의 기업 관점에서도 유의미한지 재 검증해보고, 또한 문화콘텐츠 기업의 특성상 아이템의 사업성이 입주기업의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한다. 그래서 문화콘텐츠 분야의 창업보육 시 필요한 서비스를 발굴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문화콘텐츠 시장의 성장에 따른 아이템의 사업성 평가에 따른 차별화된 창업보육 서비스를 통해 성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문화콘텐츠 분야의 창업보육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설문조사는 경기도 문화콘텐츠분야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설문 데이터의 실증분석 방법으로는 SmartPLS 2.0를 이용해 빈도분석(頻度分析), 신뢰도분석(信賴度分析), 그리고 구조모형을 통하여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 문화콘텐츠 분야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서비스 수준이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공간 및 부대지원서비스, 경영지원서비스, 기술지원 서비스는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적지원 서비스 및 마케팅 지원 서비스는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경기도 문화콘텐츠 분야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서비스 수준이 입주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공간 및 부대지원 서비스, 인적지원 서비스 및 마케팅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경영지원 서비스, 기술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간 및 부대지원 서비스, 경영지원 서비스, 인적지원 서비스 및 마케팅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기술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기도 문화콘텐츠 분야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이 입주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것을 분석한 결과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이 입주기업의 성과(재무적,비재무적) 성과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기술의 경제적 기여도 분석 및 이를 통한 기술의 사업화 타당성 평가

  • 고병열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270-28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기술 사업화 타당성 평가 시, 기술성, 시장성 및 경제성 평가가 독립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제고하고, 평가과정 중에서 자연스럽게 기술성과 사업성을 결합하여 인식할 수 있는 방법론적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여기서는 크게 LSLP 개념을 도입한 기술기여율 분석과, 기술적 난이도 및 부가가치 창출율의 기하평균으로 구성된 기술의 제품기여도 분석으로 이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들은 기술의 경제적 가치의 상대적 파악, 표적시장 및 기업의 기술 포트폴리오 구축에 활용되었다.

  • PDF

An Analysis of BcN Feasibility of Area of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 (농어촌지역 BcN 기반구축 사업타당성 분석)

  • Jeong, Woo-So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3 no.6B
    • /
    • pp.440-449
    • /
    • 2008
  •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feasibility of area of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 as the link of the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BcN) build-up. For the project feasibility analysis, we utilized the questionnaire of experts and drew the new index of evaluation. By using the AHP technique, we evaluated the feasibility. And by reviewing precedent papers and references, it drew proper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ed BcN feasibility using AHP; economic feasibility, technological feasibility and policy feasibility were figured out as main criteria and resulted evaluation criteria for BcN feasibility. As a result, we found the business enforcement was exposed to be apposite and inconsistency index showing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was showed up lowly as 0.0566. Afterward, the BcN business of construction contribute to the living improvement of a nation. Moreover, there will be a value as the basic materials for reasonably propelling the BcN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