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판적 교육학

검색결과 411건 처리시간 0.026초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Skill Evaluation Scale for Nursing Students)

  • 유소영;김남초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29-138
    • /
    • 2014
  • Purpose: To develop a Critical Thinking Skill Test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construct concepts were drawn from a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with hospital nurses and surveys were conducted among students (n=607) from nursing colleg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3 to November 23, 2012 and analyzed using the SAS program, 9.2 version. The KR 20 coefficient for reliability, difficulty index, discrimination index, item-total correlation and known group technique for validity were performed. Results: Four domains and 27 skills were identified and 35 multiple choice items were developed. Thirty multiple choice items which had scores higher than .80 on the content validity index were selected for the pre test. From the analysis of the pre test data, a modified 30 items were selected for the main test. In the main test, the KR 20 coefficient was .70 and Corrected Item-Total Correlations range was .11-.38.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academic systems (p=.001). Conclusion: The developed instrument is the first critical thinking skill test reflecting nursing perspectives in hospital settings and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tool which contributes to improvement of the critical think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간호학적 비판적 사고능력에 대한 문헌고찰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Science: A Literature Review)

  • 신수진;정덕유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7-128
    • /
    • 2009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o review the definitions of critical thinking from various perspectives, 2) To examine the critical thinking measurements throughout nursing research, and 3) To review the nursing studies with regard to critical thinking. Methods: This study was a literature review with regard to the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in aspects of conceptual meaning, measurements, and research. Results: The definition of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included decision making in clinical setting, inference with logical construct to increase nursing quality, interpretation in the context, and evaluation. The critical thinking was a core concept, which meant not only simple nursing process, but included decision making ability. The critical thinking has been conceptualized by bo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kill. However, there was no nursing specified critical thinking measurement. Critical thinking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describ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ritical thinking, to determine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competency,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programs. Conclusion: The instruments for measuri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kill that contain cultural difference and clinical specificity need to be developed to measure critical thinking and increase it.

  • PDF

선험적 지식으로서 곱셈의 교환법칙 교육의 문제 (Commutative Property of Multiplication as a priori Knowledge)

  • 임재훈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7
    • /
    • 2014
  • 초등학교에서 곱셈의 교환법칙의 지도는 $3{\times}4=12$, $4{\times}3=12$와 같이 $a{\times}b$$b{\times}a$ 의 값을 계산하고 실제로 그 값이 같은지를 확인하는 활동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 논문에서는 첫째로, 순수이성비판에 나타난 수학적 지식에 관한 칸트의 견해를 바탕으로, 곱셈의 교환법칙의 취급 방법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칸트에 의하면, 수학적 지식은 선험성과 도식성이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두 곱셈의 계산 결과를 비교하는 방법은 선험성과 도식성이라는 수학적 지식의 특성을 충족하지 못한다. 칸트의 관점에서 볼 때, $a{\times}b$$b{\times}a$ 로 변환하는 필연적이고 일반적인 도식이 드러나게 교환법칙을 취급하는 것이 적절하다. 둘째로, 곱셈의 교환법칙의 도식과 관련된 기본구성단위로의 분배 전략은 (자연수)${\times}$(10의 거듭제곱), 몫 분수 맥락에서 분수의 복합적 의미, 분수의 곱셈과 같은 학습 내용을 관통하는 일반적인 성격의 것임을 논한다. 끝으로, 이상의 두 논의를 바탕으로 초등 수학교과서에서 곱셈의 교환법칙이 다루어지는 방식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 PDF

2007 초등수학과 교육과정과 2011 초등수학과 교육과정의 비교.분석: 변화 내용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2011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Compared to the 2007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with a Focus on Changes in Learning Topics)

  • 박교식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579-59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2007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2011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첫째로, 2011 교육과정에서 취급하지 않게 된 학습 내용에 관해 비판적으로 논의했다. 둘째로, 2011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에서 찾을 수 있는 두드러진 특정을 찾았다. 차기 교육과정의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이러한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었던 다음의 세 가지를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개발 절차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공청회 시안 개발 및 최종 교육과정 개발 과정은 어디에도 드러나 있지 않다. 교육과정의 개발과 연구를 위해서는 이 과정을 잘 정리하여 공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에서의 진술 방식을 수정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의미가 충분히 확립되지 않은 표현이나 모호한 표현은 어느 정도 규정하고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학습 내용별 성취 기준의 진술이 일관적일 필요가 있다. 성취 기준 진술의 원칙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중학교 교육과정 사이의 연계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미디어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중학교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핵심개념 '관계'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lan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for Media Literacy: Focusing on Core Concept of 'Relationship')

  • 심재영;최새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18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교육을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핵심개념 '관계' 관련 단원에 대해 ADDIE 단계로 10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활동지, 수업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의 1~6차시를 실행 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양적,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참가자의 미디어 접근 능력과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그리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고 미디어를 제작하는 능력도 향상되었다. 질적 분석 결과 수업에 참여했던 학생들은 미디어 리터러시 수행목표 전반에 걸쳐 변화가 있었고 특히, '비판적 이해와 평가'에 있어서의 변화를 많이 인지하였다. 미디어 이용 윤리와 사회참여 의식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정 교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를 함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가정과 교육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수용성 향상, 가정과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전문성 제고, 현장의 수업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넓이 개념의 SMSG 교수-학습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Study on the Teaching-Learning Approach of the SMSG Focusing on the Area Concept)

  • 박선용;최지선;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1호
    • /
    • pp.123-138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새수학의 전형이라 할 수 있는 SMSG의 넓이 교수-학습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새수학 실패의 원인을 교수학적 측면에서 밝히는 것이다. SMSG의 계량도식에 따른 넓이 도입 방식의 독특성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 Euclid의 $\ll$원론$\gg$, De Morgan의 $\ll$Elements of arithmetic$\gg$, 그리고 Legendre의 (Elements of geometry and trigonometry) 를 살펴보았다. 또, SMSG의 넓이 교수-학습 방식에 대한 Wittenberg(1963)과 Moise(1963)의 논쟁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초등성과 넓이개념에 대한 심상 형성이 SMSG의 넓이 교수-학습 방식의 성패의 중요한 관건이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SMSG 넓이 교수-학습 방식이 닮음, 같은 넓이, 통약불가능성등과 같은 수학 내용과의 단절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초등성과 기하적 심상의 부재를 낳을 수밖에 없었고, 그것이 SMSG 교수-학습 실패의 원인이라는 것을 보였다.

  • PDF

창의적인 디지털 컨텐츠 개발을 위한 교육 (The Creative Education for Digital Contents Production)

  • 김혜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335-344
    • /
    • 2003
  • 21세기에는 창의성이 국가경쟁력이라고 불리울 만큼 창의성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성장 가능성이 가장 많은 분야 중의 하나인 문화 산업의 경우에는 창의성이 성공여부를 가름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창의적인 기획력 부재를 절감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창의성은 누구나가 가지고 있는 특질이며, 창의적인 사고의 태도를 훈련함으로서 개발되어질 수 있다. 대부분의 대학에서 디지털 컨텐츠 분야를 디자인 분야로 분류하면서 조형적인 측면의 창의성이 강조된 교육이 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디지털 컨텐츠 분야는 인문사회적인 기획력, 예술적인 표현력 그리고 과학적인 기술력의 결합을 통해 문제해결중심의 창의적인 사고를 필요로 하는 학문이다. 단순한 지식과 기술의 습득을 넘어 교육을 통한 확산적 사고 그리고 창의적인, 비판적인 사고를 개발하고 나아가 창의적인 문제해결적 사고를 개발하여야 한다. 또한 개인의 창의성뿐만 아니라 팀웍 또는 조직에서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고 개발이 교육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환경적인 측면으로는 한국적인 사회, 문화의 특성을 고려한 창의성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에는 개인, 조직 및 환경의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보다 구체적인 창의성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십진체계에 기초한 실수의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Real Numbers based on the Decimal System)

  • 정영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163-178
    • /
    • 2012
  • 수를 십진체계에 기초하여 표현하려는 노력은 초 중등학교의 관련 수학 지식들에 대한 개념망 구축과 지도의의에 대한 본질적 이해를 준다. 나아가 고유한 표현의 자연수, 정수, 유리수, 실수를 십진체계로 표현하려는 과정에서 확대된 십진체계인 소수를 분류할 수 있으며, 실수 분류를 위한 하나의 관점을 얻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수의 십진체계 표현에서 출발하여 실수를 십진체계 형태로 표현하려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지식들의 교수학적 의의를 고찰하고, 실수의 분류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이러한 연구는 초 중등학교의 교사가 학교수학을 비판적 안목에서 이해하게 하며, 관련지식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다. 나아가 관련된 수학적 지식들의 내적 연결성과 일관성 있는 교육과정 구성의 단초를 제공한다.

  • PDF

Bruner의 EIS 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Critical Research on Bruner's EIS Theory)

  • 홍진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2호
    • /
    • pp.553-563
    • /
    • 1998
  • In this thesis, I examined Bruner's EIS theory from the viewpoint of epistemology based on Piaget's genetic epistemology. Although Bruner's ideal thought which insisted ‘to teach the structure’accepted Piaget's theory in the methodology of realization, it is different from Piaget in understanding knowledge. The difference is shown from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structure’. Piaget's concept of structure is something that has overcome the realistic viewpoint of the traditional epistemology and is reconstructed through endless self-regulative transformational process. However Bruner's is used as a realistic meaning as we can see in the Plato's recollection theory. Therefore Piaget's ‘stage of development’means the difference of structure which lies in the generative process and it includes the qualitive difference of level. On the other hand, Bruner, who is trying to translate and suggest the fixed structure to the children understood Piaget's stage of development as the difference in the ways of representation. Piaget's operational constructivism insists that the children should ‘construct’the knowledge through their activity, and especially in case of the lohico-mathematical recognition, the source should be internalized activity, that is, operation. In view of this assertion, Burner's idea which insists to accept the structure of knowledge as a fixed reality and to suggest the translated representation proper to the cognitive structure of the children to teach them, has a danger of emphasizing only the functional aspects to deliver the given knowledge ‘quickly’. And it also has the danger of damaging ‘the nature of the knowledge’in the translated knowledge.

  • PDF

간호교육에서 PBL(Problem-Based Learning) 수업의 적용 효과 (The Effects of Application of PBL(Problem-Based Learning) Class on Nursing Education)

  • 강지순;이현주;김주옥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460-1471
    • /
    • 2019
  •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PBL) 수업을 2018년 2학기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교과목에 적용한 후,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과 전문직 자아개념에 대한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단일군 전·후 설계를 활용한 원시실험 연구이다. G도에 소재한 간호대학생 59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문제중심학습(PBL) 수업은 전통식 강의 8주,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4주로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두군 간에 차이는 평균, 표준편차, Paired t-test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전(3.41±.40)보다 수업 후(3.71±.36)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4.39, p<.001). 문제해결능력은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전(3.36±.38)보다 수업 후(3.70±.59)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3.97, p<.001). 전문직 자아개념은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전(2.92±.28)보다 수업 후(3.22±.50)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4.84, p<.001). 따라서 문제중심학습(PBL)을 간호교육에 더욱 확대하여 적용한다면 간호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을 높이는데 효과적일 것이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