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산 자율 제어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8초

Distributed Control Framework based on Mobile Agent Middleware

  • Lee, Yon-Si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195-202
    • /
    • 2020
  • 객체 감지 및 환경 센서 기반의 센서네트워크 환경에서 자원 활용 효율화를 위한 제어 시스템은 센서데이터 획득 및 송수신 기능과 서버에서의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능동적 제어 기능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은 능동규칙 기반 이동에이전트 미들웨어를 이용하여 원격 데이터 센싱과 서버와의 Zigbee 기반 통신 및 서버의 데이터 분석 방법을 구현함으로써, 센서네트워크 환경에서 중앙 센서데이터 서버의 부하를 감소시키는 새로운 분산제어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또한, 수요자의 요구 및 환경 변수들을 적용한 능동규칙 기반의 분산제어 방법을 이용한 절전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구현하고, 이동에이전트 미들웨어 환경에서 실험과 평가를 통하여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제안 시스템은 센서네트워크 환경에서 분산된 객체들을 효율적으로 자율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 프레임워크이며, 향후 스마트 전력 시스템을 위한 최적 전력제어 기반의 수요 반응 서비스 개발에 효과적 적용이 가능하다.

분산 제어를 위한 이동에이전트의 자율성 적용 (Applying the autonomy of mobile agents for distributed control)

  • 임준욱;정은지;이연식;장민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46-648
    • /
    • 2021
  • 센서네트워크 환경에서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시공간 데이터 획득 및 송신을 위해서는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센서들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이들 센서들은 대용량의 센싱 데이터 처리나 동적 환경에의 적응성이 미흡하여 전력의 과소비와 네트워크 부담을 유발한다. 본 논문은 임계값을 적용한 능동규칙을 통하여 필요한 데이터만을 획득, 전송 및 처리할 수 있는 이동에이전트 모델과 이동에이전트의 자율적 이주 및 통신 수행방법을 제안하여 다양한 센서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효율적 분산 제어방법을 제시한다.

  • PDF

그리드 환경에서의 사이트 자율성 보장을 위한 접근 제어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cess Control System for Site Autonomy in Grid Environment)

  • 김법균;정성종;안동언;장행진;박형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2A권2호
    • /
    • pp.161-170
    • /
    • 2005
  • 지리적으로 분산된 이 기종의 유휴 자원들을 서로 연결하여 가상의 고성능 컴퓨팅 자원으로 사용하는 그리드에서 자원에 대한 접근 제어시스템의 구축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리드 환경 구축 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Globus Toolkit을 기반으로 하는 그리드 접근 제어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특히, 각 자원을 제공하는 사이트의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각종 환경 설정 파일들을 이용하고 이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개발이 용이하도록 다양하고 자세한 정보를 만들어 내도록 설계 및 구현하였다.

$L_{ON}W_{ORKS}$를 이용한 공기조화설비 제어네트워크 구축 (A Construction of AHU Control Network by $L_{ON}W_{ORKS}$)

  • 김명호;김유옥;이태봉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제36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675-2677
    • /
    • 2005
  • 공기조화설비의 계장 및 유지관리시에 공사와 조정 등을 간편화하고 로컬 레벨의 표준화 및 시스템간의 상호운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공기조화설비 제어 계통도를 지하층(8포인트)과 기준층(15포인트)으로 나누어 설계하고 이것을 개방형 프로토콜인 $L_{ON}W_{ORKS]$를 이용하여 제어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네트워크의 자 디바이스는 뉴런 C로 프로그램 하였으며, 네트워크의 통신은 통신전용 배선공사를 간소화하기 위하여 전력선 통신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L_{ON}W_{ORKS]$ 프로토콜로 각 디바이스들의 자율분산제어가 가능하게 되었고 통신선의 길이와 회선수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 PDF

Jini 기반의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에 관한 연구 (Design of a Mobile Robot Control System based on Jini)

  • 이동일;한동창;김종무;박주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476-2478
    • /
    • 2001
  • 본 논문은 유연하고 탄력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제공하는 Jini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tele-operation 시스템의 단방향 제어을 개선하여, 제안한 시스템에서는 양방향 제어가 가능하고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로봇이 상호 연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기존의 tele-operation 시스템에 Jini 기술을 도입하여 네트워크상에서 자원 이동이 간편하고 분산 컴퓨팅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구체적으로 복수의 작업장 사이에서 자율 이동이 가능하고 새로운 작업장의 네트워크에 자동으로 적응할 수 있는 이동 로봇시스템과 이러한 로봇 시스템과 연결될 수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전력선 통신에 의한 공기조화설비 제어네트워크 구축 (The Construction of AHU Control Network by Power Line Communication)

  • 김명호;안교철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7-11
    • /
    • 2008
  • 로컬 레벨의 표준화 및 시스템간의 상호운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공기조화설비 제어 계통도를 지하층(8포인트)과 기준층(15포인트)으로 구분하여 설계하고 전력선통신으로 제어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공기조화 시스템의 각 디바이스는 개방형 프로토콜인 뉴런 C로 프로그램 하였다. 연구 결과 $L_{ON}W_{ORKS}$ 프로토콜로 각 디바이스들의 자율분산제어가 가능하게 되었고 통신선의 길이와 회선수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 PDF

자율분산 역 제어시스템의 테스터 설계 연구 (A study on the tester design of Autonomous station control system)

  • 김영훈;홍순흠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31-1535
    • /
    • 2008
  • The Tester of Autonomous station control system is a system which can test the main function of Autonomous station control system through the data fiel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eet the system requirements and design a main function, menu and user interface using Use-case. The main function is a time-deadline test, a schedule broadcast test, a route control test and a version-up test, etc. The design of Autonomous station control system tester plays a primary role of the important document for the upcoming future system development of the tester.

  • PDF

DSP와 라즈베리 파이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그리드 전력설비의 통신제어장치 설계 방법론 (Design Methodology of Communication & Control Device for Smart Grid Power Facility based on DSP and Raspberry Pi)

  • 오세영;이준혁;이세인;박창수;고윤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835-844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설비 간 통신을 통해 고장구간을 자율적으로 판단, 분리하기 위한 기반기술인 통신제어장치를 설계하였다. 통신제어장치에서 제어모듈은 3상 전압, 전류를 계측할 수 있도록 DSP, 통신모듈은 전력설비 간 통신을 통해 고장구간을 판단, 고장구간 분리를 실현할 수 있도록 라즈베리 파이로 설계되었다. DSP와 라즈베리 간 통신은 SPI 통신방식을 기반으로, 반면에 라즈베리 간 통신은 Wi-Fi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끝으로, 3개의 전력설비 통신제어 장치로 구성되는 성능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선로 상의 다양한 고장 이벤트들에 대한 모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모든 시험경우들에 대해서 통신제어장치가 요구된 응답을 보임으로서 통신제어장치 설계 방법론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의 컨센서스를 위한 슬라이딩 기법 강화학습 (A slide reinforcement learning for the consensus of a multi-agents system)

  • 양장훈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226-234
    • /
    • 2022
  • 자율주행체와 네트워크기반 제어 기술의 발달에 따라서, 하나의 에이전트를 제어하는 것을 넘어서 다수의 이동체를 분산 제어하는데 사용 가능한 다중 에이전트의 컨센서스 제어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컨센서스 제어는 분산형 제어이기 때문에, 정보 교환은 실제 시스템에서 지연을 가지게 된다. 또한, 시스템에 대한 모델을 정확히 수식적으로 표현하는데 있어서 한계를 갖는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 중에 하나로서 강화 학습 기반 컨센서스 알고리즘이 개발되었지만, 불확실성이 큰 환경에서 느린 수렴을 갖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불확실성에 강인한 특성을 갖는 슬라이딩 모드제어를 강화학습과 결합한 슬라이딩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은 기존의 강화학습 기반 컨센서스 알고리즘의 제어 신호에 슬라이딩 모드 제어 구조를 추가하고, 시스템의 상태 정보를 슬라이딩 변수를 추가하여 확장한다. 모의실험 결과 다양한 시변 지연과 왜란에 대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을 때에 슬라이딩 강화학습 알고리즘은 모델기반의 알고리즘과 유사한 성능을 보이면서, 기존의 강화학습에 비해서 안정적이면서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CoDraw : 자율 객체를 이용한 웹에서의 유연성있는 CSCW 시스템 설계 및 구현 (CoDraw : Design and Implementatiion of a Flexible CSCW System on the Web using Autonmous Object)

  • 최종명;김형진;최재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5권5호
    • /
    • pp.574-582
    • /
    • 1999
  • 분산 환경에서의 공동 작업을 위한 CSCW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시스템은 전자 결재에서부터 공동 저술, 공동 의사 결정 등의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된다. CSCW 시스템 중에서 특히 공동 작업 드로잉(drawing) 도구는 의사 소통, 공동 디자인, 교육 등의 분야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의 공동 작업 드로잉 도구는 시스템 구성, 병행성 제어 등의 부분에서 유연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병행성 제어 정책 및 뷰(view)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자율 객체(autonomous object)"와 유연한 시스템 구성을 지원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