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합 중재프로그램

검색결과 268건 처리시간 0.027초

초산부의 신체상, 자기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Convergent Influence of Body Image, Self Efficacy on Parenting Stress of Primipara Women)

  • 김보미;김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493-500
    • /
    • 2017
  • 본 연구는 초산부의 신체상, 자기효능감, 양육스트레스의 관계를 확인하고 초산부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U시 소재의 2개 산부인과 전문병원에서 분만 한 초산부 134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1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WIN 22.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신체상, 자기효능감, 양육스트레스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초산부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는 퇴원 후 지지자, 신체상, 가족의지지로 전체 설명력은 29.5%이었다. 따라서 초산부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요인을 바탕으로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양육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더 나아가 초산부가 지각하는 폭넓은 범위의 양육스트레스 원인 탐색 후 초산부를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안전문(screen doors) 설치 이후 지하철 기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융복합적 관련성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of Subway Operators after the Installation of Screen Doors)

  • 최숙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377-386
    • /
    • 2017
  •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지하철 기관사 669명을 대상으로 안전문(screen doors) 설치 이후 직무스트레스 수준 및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로 웹 사이트에서 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하철 기관사의 직무스트레스 전체 점수는 기준 점수 보다 높았으며, 물리환경, 직무요구, 직무자율성 결여, 관계갈등 및 직장문화는 상위 50%에, 조직체계는 상위 25%에 해당되었다. 상관분석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정신건강 하위영역 모두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직무요구,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및 직장문화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설명력은 36.6%이었다. 향후 지하철 기관사의 직무스트레스 예방을 위해 직무특성에 맞는 조직차원의 관리방안마련과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근거마련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수면시간과 수면부족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The Convergent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Sleeping Time and Sleep Deprivation among College Students)

  • 박정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9호
    • /
    • pp.311-320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수면시간과 수면부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U광역시 소재 C대학에 재학 중인 보건계열 대학생 280명의 설문을 수집하여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부족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시간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또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수면부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한 충분한 수면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률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으며, 그러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들을 인식시키기고 불필요한 스마트폰 사용을 근절하기 위한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 주는 것이 절실히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Effects of Cognition Improvement Programs on Normal Elderly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김경윤;이은주
    • 한국노년학
    • /
    • 제37권2호
    • /
    • pp.431-444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00년부터 2016년까지 4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9,624개의 논문을 검색하였고, 최종 14개의 논문이 메타분석을 위해서 선정되었다. 선정된 연구의 질 검증을 위해서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의 controlled trial checklist를 사용하였다. R 프로그램 version 3.3.2(2016-10-31)를 사용하여 효과크기와 이질성 검증, 출간오류를 분석하였다.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 효과크기를 나타냈고 이질성은 중간 정도의 이질성을 나타냈다(SMD=0.759, 95% CI: 0.506~1.013, $I^2=34%$). 전체 논문의 이질성 검증을 위한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재종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복합운동중재가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SMD=1.231, 95% CI: 0.658~1.804, $I^2=40.8%$). 출간오류는 Funnel plot과 Egger's regression test를 통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오류가 발견되었지만 오류의 심각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Trim-and-Fill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연구 결과를 번복할 정도의 심각한 오류는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 중 복합운동중재는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장애아동의 학교준비도 프로그램(School Readiness Program)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School Readiness Program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김은지;곽보경;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3호
    • /
    • pp.7-18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학교준비도 프로그램을 다룬 문헌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대상자, 프로그램의 제공자, 기간, 요소 및 결과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PubMed, Embase, Web of Science,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를 사용하여 문헌을 수집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School readiness" AND ("Occupational Therapy" OR "Rehabilitation"), "학교준비도" AND ("작업치료" OR "재활")을 사용하였다.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을 통하여 최종 8편의 연구가 선정되었다. 결과 : 학교준비도 프로그램 유형에는 복합적 기능 훈련, 운동 기술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프로그램들이 있었고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유형은 복합적 기능 훈련이었다. 프로그램의 제공자는 작업치료사, 심리학자, 물리치료사, 언어치료사, 사회복지사, 교육자가 있었고 심리학자가 가장 많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학업 기능, 운동 기능, 사회적 기능, 부모교육, 기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학업 기능과 사회적 기능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다기능적 기술, 문해력, 양육 기술, 대동작·소동작 기능의 향상을 나타냈다. 결론 :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학교준비도 프로그램 유형, 제공자, 중재 요소, 결과 등을 분석하여 학교 기반 작업치료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최근 학교준비도 프로그램에 관한 관심과 연구는 증가하고 있으며 작업치료사들도 학교 관련 재활 분야에서 역할을 정립하여 다양한 학교 기반 작업치료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국내 치매노인의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효과분석: 메타분석 (Analysis of Effect of Non-drug intervention on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Korea: Meta-Analysis)

  • 이나래;박윤지;장종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66-472
    • /
    • 2021
  • 본 연구는 치매노인에게 적용되고 있는 다양한 비약물적 중재 방법과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치매의 임상적 증상에 따른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성을 분석하여 치매노인을 치료하고 관리하는 전문가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RISS를 비롯한 5개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치매노인의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연구들을 검색한 후, 선정 및 배제기준에 따라 14편의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대상자 특성과 연구 특성으로 나누어 코딩을 진행하였고, 공통되는 증상별로 분류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공통되는 종속변수는 인지기능, 기억력, 일상생활수행능력, 삶의 질, 우울, 행동심리증상등 6개의 하위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메타분석 결과 인지기능에서는 홀니스 프로그램, 기억력에서는 제과제빵 활동, 일상생활수행능력에서는 복합중재 프로그램, 삶의 질에서는 클라이언트 중심적 인지자극치료, 우울과 행동심리증상에서는 리듬움직임 활동이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보아 치매노인에게 적용되고 있는 비약물적 중재는 매우 다양하며 중재들이 나타내는 효과성에서도 서로 다른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증상별로 중재에 대한 효과의 차이를 구별하여 적용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중재가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의 심리지원을 위한 음악 중재연구에 관한 문헌고찰 (A Literature Review of Music Intervention Studies on Psychological Suppor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윤영미;박혜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235-245
    • /
    • 2020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의 심리적 지원을 위한 음악 중재 연구의 현황과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선정 기준과 배제 기준에 따라 2009년부터 2018년까지 발표된 학위논문 13편과 학술지 논문 6편, 총 19편을 고찰한 결과, 첫째, 일반적 특성에서 연구 설계는 비무선 배치 실험연구와 단일 집단 사전사후 실험연구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13세 이하 아동 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음악 중재 특성에서 목표는 자아정체감, 자아존중감, 자아개념 등 자기 관련 요인이 많았고, 중재활동은 노래, 악기, 창작을 혼합한 그룹 형태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의 심리지원을 위한 음악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이들의 특성을 고려한 음악 중재가 더욱 활발히 수행될 것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신생아 돌봄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effect on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 강지원;서문경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247-25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신생아 돌봄 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 자신감과 지식,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산출하는 것이다. 문헌검색과정에서 국내 데이터베이스인 국회도서관, KERIS, KISS, 국내 간호 의료 학회지가 사용되었고 그 중 2016년까지의 11개의 연구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융복합적인 결론을 제시하였다. 신생아 돌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양육 자신감의 전체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하위그룹 분석에서 1회 이상의 중재 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지식과 자기 효능감에 대한 전체 효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신생아 돌봄 교육 프로그램의 이해에 대한 도움을 주고 교육 수행 시 효과에 대한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관련 변수를 측정한 연구를 반복 시도하여 추후 연구에서 일반화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척수 손상 환자의 라이프 스타일 개선을 위한 재활 중재 효과: 무작위 대조군 연구의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 of Rehabilitation Intervention for Lifestyle Improvement of Spinal Cord Injury: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Meta-Analysis)

  • 하성규;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4호
    • /
    • pp.107-120
    • /
    • 2020
  • 목적 : 척수손상환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의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척수손상환자의 재활 중재의 효과성과 근거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국외 논문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어를 사용하여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를 2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검색하여 선정하였다. 선정기준에 부합한 연구는 총 21편이었고, PEDro Scale을 사용하여 연구의 질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메타분석은 Comprehensive Meta-Analysis 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 분석된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총 713명이었고,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체활동을 이용한 중재는 0.406(95.0% 신뢰구간: 0.221~0.591), 전기 자극 치료중재는 0.505(95.0% 신뢰구간: 0.449~1.528)로 중간크기(Medium)의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적 방법 중재는 0.248(95.0% 신뢰구간: 0.033~0.464), 복합 중재는 0.280(95.0% 신뢰구간: 0.122~0.438)로 작은 크기(Small)의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 이질성 검정에서 유의미한 이질성이 있어 연구결과 통합 시 랜덤효과 모형을 선택하여 분석하였고, 출판편견은 유의미하지 않아 신뢰할만한 연구결과였다. 결론 : 분석된 결과 척수손상환자를 대상으로한 재활 중재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척수손상환자를 대상으로한 재활분야에서 임상가들이 대상자의 라이프 스타일을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아동 양육 시설의 난독증 고위험군 중·고등학생에 대한 중재 효과: 청각정보처리 개선 중재프로그램 적용 (The effects on intervening of dyslexia high-risk group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hildcare Facilities : Apply the intervention program improves auditory processing)

  • 김은희;송선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1-1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난독증 고위험군으로 판별된 중 고등학생들에 대하여 난독증의 신경학적 요인 중 청각 정보 처리 개선 중재 후에 읽기 능력과 청지각 능력에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난독증 학생들에게 체계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수립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의 취약 계층의 학생들이 밀집되어 있는 아동 양육 시설의 중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선별 검사를 통해 난독증 고위험군으로 판별된 총 16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읽기 능력 및 청지각 능력에 대한 심화 검사를 통해 최종 24명을 선정하였고, 언어 정보를 실어 나르는 청각 시스템을 강화시켜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TOMATIS Method에 의한 청지각 자극 훈련과 읽기 유창성 훈련을 20회기를 실시하고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읽기능력과 해독 능력 그리고 청각 정보 처리 능력에서 사전 사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중재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를 통해 난독증의 진단과 중재 방법의 모색에 있어 신경과학적 접근의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