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변형성

검색결과 6,630건 처리시간 0.032초

다양한 변형 조건하에서 직교 이방성 지반의 압밀계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efficients of Consolidation of the Cross-anisotropic Foundation under the Various Deformation Modes)

  • 정영훈;정충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161-171
    • /
    • 2001
  • 점성토의 압밀거동은 투수성뿐만 아니라 변형 특성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으며, 변형 특성은 재하 방법에 따른 변형조건과 흙의 특성, 특히 이방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 논문에서는 점성토의 이방적 변형 특성이 압밀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변형 조건에 대한 압밀방정식과 압밀계수를 직교 이방성 탄성이론을 이용하여 유도하였다. 다양한 변형 조건에서 등방과 이방적 변형 특성하의 압밀계수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탄성계수의 이방성이 압밀계수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고, 특히 수평방향의 변위가 허용되고, 수직방향의 변위가 구속될수록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점성토 지반에 대한 하중 재하시 압밀소요시간의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발생 가능한 변형 조건과 이방적 변형 특성에 대한 적절한 고려가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YBa_{2}Cu_{3}O_{7-x}$ 계 초전도체의 초소성 변형조건 (superplastic deformation conditions of $YBa_{2}Cu_{3}O_{7-x}$ superconducting materials)

  • 김병철;조범래;송진태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371-378
    • /
    • 1995
  • YBCO 산화물 초전도체의 초소성 변형에 대한 최적 변형조건을 파악하고자 80$0^{\circ}C$~93$0^{\circ}C$의 온도범위에서 1.0 $\times$ $10^{-3}$s^{-1}$!1.0 $\times$ $10^{-7}$s^{-1}$의 초기변형속도로 압축시험을 수행하였다. 변형속도 민감지수는 m=0.50 $\pm$ 0.1로 나타났다. 이는 결정립계 미끄러지\ulcornerㄹ 주 변형기구로 하는 초소성임을 의미한다. 결정립크기에 따른 유동응력과의 관계는 $\sigma$\propto$d^{1.8 $\pm$ 0.3}$의 지수함수식을 이루고 있으며 Nabarro-Hering 크\ulcorner과 상응하는 격자확산이 확산경로임을 보였다. 초소성 변형에 대한 활성화에너지는 Q=571 $\pm$ 30 kJ/mole이었다. 본 실험온도 구간에서 압축 변형시 변형속도, 변형응력 및 결정립크기에 따른 고온 변형거동 관계식은 $\varepsilon$=A$\sigma$^{2.00 $\pm$ 0.04 - 1.8 $\pm$ 0.3}$ exp(-571 $\pm$ 30kJ/RT)와 같이 유도 되었다. 본 실험조건에서 최적 초소성 변형조건은 86$0^{\circ}C$ 부금, 초기변형속도 ~1.0 $\times$ $10^{-4}$S^{-1}$이었다.

  • PDF

과요오드산 산화당에 의한 효소의 안정성 (Stabilization of Bacillus lichemiformis $\alpha$-Amulase by Modification with IO$_4$-Oxidized Soluble Starch)

  • 금종화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63-268
    • /
    • 2001
  • NaIO$_4$-산화 전분당을 Bacillus licheniformis의 $\alpha$-아밀라아제의 반응시켜서 시프염기 형성으로 당단백질로 변형시켜서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10$0^{\circ}C$에서의 열안정성은 10분 뒤에, pH 9.7에서 변형한 효소 비변형 효소의 순으로 높았다. 그러나 변형 및 안정성에 $\alpha$-cyclodextrin($\alpha$-CD)을 사용한 결과 큰 차이는 나지 않았다. pH 8.0에서 $\alpha$-CD 존재하에 변형한 효소는 pH 8~11dml 알칼리쪽에서 가장 높은 안정성을 나타냈으나, pH 5~7사이에는 다른 효소보다 낮았다. pH 9.7에서 변형하지 않은 효소는 pH 5부터 pH 13까지 서서히 증가하였고 pH 9.7에서 $\alpha$-CD존재 하의 효소는 pH 5부터 7까지 증가하다가 그 후 pH13까지 서서히 감소하였다. $\alpha$-CD존재하의 비변형 효소는 pH 7과 10에서 피크를나타낸 다음 pH12이후에는 급격히 낮아졌다. 변형한 효소는 HPLC 의 유출시간이 빨라wu서 변형하지 않은 효소보다 분자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분자량 크기는 비변형 효소

  • PDF

손상된 재료의 탄소성변형에 대한 운동학적 해석 (Kinematic Description of Damage-Elastoplastic Deformation)

  • 박대효;박용걸
    • 전산구조공학
    • /
    • 제10권4호
    • /
    • pp.131-142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4차 손상유효 tensor를 이용하여 유한 탄소성변형에 대한 운동학적인 손상해석이 소개된다. 이는 뼈대구조에서의 연속체 손상역학의 유효응력개념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소규모 변형율상태에만 적용할 수 있는 등가변형율 혹은 에너지법과는 달리 제안된 운동학적인 방법은 유효변형율과 유한변형율에 적용할 수 있는 소규모 변형상태에 있어서의 손상탄소성변형율 사이의 관계를 제공한다. 이는 실제 형상과 가상의 유효형상 모두에 대한 변형장의 운동학을 직접 고려하여 수행된다. 이 방법은 등가변형율이나 변형율 에너지 경우처럼 소규모 변형율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한변형율에 대한 에너지등가의 가정과 일치함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손상이 탄소성영역에서 운동학적으로 표현되며, 손상유효 tensor는 2차 손상 tensor를 통해 손상을 운동학적 측정값이 항으로 특징지워진다.

  • PDF

개질재 첨가에 따른 SMA 혼합물의 소성변형 및 변형강도 특성 연구 (Evaluation of Rutting and Deformation Strength Properties of Polymer Modified SMA Mixtures)

  • 김현환;최영렬;김광우;도영수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25-31
    • /
    • 2009
  • SMA 혼합물은 소성변형 저항성이 매우 큰 혼합물로 알려져있다. 하지만 실내 시험에서는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시험법이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성변형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가지는 SMA 혼합물의 변형강도치와 반복주행시험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SMA에 변형강도의 적용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MA 혼합물의 배합설계를 거쳐 최적 아스팔트함량의 혼합물에 대하여 변형강도 시험과 반복주행 시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변형강도는 SMA 혼합물의 소성변형 특성을 보이기에는 매우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따라서 김테스트에 의한 변형강도는 간접인장강도나 마샬 안정도와 마찬가지로 SMA 혼합물의 소성변형 저항성을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반복주행시험의 결과인 동적안정도나 최종침하깊이도 역시 SMA 혼합물의 소성변형 저항성을 평가하는데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포장가속시험을 통한 개질아스팔트 혼합물의 소성변형 저항성 평가 연구 (Evaluation of Rutting Resistance of Modified Asphalt Concrete by Accelerated Pavement Testing)

  • 김준형;서영찬;권수안;조용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2D호
    • /
    • pp.285-29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개발된 Full-Scale 포장가속시험기(HAPT; Hanyang Accelerated Pavement Tester)를 소개하고, 이 시험의 시험운영과 함께 개질아스팔트 혼합물과 일반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의 소성변형 저항성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포장가속시험은 일반 밀입도와 3종의 개질아스팔트 각각에 대해 3가지 온도조건(25-30, 40, $50^{\circ}C$)에서 소성변형 저항성을 평가하였으며, 이 평가 결과들은 DSR실험등 바인더의 실내실험 결과들과도 비교하였다. 포장가속시험을 통한 소성변형 발생량을 분석한 결과, 시험 대상이 된 모든 개질아스팔트 구간에서 일반 밀입도에 비해 소성변형 저항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온조건에서는 그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일반 밀입도 아스팔트포장을 대상으로 포장온도 증가에 따른 소성변형 저항성을 분석한 결과 온도가 어느 이상 되면 소성변형 저항성이 급격히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성변형에 관련한 중요한 인자로 제시되는 $G^*/sin{\delta}$는 소성변형 저항성을 잘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회복탄성계수는 소성변형 저항성을 나타내는 인자로 바람직하지 않음도 확인하였다.

방향성 입자를 이용한 ARAP 동적 변형 (As-Rigid-As-Possible Dynamic Deformation with Oriented Particles)

  • 최민규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89-9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물리기반 동적 변형을 실시간에 안정적으로 시뮬레이션하는 새로운 ARAP(as-rigid-as-possible) 방법을 제안한다. 1, 2, 3차원 물체의 변형을 안정적이며, 빠르고, 일관성 있게 다루기 위하여 방향성 입자로 이루어진 변형 그래프를 도입하고 그에 따른 ARAP 변형에너지를 공식화한다. 방향성 입자의 안정적인 시간 적분을 위해서는 변분 공식화에 기반을 둔 내재적 시간 적분 기법을 개발한다. 또한 국지적/전역적 최적화를 교대로 반복 적용하여 방향성 입자의 최적 위치 및 회전을 구한다. 제안된 방법은 구현이 쉽고 복잡한 변형을 실시간에 시뮬레이션할 수 있을 정도로 빠르다.

지반의 한계변형률을 이용한 터널수치해석 및 현장 적용성 연구 (A Study on Numerical Analyses and Field Application for Tunneling Using the Critical Strain in the Ground)

  • 박시현
    • 지질공학
    • /
    • 제18권3호
    • /
    • pp.339-347
    • /
    • 2008
  • 본 연구는 지반의 한계변형률을 활용하여 터널의 정량적 안정성 평가를 수행한 것이다. 한계변형률은 지반재료에 대한 새로운 역학적 물성치의 하나이다. 한계변형률 개념은 터널굴착 현장에서 계측된 변위정보와 함께 굴착지반의 변형에 대한 한계치 설정에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한계변형률 개념을 터널 안정성 평가에 활용한 것이다. 먼저,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터널굴착시 발생한 변위를 역해석 기법에 의해 지반변형률로 산정한 후, 이를 한계변형률 개념에 의해 터널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이어서, 터널시공현장에서 계측된 변위정보를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한계변형률 관점에서 터널안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계변형률 개념에 의해 터널의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극한지 파이프라인 안정성 평가를 위한 진동현식 변형률 게이지 연구 (Investigation on the Vibrating Wire Strain Gauges for the Evaluation of Pipeline Safety in Extreme Cold Region)

  • 김학준
    • 지질공학
    • /
    • 제26권4호
    • /
    • pp.583-591
    • /
    • 2016
  • 극한지에 매설된 파이프라인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서는 진동현식 변형률게이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외국에서는 극한지용 변형률 게이지가 상용화되어 있으나 상당히 고가이므로 국내 기술에 의한 게이지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의 서미스터(thermistor)가 내장된 일반 진동현식 변형률 게이지와 본 연구를 위해 제작된 PT 100이 내장된 변형률 게이지의 온도 측정에 대한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기존 서미스터는 $-15^{\circ}C$ 이하의 저온에서는 신뢰성이 매우 떨어지므로 극한지에서는 PT 100의 사용이 권장된다. 또한 일반 진동현식 변형률 게이지의 경우 저온에서 변형률 측정의 오차가 증가하였으나 인코넬을 이용하여 제작된 진동현식 변형률 게이지는 저온에서 일반 게이지보다 더 높은 신뢰성을 보였다. 현재 진행 중인 연구를 통하여 신뢰성 있는 극한지용 변형률 게이지를 개발할 계획이다.

암반변형계수의 현장시험을 통한 경험적 추정식의 적정성 평가 (An Evaluation of Empirical Prediction Equation for Deformation Modulus of Rock Masses by Field Measurements)

  • 천병식;이용재;안경철;신재근;정상훈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6권3호
    • /
    • pp.251-25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공내재하시험으로 측정된 변형계수를 이용하여 RMR을 이용한 변형계수 추정 방법에 대한 국내 암반에서의 적용성을 평가하고, 암반의 변형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수들과 변형계수와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RMR을 이용하여 변형계수 예측을 위해 제안된 기존의 제안식은 변형계수를 과대 예측하고 있었으며, 암종별로도 추정값과 측정값이 상관성의 차이가 컸다. 암반 특성치로서 일축압축강도, RQD, 절리 상태, 절리 간격, 지하수 상태, 측정 심도를 주요 변수로 하여 암반의 변형계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개개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RQD가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여 예비설계 단계에서 RQD만으로도 암반의 상태 및 변형계수를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고 절리 간격과 절리 상태 의 경우 또한 암반 변형계수와의 상관성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일축압축강도는 변형계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RMR값에 미치는 영향이 적기 때문에 상관성이 낮았다. 따라서 상관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축압축강도의 배점에 신경을 써야하고 일축압축강도 측정시 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지하수의 경우 점수 배점으로 평가되므로 시추자료로 변형계수를 평가하는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평가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앞으로 변형계수 및 암반 특성에 관한 자료 확보 및 연구를 통해 암반의 풍화도, 암반의 간극률, 절리 특성 등에 관한 보다 복합적인 결과 도출을 위하여 다변량 중회귀분석 등과 같은 다양한 접근을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