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Rutting Resistance of Modified Asphalt Concrete by Accelerated Pavement Testing

포장가속시험을 통한 개질아스팔트 혼합물의 소성변형 저항성 평가 연구

  • 김준형 (현대건설 기술개발원 기술연구소) ;
  • 서영찬 (한양대학교 공학대학 교통시스템공학과) ;
  • 권수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연구부) ;
  • 조용주 (건설교통부 부산지방국토관리청)
  • Received : 2005.03.21
  • Accepted : 2006.01.05
  • Published : 2006.03.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development of the first Korean full-scale APT(Accelerated Pavement Tester) and to compare the performances of general dense grade asphalt mixture and modified asphalt mixtures as the first running of the tester. The tests evaluated the rutting resistance for dense grade mixture and three different modified asphalt mixture under three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25-30, 40, $50^{\circ}C$). The results of the testing were compared with the laboratory test results. Results of the tests indicated that the all the modified asphalt sections showed higher rutting resistance than the dense grade section. Especially, the difference was more noticeable at higher temperature condition. Additionally, $G^*/sin{\delta}$ is found out to be an important factor for permanent deformation prediction whereas the resilient modulus was not.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개발된 Full-Scale 포장가속시험기(HAPT; Hanyang Accelerated Pavement Tester)를 소개하고, 이 시험의 시험운영과 함께 개질아스팔트 혼합물과 일반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의 소성변형 저항성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포장가속시험은 일반 밀입도와 3종의 개질아스팔트 각각에 대해 3가지 온도조건(25-30, 40, $50^{\circ}C$)에서 소성변형 저항성을 평가하였으며, 이 평가 결과들은 DSR실험등 바인더의 실내실험 결과들과도 비교하였다. 포장가속시험을 통한 소성변형 발생량을 분석한 결과, 시험 대상이 된 모든 개질아스팔트 구간에서 일반 밀입도에 비해 소성변형 저항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온조건에서는 그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일반 밀입도 아스팔트포장을 대상으로 포장온도 증가에 따른 소성변형 저항성을 분석한 결과 온도가 어느 이상 되면 소성변형 저항성이 급격히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성변형에 관련한 중요한 인자로 제시되는 $G^*/sin{\delta}$는 소성변형 저항성을 잘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회복탄성계수는 소성변형 저항성을 나타내는 인자로 바람직하지 않음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아스팔트포장연구회(1999) 아스팔트 포장공학 원론, 한국도로포장 공학회
  2. 이광호, 옥창권, 이규필 (1998) SMA포장의 최적화 및 현장 적용성 연구, 연구보고서, 한국도로공사
  3. 이석홍 (2001) 길소나이트 개질아스팔트, 현장기술자를 위한 개질/ 특수아스팔트혼합물, 기술강좌, 한국도로포장공학회
  4. Hugo. Fredrick, Amy Louise Epps Martin (2004) NCHRP Synthesis of highway Practice 325: Significant Finding from Full-Scale Accelerated Pavement Testing, Transportation ResearchBoard, Washington, D.C
  5. KICT (2003) A Study 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the Long-term Performance of Modified Asphalt Pavement,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R&D Report, KICTTEP
  6. Kim, H.-J. (2003) Evaluation of Superpave and Modified Superpave Mixtures by Means od Accelerated Pavement Testing, Master Thesis, University of Florida
  7. Lister, N. W. (1972) 'The Transient and Long-Term Performance of Pavement in Relation to Temperature',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Structural Design of Asphalt Pavements, Vol. 1, 1972, pp. 94-100
  8. Metcalf, J. B. (1996) NCHRP Synthesis of highway Practice 235: Application of Full-Scale Accelerated Pavement Testing,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