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법률

Search Result 3,77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개정법률(특허[ $\cdot$실용신안[ $\cdot$의장법)

  • 한국발명진흥회
    • 발명특허
    • /
    • v.7 no.12 s.82
    • /
    • pp.11-17
    • /
    • 1982
  • 특허청에서 특허협력조약(PCT) 가입에 대비하여 추진하던 공업소유권 4법 개정법률안이 82년 11월 2일 국회의 의결을 거쳐 82년 11월 29일 법률 제3566호(특허법중 개정법률) 법률 제3567호(실용신안법중 개정법률), 법률 제3568호(의장법중 개정법률)로 공포되었다. 개정법률의 특징은 처음의 개정법률안에서 특허법 97조의2, 실용신안법 25조의2, 의장법 41조의2, 상표법 43조의2를 신설하여 심사관이 무효심판을 청구하는 경우에 무효사유가

  • PDF

법률용어(3) - 흔히 사용되는 법률용어 해설(3)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51
    • /
    • pp.56-57
    • /
    • 2011
  • 건설업을 영위하다 보면 소송 및 행정처분 등에서 법률용어를 자주 접하게 된다. 법률용어는 일상의 생활용어와 다르기 때문에 그 뜻을 정확히 알고 업무처리를 해야만 실수가 없다. 본지는 법률용어의 뜻을 정확하게 알고 사용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흔히 사용되는 법률용어 해설'을 게재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Language Modeling for Korean Legal Text Processing (한국어 법률 텍스트 처리를 위한 언어 모델링 연구)

  • Ye-Jee Kang;Fei Li;Yeon-Ji Jang;Hye-Rin Kang;Seo-Yoon Park;Han-Saem K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300-304
    • /
    • 2022
  • 본 논문은 한국어 법률 텍스트 처리를 위해 세 가지 서로 다른 사전 학습 모델을 미세 조정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타겟 판결 요지에 대한 판결 요지 후보를 추출하여 판결 요지 간의 유사도를 계산하였다. 또한 유사도를 바탕으로 추출된 판결 요지가 실제 법률 전문가와 일반 언어학자의 직관에 부합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정성적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법률 전문가가 법률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 언어학자에 비해 판결 요지 간 유사도를 낮게 평가하였는데 법률 전문가가 법률 텍스트의 유사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기계와 일반 언어학자와는 달라 전문가 자문에 기반한 한국어 법률 AI 모델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최종 연구 결과로 한국어 법률 AI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 PDF

Information needs and research behaviour of legal professionals in Korea (한국 법률전문직 종사자의 정보요구와 이용행태)

  • Hong, Myung-Ja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6
    • /
    • pp.291-331
    • /
    • 1997
  • 법치주의 사회에서는 개인적으로 혹은 단체의 입장에서 모두 법률정보를 필요로 하지만, 특히 법률전문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그들의 사회적 임무와 역할이 법률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더욱 강하게 법률정보를 필요로 한다. 이들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법률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는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 시스템은 이용자의 정보요구와 이용행태에 적합하도록 즉 이용자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내용을 수록하며, 이용자의 연구습관 및 연구행태 등을 고려하여 마련하여야 하므로, 법률전문직 종사자의 정보요구와 이용행태에 관한 조사는 적절한 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선결조건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법률전문직을 두 집단 즉 실무가 (판사, 검사, 변호사)와 학자(법학교수)로 나누어, 각 집단의 법률정보에 대한 태도, 정보요구와 이용행태의 패턴 및 법률정보원에 대한 태도에 관하여 조사한후, 두 집단의 정보에 관한 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무가와 학자 모두 그들의 연구를 위하여 주로 사용하는 것은 인쇄 자료로서의 판례집과 법령집이다. 그러나 이들 자료중에서 주로 이용되는 자료는 두 집단간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2) 실무가와 학자 모두 일차자료들의 수록범위, 수록내용, 검색방법 등에 관하여 만족을 못하지만, 특히 검색방법에 대한 불만이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용자는 일반적으로 특정 주제어에 의하여 필요한 법률정보에 접근하기를 원하지만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한다. 3) 두 집단은 그들의 역할이 각기 다르므로 따라서 선호되는 법률정보의 종류에 대한 순서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4) 도서관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두 집단은 상이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학자들의 과반수는 중요 정보원으로서 자신의 개인장서를 활용하며, 도서관의 장서 및 그 조직방법에 대해서도 별로 만족하지를 못하고 있다. 반면에, 실무가들은 도서관에 대하여 비교적 만족하며 따라서 도서관에 대한 이용도도 높다. 5) 두 집단 모두 보조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으며 사서의 도움을 받는 경우도 극소수에 불과하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기초로 하여 볼 때 법률전문직을 둘러싼 정보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는, 인쇄된 일차적 정보자료의 검색방법등을 개선하고, 나아가서는 법령과 판례정보를 위한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며,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요구에 충분히 대처할 수 잇는 도서관으로 변화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가장 중요한 것은 법과대학과 사법연수원에서 법학 연구방법에 관한 강좌를 개설하여 각종 법률정보원의 활용 내지 도서관 이용방법에 관하여 교육하는 것이다.

  • PDF

A Study on Legal Commentary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the Usage Patterns of Legal Information Sources (법률정보원 이용행태에 기반한 주석서 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 Won, Jong Sam;Lee, Jee 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7 no.1
    • /
    • pp.127-151
    • /
    • 2020
  • The court has the responsibility to determine the final interpretation of the law. The court hands down final decisions on personal disputes and conflicts between individuals and the state. Legal commentaries will stay true to their intention of providing diverse legal theories and enabling a unified legal interpretation only when law practitioners are allowed to discuss in depth laws, cases, and legal theories within the boundaries set by commentary authors. If law practitioners include the latest laws, cases, and legal theories as well as their opinions to existing commentaries in their judicial roles and legal studies, they will be able to obtain a unified legal interpretation without referring to other legal literature.

A Study on the Standards for Approval of Korean Law School Library (법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도서관의 기준에 관한 연구)

  • Hong Myung-Ja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7 no.2
    • /
    • pp.345-373
    • /
    • 2006
  • Faced with the establishment of Korean Law School which aims to educate the qualified lawyer to provide the high quality of legal service professionally and efficiently to the people with complicated legal problems, this study analysed the basic approval standards for Korean Law School Library which is described in the bill as a integral part of law school for effective legal education.

  • PDF

A Study on the Legal Information Services for Prisoners (수용자에 대한 법률정보봉사에 관한 연구)

  • Hong, Myung-Ja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8 no.4
    • /
    • pp.499-528
    • /
    • 2007
  • Recommend the prison library and legal information service for the prisoners' rights of access to the courts; Analyze the U.S. Judiciary' attitude toward prison library and legal information service; Examine the basic elements for the legal information service for the prisoners.

  • PDF

A Study on the Decis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Legal Concept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English Law (영국법 적용에 따른 법률개념 확정 및 해석에 관한 연구)

  • Jeon, Hae-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v.2
    • /
    • pp.27-30
    • /
    • 2006
  • 해상보험계약에서는 실무상 영국법 준거약관을 포함하고 있는 영국의 해상보험증권 및 협회약관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문제가 발생하면 영국법 및 우리나라 법이 적용되게 된다. 이 경우 영국법은 외국법법률설에 따라 영국법도 법률이므로 법원은 직권으로 영국법을 조사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영국법이 적용되는 경우 영국법상 법률개념을 어떻게 이해하고 확정하여야 할 것인지가 문제가 되며, 따라서 그러한 법률개념은 영국에서 이루어졌던 논의 및 영국법 질서 전체와 관련하여 해석하고 확정되어야 한다.

  • PDF

포장과 법률 -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입법예고

  • 환경부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24
    • /
    • pp.104-120
    • /
    • 2011
  •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을 일부 개정함에 있어 그 취지와 주요 내용을 국민에게 미리 알려 이에 대한 의견을 듣고자 행정절차법 제41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본 고에서는 주요 내용과 함께 신구조문을 비교해 살펴보도록 한다.

  • PDF

Identification of unfavorable clause and directionality through the analysis of legal system of autonomous driving vehiecle in Korea (국내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법률 및 제도 분석과 한계점 도출 및 방향성 제안)

  • An, Myeonggu;Park, Yongsuk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9 no.1
    • /
    • pp.38-44
    • /
    • 2019
  • As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has come, autonomous driving vehiecle gets its attention for commercialization and development and thus its impact on society. To this end, several countries such as US, England and Germany are preparing their own legal systems to come up with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driving vehiecle. In this country, Korea is also developing autonomous driving vehiecle and looking forward its commercialization yet the legal system of Korea lacks of laws, regulations, rules, guidelines and so on. Hence, it is our intention to look into Korean legal system providing the analysis of current Korean legal system in detail. This paper also provides further directions to have balance between commercialization success and risk management in this country and, as a result creates a small step toward 4th industrial revolution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