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백침계 오이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6초

국산 백침계 오이와 수출용 백침계 오이의 오이 물김치 제조가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Properties of Cucumber Kimchi of Different Species during Fermentation)

  • 이혜정;김정근;고종명;허명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41-249
    • /
    • 2002
  • 국산 백침계 오이와 수출용 백침계 오이로 제조한 오이 물김치의 저장 중 변화는 다음과 같다. 1. pH는 적정 pH인 3.5$\pm$0.1에 이르는 시기가 세 시료 모두 14일로 이 수준은 백다다기 오이로 7% 용액에 CaCl$_2$ 첨가 및 microwave를 이용한 후 열처리군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2. 총산도의 변화는 발효 완결 기준을 1.4$\pm$0.1%로 볼 때 대조군은 14일, 수출용 오이들은 7일로 대조군이 수출용 오이들에 비해 발효가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다. 3. 환원당의 변화는 대조군이 14일부터 감소하고, 수출용 오이들은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고 대조군은 미생물 증식 속도가 늦은 경향을 보였다. 4. 총균수는 세 품종 모두 발효 적기인 14일에 최대 균수를 보인 후에도 증가가 계속되어 발효가 서서히 진행되는 경향을 보였다. 5. 세 품종의 젖산균수도 총균수의 변화와 경향은 유사했으나 발효 적기인 14일에 최대균수를 보인 후 발효말기까지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6. 물성도의 변화는 저장 14일 째에 측정한 결과 견고도는 대조군이 수출용 오이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 관능 검사 결과 저장 기간 동안 외관은 세 시료 모두 높은 값을 나타냈고, 저장기간과 시료간의 Pearson의 상관 계수는 초록색의 정도와 아작함이 유의 수준내에서 음의 관계를 보였다.

백침계 모이 측지발생 촉진을 위한 생장조정제 이용 효과 (Effects of Growth Regulator for Promoting Lateral Shooting in White-Spine Cucumber(Cucumis sativus L.))

  • 이재한;권준국;강남준;정호정;박진면;강경희;최영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75-279
    • /
    • 2005
  • 백침계 오이는 측지착과형으로 주지착과형인 국내용 오이와 차이가 있어 백침계 오이의 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측지발생을 높여야 가능하다. 그러나 백질계 오이의 재배시기는 대부분 동절기로 저온 및 일조부족 등의 불량한 환경조건 때문에 측지발생이 떨어진다. 본 연구는 생장조정제를 이용하여 백침계 오이의 측지발생을 촉진하기 위하여 BA의 농도 및 살포시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BA $30mg{\cdot}L^{-1}$을 살포한 것은 농도 장해증상이 억제작형에서는 나타났으나, 반촉성작형에서는 경미하게 나타났다. 측지발생은 BA $10mg{\cdot}L^{-1}$ 살포하는 것이 BA $30mg{\cdot}L^{-1}$ 살포하는 것 보다 많았고, 처리시기는 본엽 10매, 15매 전개되었을 메 살포한 것이 본엽 5매 전개되었을 때 살포한 것보다 많았다.

일조부족이 백침계 오이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w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and Yield in Cucumber.)

  • 성기철;이상규;강용구;김광용;이재욱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2년도 추계 심포지엄 및 학술발표 논문집
    • /
    • pp.270-273
    • /
    • 2002
  • 우리나라의 오이 수출은 1985년을 시작으로 2.5톤의 신선오이가 일본에 수출되었으며, 이후 재배면적과 수출량이 계속 증가되어 2001년 재배면적은 146ha에 이르렀고 수출량 8.2톤, 수출금액 11,465천불로 2000년 대비 각각 42%, 16%가 증가하였다. 수출오이의 이러한 증가 추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일본의 재배면적 및 생산량 감소로 연간 10,000톤 내외는 지속적으로 수출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중략)

  • PDF

정지방법이 백침계 오이 '샤프1호'의 생장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aining Methods on Growth and Yield of White Spine Cucumber 'Sharp-1')

  • 최영하;박동금;권준국;이재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5호
    • /
    • pp.569-571
    • /
    • 1999
  • 백침계 오이 '샤프 1호'의 9월 파종 재배시 저온기(11월~익년 2월)에 다수확할 수 있는 정지방법을 구명코자 2개년간('98~'99)에 걸쳐 시험한 결과, $m^2$당 마디수, 엽면적, 수관 상부의 엽면적 분포비율 및 근중 등은 측지재배구가 가장 많았고, 주지+측지재배구, 주지재배구 순이었다. 총수량 및 상품과(商品果) 수량도 같은 경향 이었다. 유인작업에 소요되는 노동력은 측지재배구가 가장 적었고, 주지재배, 주지+측지재배구 순으로 많았다.

  • PDF

묘령과 관수개시점이 백침계 샤프-1 오이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ling Age and Irrigation Set Point on the Growth and Productivity of the White Spined Sharp-1 Cucumber)

  • 박동금;권준국;이재한;최영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42-249
    • /
    • 1999
  • 수출용 백침계오이 재배시 수출기간내에 다수확 할 수 있는 최적 육묘방법을 구명코자 1997년과 1998년 2년간 육묘일수와 관수량을 달리하여 실험한 결과, 육묘일수간에는 30일 육묘구가 가장 좋았고, 다음으로 40일, 20일 육묘구 순이었다. 총수량 및 상품수량도 30일 육묘구가 가장 많았고 40일, 20일 육묘구 순이었는데 20일 육묘구는 수확개시기가 늦어 초기수량이 많이 떨어졌고 40일 육묘구는 초기수량은 다소 많았으나 초세의 노화가 빨라 수량이 조기에 급감 되었다. 관수량의 다소는 묘소질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 PDF

지중가온이 백침계 오이의 측지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Heating and Lateral Branching in White Spined Cucumbers)

  • Sang Gyu Lee;Ki Cheol Seong;Kwan Dal Ko;Kwang yong Kim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55-158
    • /
    • 2001
  • 최근 수출을 위한 백침계오이의 재배 면적이 계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어 2000년 현재 약 121ha에 달하고 있다. 백침계오이는 측지 착과형으로 흑침계오이와 달라 수량이 측지의 발생여부에 달려 있다. 그런데 백침오이의 주재배시기는 10월에서 2월까지의 겨울철로, 온도가 낮고, 투광량 부족하여 측지발생율이 저조하다. 따라서 본 시험은 백침계오이의 측지 발생율을 높이기 위한 지중가온의 효과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중가온구는 주당 측지발생수가 13.7%개였고, 무가온구는 11.7개로 지중가온을 하면 측지발생수가 증가함을 알수 있었다. 또한 상품수확과수에 있어서도 지중가온구는 주당 45개인데 반해 지중무가온구는 38개였고, 전체적인 수량도 ha당 81톤으로, 무가온구의 68톤 보다 18%의 증수효과가 있어다. 즉, 수출오이재배시 지중가온을 하면, 측지발생수가 증가하고 특히 장측지가 다수 발생하여 측지 수확과수가 증가하며, 곡과의 발생이 감소하여 상품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 PDF

Bloomless 대목에 접목 재배한 백침계 오이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재식밀도와 정지방법 (Effects of Training Method and Planting Density on the Growth and Fruit Quality of White Spined Cucumber (Cucumis sativus L. ; White spined group) Grafted on Bloomless Rootstocks)

  • 정종모;서종분;서윤원;이숙재;김정근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235-241
    • /
    • 2006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