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용

검색결과 1,111건 처리시간 0.023초

미용전공 중국유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in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Beauty Major Chinese Students)

  • 왕지윤;김현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42-252
    • /
    • 2021
  • 본 연구는 미용전공 중국유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이에서 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변수를 규명하여 미용전공 중국유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성공적인 유학생활을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미용전공 중국유학생 4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학기차에 따라 자기주도학습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TOPIK 등급에 따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자기주도학습은 셀프리더십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셀프리더십과 자기주도학습은 미용전공 중국유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있어 주요한 예측변수이며, 셀프리더십과 자기주도학습을 함께 촉진할 때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미용전공 중국유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제고를 위해서는 셀프리더십과 자기주도학습을 함께 촉진하기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함을 시사한다.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 실기검정과 메이크업 미용인의 직무심리(職務心理)와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actical examination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of makeup and the psychology of makeup)

  • 박장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295-300
    • /
    • 2021
  • 타인에게 긍정적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한 현대인의 외모관리 열풍으로 미용은 과학과 기술을 바탕으로 세분화, 다양화되면서 전문기술직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메이크업 미용사 국가기술자격증이 미용사(통합)에서 분리되면서 실기검정 과제에 대한 실효성 검증과 함께 산업체 현장에서 메이크업 미용인의 직무 태도와의 상관성에 대해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1과제인 웨딩(로맨틱), 웨딩(클래식), 한복, 내추럴 메이크업 등의 뷰티메이크업 시술로 인해 메이크업 미용인이 인지하는 직무 효능감과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고자 가설설정 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웨딩 클래식 메이크업과 웨딩 로맨틱 메이크업 시술이 메이크업 미용인에게 직무 효능감과 직무만족도를 각각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메이크업 업무 특성상 채도가 높고 강렬한 색상 표현이 직무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효성을 배가시킨 메이크업 실기과제의 업데이트와 메이크업 미용인의 직무태도 향상을 위한 향후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헤어 미용 교과서 분석 (A Study on the Hair Beauty Textbook Based on the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 심상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200-22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준으로 고등학교 헤어 미용 교과서의 수록 범위와 내용을 분석하였다. NCS 기준에 의하면, 헤어 미용의 모든 직무능력 수준은 1~5수준에 속하며, 고등학교 과정 동안 헤어 미용 분야 40개 능력단위 중에서 습득 가능한 능력단위는 30개 항목이다. 고등학교 헤어 미용 교과서는 NCS 직무능력 중 75%에 해당하는 19개 능력단위를 중심으로 발간되었으며, 서술된 교과서 내용은 요구되는 직무 능력의 약 85% 정도를 포함하고 있다.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교과서의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수준에서 습득 가능한 NCS 능력단위 11개에 관한 교과서가 발간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추가되는 내용을 학습할 수 있는 전문교과 수업 과정이 동시에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헤어 미용 분야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의 정립이 필요하다. 셋째, 교과서에 실린 사진 자료와 삽화 자료의 질적 개선작업이 필요하다. 넷째, 교과서의 오타 수정과 함께 사진 및 삽화 자료의 일관된 편집 형식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고등학교 졸업생들이 취업과 동시에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미용사 국가기술 자격증 취득 선호도 및 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Trend Analysis of Barber and Hairdresser Acquisition of National Technology Certificate)

  • 오정선;이숙자;박장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637-643
    • /
    • 2022
  • 현대사회의 미용은 예술과 과학이 융합적으로 접목된 전문 직종으로서 이, 미용인으로 입문하기 위하여 국가기술 자격증 취득은 일상적 통관 절차이다. 또한 예비 미용인이 선호하는 이, 미용 국가기술 자격증과 취업 분야에 대한 객관적 자료 제시가 필요한 시점이기 때문에 미래 미용산업에서 성공을 설계하는 뷰티아카데미 수강생들이 선호하는 이, 미용 국가기술 자격증에 대한 인식과 동향을 다각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선호하는 국가기술 자격증과 희망하는 취업 분야는 매우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남성, 젊은 연령층, 미혼자, 학생층에서는 개인의 적성과 흥미를 우선순위로 선택한 반면 30대 이상, 기혼자나 이혼자, 자영업자, 회사원, 주부에서는 취업 전망의 선택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미용 인재의 본질적 성향과 발전 방향에 대한 모색을 도모할 수 있으며, 향후 국가기술 자격증 교육에 대한 바람직한 연구개발의 방향을 설정하고 뷰티아카데미 시장의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한다.

헤어 미용인들의 보건위생 관심과 COVID-19에 대한 인식정도 연구 (Interest in Health and Hygiene of Hairdressers and Their Awareness of COVID-19)

  • 심상희;이근광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3-107
    • /
    • 2021
  • 배경: 헤어 미용인들의 코로나감염증에 대한 위생과 인식에 대한 조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목적: 헤어 미용인들의 COVID-19에 대한 보건위생 관심 정도와 인식 정도를 조사하였다. 방법: 대전광역시 소재 헤어 미용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회수한 설문지 총 260부를 SPSS 26.0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결과: 미용인들의 보건위생 관심도는 연령, 학력, 직급, 미용실의 형태, 근속연수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19에 대한 인식 정도에서 코로나의 위험성에 대해서는 30대 이상, 원장, 중간크기 가게, 근속연수 10년 이상에서 높게 나타났다. 코로나에 대한 낙관적 측면에서는 20대, 보조 스텝, 대형가게 및 근속연수 5년 미만에서 높게 나타났다. 보건위생 관심, 위생 관심도, 손 위생 및 마스크 위생, 코로나 위험성 인식과 낙관적 인식은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대전지역 헤어미용인들에 대한 보건위생 관심과 인식 정도는 연령, 학력, 직급, 헤어샵의 형태 및 근속연수에 따라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결과는 이 분야의 연구에 기초자료가 되리라 평가한다.

미용 치료 헬스케어를 위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장치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 Device for the Beauty Treatment Health Care)

  • 이우철;고윤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259-1264
    • /
    • 2016
  • 초음파 치료는 회복속도가 빠르고 안전하다는 이유로 피부거상치료와 관련된 미용분야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용치료를 위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장치의 출력회로를 개발하였다, 고강도 집속 초음파 시스템의 미용치료분야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중 청음기를 이용하여 3 차원 초음파 강도 에너지를 측정 분석하였다, 고강도 집속 초음파장치에 의해 미용 치료에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프랜차이즈 미용업의 경영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decisive factors for management results of franchise beauty salons)

  • 조진우;민규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41-248
    • /
    • 2013
  • 뷰티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미용업계도 대형화, 전문화, 프랜차이즈화 되고 있는 시점에서 미용업에 대해서 매출액을 결정짓는 요인들을 AHP를 통해 분석하였고 분석한 결과 프랜차이즈 미용업의 경영성과 결정요인인(입지조건,매장시설,프랜차이즈브랜드,인적구성,가격수준)에서 상위계층에서 인적구성(0.313)과 하위계층에서 연계시설(0.326)을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종합적으로 입지조건, 인적구성, 프랜차이즈브랜드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프랜차이즈 본사에서 점포개발을 함에 있어서 실무적으로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이 되며 다른 업종에서도 동일한 연구방법으로 실증연구가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미용재능기부자의 참여활동속성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the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of Beauty Talented Volunteers)

  • 윤진숙;이재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311-321
    • /
    • 2017
  • 최근 소통과 배려를 통하여 타인과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방법으로 재능기부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재능기부에 참여하고 있는 미용전공자들을 중심으로 참여난관요인, 참여기간, 봉사대상, 참여분야, 참여방식, 참여동기 등의 특성을 분석하자 하였다. 설문응답은 701명의 미용재능기부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참여난관으로는 능력 및 기술부족, 사회적 인식부족과 여유시간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참여특성은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월소득 등에 따라 상이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용재능기부를 위한 활성화 방안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지역사회융합을 위한 재능기부 피부미용 프로그램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kin Care Program Development by Talent Donation for Community Together)

  • 윤진숙;이재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403-411
    • /
    • 2017
  • 최근 사회통합을 위해 재능기부측면에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미용전공자들을 중심으로 재능기부 프로그램에 관한 교육과정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의 문헌연구에서 밝혀진 핵심요소들은 교육과정의 내용으로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프로그램은 미용재능을 가진 분들이 재능기부를 더욱 확대하는데 참고할 수 있다. 지역사회와의 융합을 위한 본 프로그램의 교육과정은 재능기부의 목표, 교수 학습방법, 평가항목 등으로 구성되었다. 본 교육프로그램은 재능기부의 이해영역과 피부미용의 테크닉영역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미용전공과 비전공 여대생의 모발영양지식, 모발상태, 모발행동에 관한연구 (A Study on Hair Condition Hair Control and Nutrition Knowledge of Hair and Beauty Care Major and Non-major Female Students)

  • 노영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592-596
    • /
    • 1999
  • 본 연구는 피부미용전공과 비전공여대생의 모발영양지식을 파악하고 모발영양에 관한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과 수강하지 않은 대상자들간의 모발상태 모발행동 등을 연구하고자 청주에 있는 피부미용과 여대생 146명과 비전공여대생 145명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발영양지식은 전공여대생이 비전공여대생에 비해 훨씬 높았고 모발의 진단을 받아본 경험도 전공대상자가 높았다 그러나 모발상태 손상원인 모발에 관한 걱\ulcorner은 두 그룹 모두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모발관리도 전공대상자가 비전공대상자 보다 많이 하고 있었고 모발손질 횟수도 전공대상자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미용실 출입횟수는 2-3달에 한번이 가장높았고 그룹간에 차이는 없었다. 1회 머리손질 비용도 전공대상자가 비전공대상자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고 샴푸의 선택기준은 두 그룹 모두 샴푸의 질과 본인 모발의 상태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선택하였다. 결론적으로 피부미용전공여대생은 모발영양과 모발 관리학 등에 관한 수업을 받았기 때문에 모발영양 지식이 많이 모발행동이 더 바람직하였고 모발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였다 그러므로 모발에 관한 교육 건강한 모발을 유지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나 적절한 모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비전공여대생들에게도 모발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