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묵사집산법(默思集算法)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3초

17세기 조선 산학(朝鮮 算學)과 ${\ll}$묵사집산법(默思集筭法)${\gg}$ (Chosun mathematics in the 17th Century and Muk Sa Jib San Beob)

  • 김옥자;김영욱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5-28
    • /
    • 2009
  • 본 논문은 17세기 조선의 대표적인 산서(算書)인 경선징(慶善徵, 1616~?)의 ${\ll}$묵사집산법(默思集筭法)${\gg}$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ll}$묵사집산법(默思集筭法)${\gg}$은 17세기의 중요한 산서(算書)로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으며, 또한 17세기 조선 산학의 상황을 알려주는 중요한 사료(史料)임을 알 수 있다.

  • PDF

산학계몽과 묵사집산법의 비교 (A Comparison between Suanxue qimeng(Introduction to Mathematical Studies} and Muksa-jipsanbup)

  • 허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6
    • /
    • 2008
  • 중국의 산학서 산학계몽은 산학의 훌륭한 입문서로 조선 산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의 편제와 내용을 본받은 조선 산학서 묵사집산법은 많은 문제와 별해를 추가하고 산학계몽에서 다루지 않은 산학의 몇 가지 주제도 보완해서 교육적 개선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묵사집산법은 정부술을 배제시킴으로써, 전통적인 방정술을 이용할 수 없었다. 또 천원술도 회피함으로써, 일반적인 승방(다항 방정식)의 표현과 풀이에도 큰 제약을 받았다.

  • PDF

산학계몽(算學啓蒙)과 묵사집산법(黙思集算法)의 수학 교육적 구성과 구조 (Mathematics Educational Constructions and Structures in Suan Xue Qi Meng(算學啓蒙) and Muk Sa Jib San Bub(黙思集算法))

  • 윤혜순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1-19
    • /
    • 2012
  • 주세걸(朱世傑)의 ${\ll}$산학계몽(算學啓蒙)${\gg}$은 조선 산학 발전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산서 중 하나이고, 경선징(慶善徵)의 ${\ll}$묵사집산법${\gg}$은 현존하는 조선 산서중에 가장 오래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ll}$산학계몽(算學啓蒙)${\gg}$ (상권(上卷))과 ${\ll}$묵사집산법${\gg}$ (권상(卷上))의 문제를 비교 분석하여 이 두 산서에서 나타나는 수학 교육적 구성과 구조를 조사하여 두 저자의 구조는 현재에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인다.

묵사집산법(默思集算法)과 구일집(九一集)에서의 넓이 (Areas in MukSaJibSanBeob and GuIlJib)

  • 강미경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59-269
    • /
    • 2014
  • In China and Joseon, the measurement of the areas of various plane figures is a very important subject for mathematical officials because it is connected directly with tax problems. Most of mathematical texts in China and Joseon contained Chinese character '田', which means a field for farming, in title name for parts that dealt with problems of areas and treated as areas of plane figures. The form of mathematical texts in Joseon is identical with those in China because mathematicians in Joseon referred to texts in China. Gyeong SeonJing and Hong JeongHa also referred to Chinese texts. But they added their interpretations or investigated new methods for the measurement of area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history of the measurement of areas in Joseon, which described in two books MukSaJibSanBeob and GuIlJib, with comparing some mathematical texts in China.

조선 시대의 방정식론 (Theory of Equations in Chosun Dynasty)

  • 홍영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16
    • /
    • 2004
  • 조선 시대의 산학서 묵사집산법, 구일집(九一集), 차근방몽구(借根方夢求), 산학정의(算學正義) 및 익산(翼算)에 나타나는 방정식 이론을 조사함으로써, 조선 시대의 방정식론의 역사를 연구한다. 먼저 조선 산학에서 다항식과 방정식의 표현 방법의 변화를 취급한 후 방정식의 해법에 관한 역사를 다룬다.

  • PDF

묵사집산법의 수열

  • 허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5-32
    • /
    • 2004
  • In this article we survey the sequences and the series in Mooksajipsanbup(默思集算法) which is the seventeenth century mathematics book of Chosun dynasty. First, we classify them into three categories: arithmetics, geometric, and general sequences (series). And then we explore the old methods to find the values of terms and the sum of terms.

  • PDF

조선 산학의 삼각형 (Triangles in Chosun Mathematics)

  • 장혜원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1-5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조선 시대의 산학서에서 다루어진 삼각형에 대한 내용을 고찰한다. 기하보다 대수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던 조선시대 산학 연구의 특성을 고려하면, 삼각형 자체에 대한 기하학적 탐구보다는 삼각형 모양의 밭의 넓이 측정 방법에 대한 설명이 기대된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직각삼각형인 구고에 대해서는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졌고, 측정이라 하더라도 일반 삼각형에 대해서는 근삿값 수준으로 다루어진 것을 감안하면 삼각형 관련 내용에 대한 분석은 의의 있다고 생각된다. 조선의 산학서 <묵사집산법>, <구일집>, <산학입문>, <주해수용>, <산술관견>에 대한 고찰 결과, 삼각형 관련 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 다. 측정의 필요가 있던 밭 모양과 관련한 도형의 측도, 측정 대상으로서의 도형으로부터 기하 연구 대상으로서의 도형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내용, 서양 수학의 영향으로 인한 도형의 정의 및 성질에 대한 탐구와 타당화이다.

  • PDF

묵사집산법의 하자

  • 류인영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63-82
    • /
    • 1999
  • The ways of mathematical meditative concentration of one's attentive calculation are the important records of the mathematics in the Korean mathematical history. Through them, we can find the methods of the mathematical thinking several generations ago, and presume the styles of life in the Chosun dynasty as men see the ancient life by the fossils. Thus we need to see them out of our unconcerns and rearrange them from the disorder without distortions.

  • PDF

묵사집산법(?思集算法)에 수록된 퇴타개적문(堆?開積門)의 현대적 재구성 및 수학교육적 활용 방안 (A Modern Reconstruction of the Problems on the Sums of Sequences in MukSaJipSanBup and its Pedagogical Applications)

  • 양성현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9
    • /
    • 2020
  • Under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mathematics teachers can help students inductively express real life problems related to sequences but have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problems asking the general terms of the sequences defined inductively due to 'Guidelines for Teaching and Learning'. Because most of textbooks mainly deal with the simple calculation for the sums of sequences, students tend to follow them rather than developing their inductive and deductive reasoning through finding patterns in the sequences. In this study, we reconstruct 8 problems to find the sums of sequences in MukSaJipSanBup which is known as one of the oldest mathematics book of Chosun Dynasty, using the terminology and symbols of the current curriculum. Such kind of problems can be given in textbooks and used for teaching and learning. Using problems in mathematical books of Chosun Dynasty with suitable modif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is a good method which not only help students feel the usefulness of mathematics but also learn the cultural value of our traditional mathematics and have the pride for it.

조선(朝鮮) 산학(算學)의 퇴타술 (Finite Series in Chosun Dynasty Mathematics)

  • 홍성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4
    • /
    • 2006
  • 조선 산학의 퇴타술의 역사를 연구한다. 이상혁(李尙爀)$(1810\sim?)$의 익산(翼算)(1868)이 출판되기 전의 역사와 익산(翼算)의 결과로 나누어 연구한다. 경선징(慶善徵)$(1616\sim?)$의 묵사집산법(默思集算法)부터 남병길(南秉吉)$(1820\sim1869)$의 산학정의(算學正義)(1867)까지의 산서를 통하여 익산(翼算) 이전의 퇴타술은 큰 발전을 이루지 못한 것을 조사한다. 이상혁(李尙爀)은 조선(朝鮮) 산학(算學)에서 가장 독창적인 방법을 써서 새로운 결과를 얻어낸다. 그는 퇴타술을 구조적으로 해결하고, 또 새로운 문제인 절적(截積)과 이를 위한 분적법(分積法)을 도입하여 이의 구조도 완전히 밝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