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용 교육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4초

무용지도자의 교육지원이 지도자신뢰 및 무용애착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ance Instructors' Education Support on Instructor' Trust and Dance Attachment)

  • 김정련;김명주;윤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145-154
    • /
    • 2012
  • 이 연구는 무용지도자의 교육지원과 지도자신뢰 및 무용애착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대전 충남지역에 소재한 무용학과 중 한 지역에서 1개교씩 선정하였다. 표본추출방법은 유의표본추출법으로 총 276부의 자료 중 262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 방법은 SPSSWIN 18.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의 통계기법이 활용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지도자의 교육지원은 지도자신뢰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무용지도자의 교육지원은 무용애착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지도자신뢰는 무용애착도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무용지도자의 교육지원은 지도자신뢰를 통해서 무용애착도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무용지도자의 교육지원이 무용애착도에 미치는 영향보다 무용교육지원이 지도자신뢰를 통하면 무용애착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즉 지도자신뢰는 무용교육지원과 무용애착도를 매개하는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다.

무용교육학(Dance Pedagogy)의 학문적 정체성 탐색 : 시계열 관점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Academic Identity of Dance Pedagogy :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Time Series Analysis)

  • 김지영;홍애령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9호
    • /
    • pp.439-450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실행중심 무용교육의 패러다임에 관한 비판적 접근을 바탕으로 무용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한국의 무용교육은 1955년 교육부에서 고시된 제1차 교육과정 이후 학교무용으로서 65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음에도 무용교육학으로서의 학문적 정체성이 견고하지 못하다. 전통적인 무용교육은 실행중심 패러다임에 따라 지나치게 교사중심, 실기기능중심, 연습중심으로 운영되었다. 그러나 최근 학교, 지역사회, 전문 분야에서 무용교육학은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시계열 관점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무용교육연구의 각 구간별 주요 내용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무용교육연구는 5개의 구간으로 구분되었다. 제1구간(1968~1979)은 체육학을 기반으로 한 무용교육의 실천, 제2구간(1980년~1989년)은 초등교육을 위한 창작 기반의 움직임 교육, 제3구간(1990년~1999년)은 교급별 무용교육과정의 체계화, 제4구간(2000년~2009년)은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의 등장, 제5구간(2010년~2019년)은 교육실천과 학제의 다양화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복합학으로서 무용교육학, 학제간 실천 및 연구를 지지할 수 있는 학문적 정체성을 정립할 수 있는 노력이 요청된다.

무용지도자의 유형에 따른 지도자 신뢰도에 관한 논의 (A Discussion on Trust in Leaders by Types of Leaders in Dance Major)

  • 강지혜;안병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9-290
    • /
    • 2018
  • 본 연구는 강지혜의 '고등학교 무용전공 지도자의 지도유형과 지도자 신뢰 및 만족의 관계 연구'를 바탕으로 한 무용지도유형과 지도자 신뢰도의 관계에 대한 논의이다. 기존의 연구는 2010년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무용전공생과 무용지도자의 관계를 논의를 통해 탐색하고 분석함으로써 실기 수업에 있어 무용수행 효율성을 높이고 무용지도자 역할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논의에 따르면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융복합 사회 속에서 교육을 받는 학생들에게 무용지도자의 신뢰를 높이며 교육이 획일적인 지도자 중심의 지도보다는 학생들의 의견을 수용하여야 하는 무용지도자야하며, 학생들에 대한 세심한 배려와 상호작용하는 것은 무용전공생에게 지도자에 대한 신뢰와 무용지도자의 지도효율성과 무용수행도 높아질 수 있음과 동시에 무용지도자의 역할이 강화될 것이다.

  • PDF

계층의사결정법(AHP)을 활용한 학교 무용교육의 평가지표 개발 (The Weights Analysis of Evaluation Areas and Items for the school Dance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AHP)

  • 이지영;김은혜;김지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21-52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무용교육의 교수평가를 위한 영역과 항목을 도출하고, 우선순위별 가중치를 도출하여 평가를 위한 프로토타입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델파이조사와 AHP분석을 실시하였다. 학교무용교육의 평가지표는 주체성, 창의성, 다양성, 관계성의 4개 영역과 총 16개의 항목이 도출되었으며, 영역을 포괄하는 모든 항목의 복합가중치에서는 전반적으로 주체성과 창의성을 중요하게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학교문화예술교육 정책에 의해 최근 변화된 학교무용 교수환경에서 종래의 기법중심 무용수업과는 전혀 다른 학교무용의 교수전략을 요구하고 있으며, 실제적인 교수전략과 특성이 반영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 PDF

문제중심학습(PBL)기반의 무용교육 모델 개발에 관한 실행연구 (An Implementation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 of PBL: Centered on Dance Education Program)

  • 하영미;이지영;홍애령;김지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31-53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인문학적 소양(liberal arts knowledge)과 연계한 무용교육의 전문적인 교수지식과 실행방법, 교육의 실천적 의미를 담는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PBL(Problem-Based Learning)을 적용한 역사콘텐츠와 문화재를 활용한 주제 중심의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역사의 맥락을 접목한 12차시의 무용프로그램 개발, 내러티브 사고와 표현을 이끄는 교수 방법,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한 교육실행 모델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무용수 직업 능력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Study on Comparative Recognition Regarding Professional Dancers' Abilities)

  • 김이경;이재정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9-300
    • /
    • 2016
  • 청년실업 문제가 심각한 현대에 특히 무용부분의 사회진출과 취업은 매우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각 대학과 정부차원에서 대학 평가 등을 통해 취업을 장려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예능계의 특수한 상황으로 전문적이지만 취업을 하기 위한 발판이나 환경에는 제도적, 환경적인 문제들이 있음을 문제 의식화하여 본 연구는 무용수 직업능력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무용 교수자, 학습자, 전문무용수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40명씩 총 120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업 관련 인식도와 직업 관련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8.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빈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취업 어려움에 대한 체감도가 교육가와 무용수는 높았으나 예비무용수들은 낮게 나타났다. 교육가들과 무용수들은 취업을 위해 전공 능력을 발휘하여야 하며, 인턴십 제도의 정착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예비무용수들은 무용 외에도 다양한 능력 개발의 필요성을 느낀다고 응답하였다.

  • PDF

문화예술교육에서 무용교육의 위치와 기능 (Position and function of dance education i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 황정옥
    • 공연문화연구
    • /
    • 제36호
    • /
    • pp.531-551
    • /
    • 2018
  • 삶의 윤리적 과제가 짙어지고 있는 동시대에 문화예술교육과 무용이 추구하는 교육적 특질은 삶의 성찰을 위한 경험이다. 삶을 위한 예술로서 미적 경험이 일상의 영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것이다. 무용교육은 문화예술교육 정책 등장과 맞물려 일반인들을 위한 교육으로 확산되었고 다양한 교육적 예술적 실험과 도전이 진행되고 있다. 그렇기에 오늘날 문화예술교육과 무용의 지향점이 어떤 관계 속에서 구성되고 있는지 그리고 문화예술교육 정책영역에서 무용교육은 어떤 모습으로 묘사될 수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의제로서 공동체에 필요한 내용으로 제시되는 정책은 사회적 기능이 강화될 수밖에 없는 특성이 있다. 그리고 때로는 정책에서 추구하는 필요에 의해 교육내용으로 담겨지는 무용의 역할이 규정되기도 한다. 필요와 실행의 방식에 따라 각기 다른 방향으로 엮이며 무용은 단위사업 목표를 이끌 수 있는 역할로 제시되기도 하는 것이다.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점차 더 다양한 대상으로, 전 생애를 주기로, 일상(생활문화)으로 방향성이 확장되고 있는 현재, 무용은 특정한 무용 형태와 형식으로, 개인의 자기표현을 위한 방법으로, 혹은 사회적 문제 해결과 예방을 위한 전략으로 실천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관계에서 무용의 가능성, 즉 문화예술교육 내에서의 범위와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무용교육의 기능을 탐색하고자 한 본 연구는 개념적 접근을 시작으로 정책 현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무용교육의 내용과 방법의 범위를 사업단위를 기준으로 탐색함으로써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에서의 무용교육의 지형을 살펴보는데 의의가 있다.

대학 무용전공자를 위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 도출 (A Study on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Capacity-Based Curriculum for the University Dance Major)

  • 김지영;박정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263-264
    • /
    • 2019
  • 이 연구는 대학 무용전공자를 위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창의융합형 인재를 요구하는 시대적 요청을 반영하여, 무용전공자들의 미래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진로개발과 교과영역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무용전공자들이 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도전하고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대학 교육의 체질개선을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 PDF

국내·외 대학 뮤지컬과 무용교육과정 비교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n Domestic/Foreign College Musicals and Dance Curriculums)

  • 배혜령;신종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375-38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뮤지컬관련학과의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보완점이 무엇인지 제시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교과과정의 차이를 비교하기기 위하여 4년제와 2~3년제 국내 대학의 뮤지컬관련학과와 국외로는 미국의 뮤지컬관련 학교 5개교, 프랑스 5개교를 선정하여 무용교육과정 수업실태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뮤지컬 발전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개편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첫째, 뮤지컬 현장에 맞는 체계적인 무용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둘째, 다양화된 뮤지컬의 표현에 맞는 무용테크닉 수업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특성화된 뮤지컬무용교과 교수법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현장과 연계된 효율적인 교육방안이 필요하다. 뮤지컬을 공부하는 학생들은 연기, 노래, 무용을 동시에 수행해야하는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이들 중 한 분야를 습득하기에도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독창적인 한국스타일의 뮤지컬이라는 숙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에서의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무용전공자를 위한 고등교육 진로개입 실태분석 (An Analysis on the Status of Dance Career Intervention for Dance Major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 김은혜;김지영;김형남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71-47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무용전공자를 위한 진로개입 실태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 분석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학무용전공자를 위한 진로개입은 외형적으로 확대된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체계적인 진로개입을 위한 접근 방안은 제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대학 무용전공자를 위한 진로개입 발전 방안으로 무용직업군 직업표준체계, 진로흥미검사지, 진로교육 콘텐츠를 도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