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ition and function of dance education i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문화예술교육에서 무용교육의 위치와 기능

  • Received : 2018.01.10
  • Accepted : 2018.02.05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e educational trait that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nd dance strive for at a time when the ethical tasks of life is the experience for insight of life. The awareness of time entrusted with the intensity [depth] of artistic and aesthetic experience is to contain its implication with policy and system. In the policy territory, broad perception and strategy are combined and practiced to produce new implication. Therefore, on the basis of characteristics and spectrum persuaded at a time when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nd dance education are broadly expanded, the result of this study after taking a look at the role of dance education within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is shown as follows. The value striving for by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dance education is to structure the life form with the artistic experience through the art as the ultimate life description.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 artistic trait structured with self-understanding and self-expression contains the directivity of life that is recorded and depicted in the process of life. The dance education in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has the trait to view the world with the dance structure as the comprehensive study as in other textbook or art genre under the awareness of time and education system category within the school system and it has diverse social issues combined as related to the frame of social growth and advancement outside of school. When taking a look at the practical characteristics (method) of dance based on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business, it facilitates the practice strategy through dance, in dance, about dance, between dance with the artist for art [dance]. At this time, the approachability of dance is deployed in a program based on diverse artistry for technology, expression, understanding, symbolism and others and it has the participation of enjoyment and preference. In the policy project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dance education works as the function of education project as an alternative model on the education system and it also sometimes works as the function for social improvement and development to promote the community awareness and cultural transformation through the involvement and intervention of social issues.

삶의 윤리적 과제가 짙어지고 있는 동시대에 문화예술교육과 무용이 추구하는 교육적 특질은 삶의 성찰을 위한 경험이다. 삶을 위한 예술로서 미적 경험이 일상의 영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것이다. 무용교육은 문화예술교육 정책 등장과 맞물려 일반인들을 위한 교육으로 확산되었고 다양한 교육적 예술적 실험과 도전이 진행되고 있다. 그렇기에 오늘날 문화예술교육과 무용의 지향점이 어떤 관계 속에서 구성되고 있는지 그리고 문화예술교육 정책영역에서 무용교육은 어떤 모습으로 묘사될 수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의제로서 공동체에 필요한 내용으로 제시되는 정책은 사회적 기능이 강화될 수밖에 없는 특성이 있다. 그리고 때로는 정책에서 추구하는 필요에 의해 교육내용으로 담겨지는 무용의 역할이 규정되기도 한다. 필요와 실행의 방식에 따라 각기 다른 방향으로 엮이며 무용은 단위사업 목표를 이끌 수 있는 역할로 제시되기도 하는 것이다.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점차 더 다양한 대상으로, 전 생애를 주기로, 일상(생활문화)으로 방향성이 확장되고 있는 현재, 무용은 특정한 무용 형태와 형식으로, 개인의 자기표현을 위한 방법으로, 혹은 사회적 문제 해결과 예방을 위한 전략으로 실천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관계에서 무용의 가능성, 즉 문화예술교육 내에서의 범위와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무용교육의 기능을 탐색하고자 한 본 연구는 개념적 접근을 시작으로 정책 현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무용교육의 내용과 방법의 범위를 사업단위를 기준으로 탐색함으로써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에서의 무용교육의 지형을 살펴보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