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릎 통증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4초

농작업자들의 무릎통증 유소견율 및 그의 위험인자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Knee Pain among Farm Workers)

  • 김동현;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221-1227
    • /
    • 2013
  • 본 연구는 농작업자들에 대한 무릎통증의 유소견률을 알아보고 그의 위험요인을 밝혀 낼 목적으로 2012년 2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충남 금산군 2개면에서 농업에 종사하고 있는 주민 306명을 대상으로 무릎통증의 유무, 성, 연령, 신장, 체중, 농작업 종류 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무릎통증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많이 나타났고, 남녀 모두 연령증가는 무릎통증의 커다란 위험요인이었으며, 60대 이상에서는 절반 이상에서 무릎통증을 호소하였다. 특히 여성의 경우 신장이 클수록, 체중이 무거울수록 무릎통증이 많았으나, 남성에서는 이 같은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위와 같이 고령자에서는 절반 이상이 무릎통증에 시달리고 있었으며, 무릎통증의 위험인자로서 여성, 연령증가 및 체중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무릎통증 예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자가 테이핑요법이 노인의 무릎통증과 신체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lf Taping Therapy on Knee Pain and Physical Functions in Older Adult)

  • 이종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33-39
    • /
    • 2018
  • 본 연구는 자가 테이핑 요법이 노인의 무릎통증과 신체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무릎통증이 있는 노인 69명(실험군 33명, 대조군 36명)이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카이제곱검증과 t-test로 분석하였다. 69명의 연구대상자에게 무릎통증과 신체기능을 측정한 후 실험군을 대상으로 무릎테이핑 방법에 대한 사항을 교육한 후 1일 1회 교체방식으로 일주일 동안 스스로 무릎에 테이핑을 적용한 결과 실험군의 무릎통증이 감소되고 신체기능의 어려움이 감소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자가 테이핑 요법이 노인의 무릎통증 감소와 신체기능의 어려움 감소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므로, 무릎통증이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 사용된 자가 테이핑 요법을 교육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 대상은 80세 미만의 노인이었으므로 초기, 중기, 후기 등 다양한 연령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연령별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테이핑요법이 여성노인의 무릎통증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aping Therapy on Knee Pain and Depression in Older Adult Women)

  • 이종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619-624
    • /
    • 2017
  • 본 연구는 테이핑 요법이 여성 노인의 무릎통증과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노인 복지회관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으로, 무릎통증이 있으며, 본 연구 참여를 허락하고 동의한 63명(실험군 31명, 대조군 32명)의 여성노인들이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카이제곱검증 및 t-test로 분석하였다. 실험군 31명, 대조군 32명의 연구대상 여성노인에게 무릎통증과 우울 정도를 측정한 후 무릎을 둥그렇게 감싸는 단순한 방법의 테이핑 요법을 일주일에 3회씩 2주 동안 실험군에게 적용한 결과 실험군의 무릎통증과 우울감이 유의하게 감소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테이핑 요법이 여성노인의 무릎통증 감소와 우울정도 완화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므로, 본 연구에 사용된 테이핑 요법을 효율적인 간호중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무릎에 적용하는 테이핑 요법은 간단한 방법이므로 무릎통증이 있는 지역사회 노인들을 대상으로 자가 간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슬관절 밸런스 테이핑 요법이 노인의 무릎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Knee Balance Taping Therapy on Knee Pain and Range of Motion in the Elderly)

  • 김두미;김보경;권오윤;박경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213-22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밸런스 테이핑 요법이 노인의 무릎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로 자료수집은 2014년 12월 5일부터 10일까지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노인여가복지시설을 이용하며 무릎 통증이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n=21)에게는 슬관절 밸런스 테이핑을 적용하였고, 대조군(n=19)에게는 테이핑 적용을 하지 않았다. 두 군의 무릎 통증 및 관절가동범위를 중재 전, 중재 1시간 후, 중재 24시간 후에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chi}^2$ 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test, t-test,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조군에 비해 슬관절 밸런스 테이핑 요법을 받은 실험군에서 무릎 통증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F=34.03, p<.001), 무릎 관절가동범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7.83, p=.006). 본 연구를 통해 슬관절 밸런스 테이핑 요법이 노인의 무릎 통증에 적용 가능한 독자적인 간호중재임을 확인하였다.

무릎넙다리통증증후군 환자에서 무릎관절 각도별 스쿼트 융합운동이 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에 미치는 효과 (A Effect of the Squat Convergence Exercise Among Knee Joint Angle on Quadricpes Strength in the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 조상희;이수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43-5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넙다리네갈래근 중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강화를 위해 효과적인 스쿼트 운동자세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무릎넙다리통증증후군이 있는 20명의 환자로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대상자들은 무릎관절 굽힘 각도 $45^{\circ}$, $60^{\circ}$, $90^{\circ}$ 자세에서 정적인 스쿼트 융합운동을 30초 동안 총 5회 실시하였다. 측정변수는 넙다리네갈래근의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력(MVIC), 넙다리네갈래근 각(Q 각)과 넙다리 둘레이며, 무릎관절 자세에 따라 스쿼트 운동 전후로 측정되었으며 그 변화률을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넙다리네갈래근의 무릎관절 각도별 MVIC 변화율은 $90^{\circ}$ 무릎관절 굽힘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5), Q 각과 넙다리 둘레의 변화율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따라서 무릎통증증후군 환자의 넙다리네갈래근의 강화를 위해서 무릎관절 $90^{\circ}$ 굽힘된 스쿼트 자세가 효과적임을 제시한다.

무릎 과간와(Intercondyloid fossa) 촬영용 평면 Cone의 유용성에 대한 고찰 (Contemplation on Usefulness of Plane Cone for Taking Image of Intercondyloid Fossa)

  • 신운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501-508
    • /
    • 2015
  • 무릎 과간와 X선 촬영법은 Holmblad법, Camp-Coventry법, Beclere법의 다양한 방법들이 임상에서 시행되고 있다. 무릎관절의 과간와 촬영은 단순 골절과 십자인대와 관련한 진단에 기본검사로 많이 시행되고 있으며 환자의 상태와 통증을 고려하여 안전한 방법을 선택하게 되는데, Holmblad법은 카세트에 밀착되는 무릎 부위에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쉽게 사용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체 제작한 평면 원형 cone을 카세트에 부착하여 Holmblad법 자세에서 통증 경감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100명의 자원자의 설문지를 비교 분석하였고, 산란선에 의한 영상화질의 농도는 인체 팬텀을 X선으로 촬영하여 농도계로 측정 하였다. 그 결과 Holmblad법 자세에서 통증에 대한 인식은 평균 99% 경감되었으며, 팬텀을 이용하여 촬영한 X선 필름에 대한 농도는 자체 제작한 평면 원형 cone을 사용하지 않은 카세트에 비교하여 산란선에 의한 농도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어 임상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앉은 자세에서 일어날 때 비탄력 테이핑을 이용한 무릎뼈의 아래 안쪽 활주가 안쪽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feromedial gliding of patella using non-eleastic taping on muscle activity of vastus medialis and vastus lateralis during sit to stand)

  • 윤상혁;강종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39-4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앉은 자세에서 일어날 때 비탄력 테이핑을 이용한 무릎뼈의 안쪽 활주와 아래 안쪽 활주가 안쪽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 비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측정 결과, 안쪽 활주와 비교하여 아래 안쪽 활주를 적용했을 때 안쪽넓은근의 근활성도가 전체 근활성도 대비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릎뼈의 안쪽 활주보다 아래 안쪽 활주가 무릎관절의 안정성에 더 큰 기여를 하며, 특히 무릎넙다리 통증증후군의 증상 완화 및 예방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관련하여 무릎뼈를 아래 안쪽 방향으로 활주 시킬 수 있는 보조기 및 운동복 등의 개발은 무릎관절의 건강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무릎손상 엘리트 배구선수에 관절가동운동이 무릎통증, 등속성 근력, 근긴장도, 근경직 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joint mobilization on improvement of knee pain, isokinetic strength, muscle tone, muscle stiffness in an elite volleyball player with knee injury)

  • 왕중산;안호정;김용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326-333
    • /
    • 2016
  • 본 연구는 무릎손상 엘리트 배구선수에 관절가동운동이 무릎통증, 등속성근력, 근긴장도, 근경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사례연구이다. 사례자는 왼쪽 무릎관절에 연골결손과 수술경험이 있고 평소 지속적인 통증과 운동 시 통증을 호소하였다. 연구기간은 2015년 8월 5일부터 12월 24일이며, 왼쪽 무릎관절에 관절가동술을 1일 1회 15분씩 총 8회 적용하였다. 연구의 측정은 시각적사상척도를 이용하여 무릎통증, 등속성 근력측정장비를 사용하여 넙다리네갈래근과 넙다리뒤근육 동심성 최대회전력, 근긴장도측정장비를 사용하여 손상쪽에 넙다리곧은근, 안쪽넓은근, 가쪽넓은근의 근긴장도와 근경직을 중재 전과 중재 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단기간 관절가동운동이 손상 쪽 무릎통증 감소, 양쪽 넙다리네갈래근과 넙다리뒤근육 동심성 최대회전력의 증가, 손상 쪽 넙다리네갈래근의 근경직 증가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특히 손상 쪽 넙다리네갈래근의 경우 관절가동운동 횟수가 증가할수록 동심성 최대회전력이 크게 증가되어 손상 쪽과 정상 쪽 다리의 동심성 최대회전력의 차이가 크게 감소되었다. 하지만 손상 쪽 넙다리뒤근육/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 비율의 개선에는 효과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엘리트 배구선수에 무릎통증, 등속성 근력, 근경직 개선을 위해 단기간에 관절가동운동이 효과적인 중재방법이 될 수 있지만 적절한 근력비율을 위해 트레이닝을 함께 실시할 필요가 있겠다.

노인의 무릎관절 통증과 부종 감소에 대한 미네랄 테이핑과 표준 키네시오 테이핑의 효과 비교 (The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Mineral Taping and Standard Kinesio Taping on Reduces Pain and Edema in Knee Joints)

  • 고결;문상호;배상덕;김정란;권병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311-31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천연광물질 분말로 나염 처리된 미네랄 테이핑이 노인의 무릎관절 통증 및 부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무릎 통증이 있는 40명의 노인을 미네랄 테이핑군 20명과 키네시오 테이핑군 20명으로 나누어 단일맹검 방식으로 무작위 배치하였다. 연구 기간은 2020년 4월 6일~2020년 4월 7까지 실시하였으며, 테이핑 부착 전과 후 그리고 1일 후에 시점 별 통증과 혈류를 조사하였다. 무릎 통증은 측정 시점별로 사후검사(F= 93.758, p<.001)와 1일 후 검사(F=93.758, 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부종에 대한 혈류검사에서는 측정 시점별로 사후검사(F= 48.648, p<0.001)와 1일 후 검사(F=35,427, p<0.001)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각 군별 효과 검정결과(F=0.160, p>0.05)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일 후 유지효과를 비교했을 때 키네시오 테이핑 군보다 미네랄 테이핑 군이 사후점수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테이핑 부착 시간과 유지 기간을 늘리면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 추측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테이핑 소재 연구에 기여하리라 사료 된다.

슬링을 이용한 능동 운동프로그램이 무릎 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통증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ctive Exercise Program using Sling on the Pain and Balance Following Total Knee Replacement)

  • 류제주;정범철;유경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74-183
    • /
    • 2022
  • 본 연구는 슬링을 이용한 능동 운동프로그램이 무릎 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통증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무릎 관절 전치환술을 받고 입원 중인 환자 20명이며, 수술 후에 CPM (Continuous passive motion) 만을 적용하는 집단 (CPM group; CG)과 CPM과 슬링을 이용한 능동 운동프로그램을 병행하는 집단 (CPM with active exercise program using sling group; CSG)으로 10명씩 무작위로 배치되었다. CG는 CPM을 주 5일, CSG는 CPM을 주 2일, 슬링을 이용한 능동 운동프로그램을 주 3일 실시하였고, 각 중재는 하루 40분씩 총 4주간 실시하였다. 통증은 VAS(Visual analog scale)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균형은 BT4 (Balance training 4)를 이용하여 C90 area, Trace length, Sway average velocity를 눈을 뜬 상태와 감은 상태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모두 통증에서 집단 내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집단 간의 변화량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균형에서 CG의 C90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중재 후 유의한 변화가 있었으며, 집단 간 변화량에서는 눈을 감은 상태의 C90과 Vel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CPM과 슬링을 이용한 능동 운동프로그램을 함께 시행하는 것은 무릎 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통증 감소와 균형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