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형구조

Search Result 6,569, Processing Time 0.04 seconds

Hybrid Modelling of Soil-Structure System on Viscoelastic Soil Medium (복합모형을 이용한 점탄성지반의 지반-구조물 상관관계)

  • Hong, Kyu Seon;Yun, Chung Ba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6 no.1
    • /
    • pp.35-41
    • /
    • 1986
  • A hybrid modelling technique of a soil-structure system on viscoelastic soil medium is studied in this paper. The hybrid model consists of a near-field and a far-field with their common interface passing through the soil region at some distance from the base of the structure. It makes use of frequency-dependent impedances so as to represent the semi-infinite far-field. The far-field impedances are formulate including the radiation damping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viscoelastic properties of the soil medium. The verification of the method has been carried out using a rigid circular plate on a viscoelastic half-space. The impedances obtained by the method are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values. Example analyses have been performed for a tall chimney and the results have been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by other methods which are frequently used.

  • PDF

Seismic Damage Assessment and Nonlinear Structural Identification Using Measured Seismic Responses (실측 지진응답을 이용한 지진손상도 평가 및 소성모형 추정)

  • 이형진;김남식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6 no.6
    • /
    • pp.7-15
    • /
    • 2002
  • In this paper, the nonlinear parameter estimation method using the estimated hysteresis of each structural members was studied for the purpose of efficient seismic damage prediction and estimation of MDOF nonlinear structural model in the shaking table test. The hysteresis of each structural members can be obtained by the conversion of measured response histories into relative motions of each structural members and member forces. These hysteresis can be used to evaluate various kinds of damage indices of each structural members. The MDOF nonlinear structural model for further analysis(re-analysis) can be easily reconstructed using estimated nonlinear structural parameters of each structural members. To demonstrate the proposed techniques, several numerical and experimental example analyses are carried ou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very useful to assess local seismic damages of structures.

A Study on Unsteady Free Surface Flow Simulation Using Two-Dimensional Finite Volume Method (2차원 유한체적법을 이용한 비정상상태 자유수면 모의에 관한 연구)

  • Jeong, Woo-Chang;Hwang, Ma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664-66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비정상상태 자유수면 모의를 위해 2차원 유한체적법을 이용한 수치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이론적인 해석해 및 수리실험을 통한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지배방정식으로 비선형 및 보존형 2차원 천수방정식(shallow water equation)을 이용하였으며, 동적메모리 할당 기능이 포함된 Fortran-90으로 코딩되었다. 또한 구조화된 격자 및 비구조화 격자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모형을 구성하였으며, 불규칙한 하상지형에 의해 수치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본 모형에 well-balanced HLLC 기법을 적용하였다.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1차원의 경우 젖은/마른 하상 조건하에서의 댐 붕괴파 문제와 하상이 변화하는 지형 구간을 통과할 때 발생되는 천이류에 대한 문제 그리고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수위와 지형 조건에서의 wetting & drying에 대한 문제에 적용하였으며, 2차원의 경우 전통적인 댐 붕괴파 문제 및 구조물에 미치는 댐 붕괴파의 영향에 대한 수리모형실험을 통한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본 모형을 통해 계산된 수치해는 이론적인 해석해와 실측자료에 거의 정확히 일치하였으며, 향후 실제 하천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의 현장 적용성을 검증할 것이다.

  • PDF

A Numeric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Flood Wave Passing through Urban Areas (1) :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 Numerical Model (도시지역을 관통하는 홍수파의 특성에 관한 수치적 연구 (1) : 수치모형의 개발 및 검증)

  • Jeong, Woo-Chang;Lee, Jin-Woo;Cho, Yong-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9 no.6
    • /
    • pp.89-97
    • /
    • 2009
  • In this study, a two-dimensional unstructured finite volume model based on the shallow-water equations and well-balanced HLLC scheme is developed. The model is verified by applying to various one- and two-dimensional problems related to the analyses of dam-break wave. The predicted numerical results agree very well with available analytical solutions and laboratory measurements. The model provides slightly more accurate results compared with the existing models.

Electronic structures of Na adsorbed 6H-SiC(0001) $\sqrt{3}$$\times$$\sqrt{3}$ and 3$\times$3 surfaces

  • 조은상;임규욱;황찬국;김용기;이철환;박종윤;임규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00.02a
    • /
    • pp.144-144
    • /
    • 2000
  • 이전에 수행된 연구에서 표면에 수직하게 dangling bond를 가지는 adatom으로 장식된 6H-SiC(0001) {{{{ SQRT { 3} }}}}$\times${{{{ SQRT { 3} }}}} 표면은 단일 전자 모형으로는 설명되어지지 않는 반도체적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어졌다. 최근의 많은 이론적, 실험적 결과는 이 표면이 Mott-Hubbard 모형으로 설명되어질 수 있음이 보고되어졌다. 이 표면에서 Si이 좀 더 풍부한 3$\times$3 표면의 여러 모형들에 대해 이론적, 실험적 연구는 Energy적으로 E-J 모형이 가장 안정하다고 보고하였다. E-J모형은 표면에 수직인 dagling bond를 가지며 6H-SiC(0001) {{{{ SQRT { 3} }}}}$\times${{{{ SQRT { 3} }}}} 표면에 비해 1/3배의 밀도를 지닌다. 또한 최근의 연구에서 3$\times$3 표면 또한 단일 전자모형은 이 표면의 반도체적 성질에 위배되며 Mott-Hubbard 모형으로 설명되어질수 있음이 보고되어졌다. 이러한 표면 위에 알칼리금속인 Na을 흡착시키면서 일함수의 변화와 Valence Band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XPS를 이용하여 Na이 흡착되면서 발생되는 Si과 C의 내각준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6-SiC(0001) {{{{ SQRT { 3} }}}}$\times${{{{ SQRT { 3} }}}} 과 3$\times$3 표면 구조 모델을 Na을 흡착한 6H-SiC(0001) {{{{ SQRT { 3} }}}}$\times${{{{ SQRT { 3} }}}} 과 3$\times$3 표면으로부터 측정한 UPS, XPS data들로부터 지금까지 제기되어 있는 각 재배열 구조 모형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 PDF

Analysis of the suitability of optimization methods for parameter estimation of stochastic rainfall model. (추계학적 강우모형의 모수 추정을 위한 최적화 기법의 적합성 분석)

  • Cho, Hyungon;Kim, Gwang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27-327
    • /
    • 2018
  • 돌발홍수, 집중호우 등 강우가 발생 원인되는 자연재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강우의 시공간 변동성과 발생과정의 복잡한 물리과정으로 인해 강우 추정에 한계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강우 추정은 물리적, 추계학적 모형을 이용하며 추계학적 모형의 점과정(point process)을 이용하여 강우를 생산한다. 추계학적 강우 모형은 관측 강우의 시간 스케일, 강우발생 빈도, 강우 강도 등 강우 구조의 특성을 반영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생산되는 강우의 구조가 추정되는 매개변수에 크게 의존한다는 점에서 실제 강우에 적합한 매개변수 추정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내에 있는 20개의 강우관측 지점을 대상으로 1973년-2017년까지의 강우 관측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추계학적 강우생성 모형으로 점과정을 이용하는 추계학적 강우생성 모형인 NSRPM(Neymann-Scott rectangular pulse model)을 선정하였다. NSRPM모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기위한 최적기법으로 DFP(Davidon-Fletcher-Powell), GA(genetic algorithm), Nelder-Mead, DE(differential evolution)를 이용하여 추정된 매개변수의 적합성을 분석하고 지역특성을 고려한 매개변수 추정 기법을 제시하였다. 추정된 모형의 매개변수를 분석한 결과 DE와 Nelder-Mead 기법이 높은 적합성을 보였으며 DFP, GA기법이 상대적으로 낮은 적합도를 보였다.

  • PDF

Efficient Seismic Analysis of High-Rise Shear Wall Building Structures considering the Flexural Stiffness of Floor Slabs (바닥판의 휨강성을 고려한 전단벽식 건물의 효율적인 지진해석)

  • 김현수;이동근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4 no.2
    • /
    • pp.193-202
    • /
    • 2001
  • 현재 국내에서는 아파트 건물을 짓는데 벽과 바닥판으로만 이루어진 벽식 구조형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고층 아파트건물을 해석하기 위해서 ETABS나 MIDAS/BDS 같은 상용프로그램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ETABS는 해석상의 편의를 위하여 바다판을 강막으로 가정하여 모형화 하고 바닥판의 휨강성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가정은 프레임 구조물을 해석할 때에는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벽식 구조물은 바닥판의 휨강성이 전체 구조물의 횡방향 강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바닥판의 휨강성을 고려하지 않으면 전체 구조물의 강성을 과소평가하게 된다. 따라서 바닥판을 판요소로 세분하여 모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때 많은 양의 해석 시간과 컴퓨터 메모리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분구조법과 행렬응축기법을 사용하여 해석 시간과 컴퓨터 메모리의 사용을 줄이면서도 바닥판의 휨강성을 효율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해석 기법을 제안하였고 예제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 PDF

Analyzing Impacts of Telecommunications on Travel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통신이 통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 Chu, Sang-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4 no.3 s.89
    • /
    • pp.157-16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lecommunications impacts on travel in a comprehensive system, considering demand, supply, costs, and land use. This study first Presents a conceptual model, considering causal relationships among travel, telecommunications, land use, economic activity, and socio-demographics. Then, based on the conceptual model, the aggregat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elecommunications (local telephone calls, toll calls, and mobile phone subscribers) and travel (vehicle-miles traveled and number of transit Passengers) are explored in a comprehensive framework,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national time series data spanning 1950-2000 in the U.S. The model results suggest that as telecommunications demand increases, travel demand increases, and vice versa. Additionally.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nd land use significantly affect travel demand.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Software Reuse Framework using Behavior Patterns (행위패턴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재사용 프레임워크 구축방법)

  • Lee, Gi-O;Ryu, Seong-Yeol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6 no.8
    • /
    • pp.2088-2097
    • /
    • 1999
  • We propose the software framework construction method that increases reusability through use case extraction and structuring of software system's dynamic behavior of which identifying behavior patterns from software domain models. Most behavior models do not provide a consistent modeling technique for harmonizing user's heterogeneous requirements, and not yet prepared to a detailed optimizing technique for redevelopment and maintenance. Therefore, we need a software reuse framework to support consistency and reusability of existing development models using use cases with functional characteristics. a lattice model is used to this approach for structuring use cases, and the reuse process that can be driven to reusable components is introduced in this paper,.

  • PDF

The Estimation of Annual Runoff using Rainfall-Runoff Model in Korea (강우-유출 모형에 의한 전국 연평균유출량 산정)

  • Kang, Shin-Uk;Lee, Gwang-Man;Lee, Do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610-613
    • /
    • 2005
  • 국가 수자원계획을 위해 필요한 방대한 자료 중 하나인 강수에 의한 각 유역별 유출량 산정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과거 수자원계획에서는 비유량법을 사용하여 각 유역의 유출량을 산정하여 왔다. 하지만 갈수기, 홍수기에 많은 불확실성이 내재되어 있음이 많은 연구에 의해 보고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 4단 탱크모형의 이후에 만들어진 토양수분 저류구조를 가진 탱크모형을 사용하고 개념적 융설모형을 사용하여 전국의 자연 유출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연구에 사용한 소유역단위는 수자원단위지도의 중권역 117개이다. 매개변수의 추정에 사용된 지점은 다목적댐, 용수전용댐, 신뢰성 있는 수위관측소 상류유역 등 총 24개 지점이며, 매개변수 추정에 사용한 최적화 방법은 신뢰성이 검증된 SCE-UA 전역최적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추정된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각 권역별 연평균 유출량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