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메이크업 교육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184초

메이크업 분야별 특성을 반영한 교육 방향성 연구 (Orientation of Makeup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Makeup Sector)

  • 오서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41-350
    • /
    • 2021
  • 본 연구는 메이크업 분야별 특성을 고려한 메이크업 교육 방향성에 초점을 두었다. 우선, 메이크업 교육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메이크업의 학문적 범주와 속성을 분석하였다. 유사한 메이크업 기술이 필요한 실무 분야를 5가지로 구분하여 각 특성과 핵심자질을 분석하였고,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통해 그 연구결과를 검증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메이크업의 학문적 범주는 예술, 기술, 디자인, 보건, 과학, 의학 인문학 등과 관련되어 있다. 5가지 분야에 대한 분석은 대개 실무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지만, 무대 공연과 패션쇼 분야의 핵심자질은 많은 차이가 있었다. 공통적으로 가장 중요한 핵심자질은 기본 뷰티 메이크업, 기본 무대 분장, 기본 영상 분장 기술이었으며 특히, 헤어스타일링 기술에 대한 요구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언택트(untact) 시대의 유튜브 활용 교육에 관한 연구 -메이크업 국가자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Youtube-Using Education In the Untact Period -A Focus On The National Makeup Certification)

  • 신유진;김금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81-86
    • /
    • 2020
  •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같은 언택트(untact) 시대에 유튜브 교육 증가로 활성화되고 있는 메이크업 국가자격 교육 유튜브에 관해 연구하기 위하여 메이크업 국가자격 교육 유튜브에 관한 인식, 특성, 선택 기준, 지속 및 추천 의사, 및 보완점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인식은 매우 긍정적(75.5%)이었으며 특성은 정보성(M=3.54), 장점은 재생속도 조절(M=4.07), 단점은 피드백의 한계(M=3.64), 선택 기준은 전문성(44.5%), 향후 지속 의사 82.0%, 추천 의사 8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완점은 위생교육 추가((M=4.20), 최신 규정 업데이트(M=4.13), 피드백(M=4.07) 등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이러한 요구 사항과 피드백이 가능한 쌍방향 교육 시스템이 보완된다면 메이크업 발전을 위한 유용한 교육자료로 더욱더 활성화되리라 사료된다.

코로나19로 인한 마스크 착용과 메이크업만족도, 목표지향적 태도의 상관관계 (Correlation among Wearing Masks Because of COVID-19, Makeup Satisfaction and Goal-oriented Attitude)

  • 김수영;리순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56-165
    • /
    • 2020
  • 국내 성인 여성 33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마스크 착용 이전/이후 메이크업 정도와 메이크업 만족도의 상관관계, 여기에 작용하는 메이크업에 대한 의무적/자발적 목표지향적 태도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코로나19 이전 메이크업 만족도에 유의한 변수는 립메이크업(p<.001)이었고 코로나19 이후 유의한 변수는 아이브로우메이크업(p<.002)이었다. 코로나19 이전/이후 메이크업 정도와 메이크업 만족도 사이에 작용하는 의무적 목표지향적 태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발적 목표지향적 태도의 조절효과는 코로나19 이전(p<.000)과 이후(p<.000) 모두 유의했다. 코로나19 이전/이후 메이크업 정도 차이는 코로나19 이후 메이크업 정도가 이전보다 낮은 것(p<.000)으로 나타나, 메이크업이 스스로의 만족을 위한 것이라고 믿는다면 메이크업 정도가 만족도에 유의하지만 실제 행동은 마스크 착용 이후 메이크업 정도가 줄었다. 이상의 내용이 미용·화장품 업계의 마케팅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미용사(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인식과 현장활용성 및 만족도 연구 (The Research of Educational Recognition, Field Usability and Satisfaction for The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 of Cosmetologist (Make-up))

  • 최영심;김민경;리순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302-312
    • /
    • 2019
  • 본 연구는 미용사(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 응시 경험자 및 취득자 220명을 대상으로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인식 하위요인(필요성, 효용성, 가치, 비용, 적절성)이 현장활용성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각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메이크업자격증 실기 과정 중 활용도 높은 종목은 뷰티메이크업으로 선택하였다. 자격증 교육인식에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고 비용, 연간 시험 횟수에 대한 인식이 낮게 나타나 개선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현장활용성에서 뷰티메이크업 활용을 높게 인식하였고 자격증 취득에 대해서 높게 만족하였으며 급여에 대해서는 낮게 인식되었다. 국가기술자격증 교육인식 하위요인 중 필요성, 비용, 적절성이 현장활용성과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그 중 적절성이 현장활용성에, 비용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메이크업 자격증 분야의 세분화 및 전문화와 취득을 위한 비용 절감 및 활용성이 높은 이론 및 테크닉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통합예술을 토대로 조형원리를 적용한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분석 (Analysis of Art Makeup Design Applying Formative Principles based on lntegrated Art)

  • 안나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901-907
    • /
    • 2024
  • 아름다워지고자 하는 욕구는 자연스럽게 미적으로 관심이 중시되고 그에 따라 뷰티산업도 크게 성장하고 있다. 그 중 아트메이크업은 색채와 표현을 중심으로 고정된 틀에서 벗어나 독창적이고 실험성이 있는 예술분야로 뷰티영역에서 발전하고 있다. 아트메이크업은 조형원리에 따라 통합예술을 토대로 한 패션, 건축, 미술 등을 모티브로 디자인 발상을 통해 조형원리를 적용한 아트메이크업에 대한 새로운 예술적인 형태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다. 조형원리를 균형, 통일, 강조, 리듬으로 분류하여 그의 적용된 통합예술을 토대로 한 실질적 사례를 조경, 건축, 화훼, 회화, 패션, 인테리어로 구분하여 알아보고, 조형원리를 적용한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분석하였다. 이에 아트메이크업 분야에서 조형원리를 적용한 메이크업 디자인 형태가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와 창의적 영역으로의 확대모색과 아트메이크업 발전에 학문적으로 이론적 토대와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 새로운 디자인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뷰티아카데미 교육생들의 관계효익이 뷰티아카데미의 브랜드이미지와 신뢰에 미치는 영향

  • 한수진;이일한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1-85
    • /
    • 2019
  • 뷰티산업은 2000년대 초반 이후 소득수준의 향상과 개성 표현, 웰빙 등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에 부합하여 급속한 성장을 이루어 왔다. 뷰티산업은 헤어미용, 피부미용, 네일아트, 메이크업 등 서비스업과 관련된 미용기기, 용품 등 제조업을 포괄한다. K팝의 영향으로 이미용, 피부미용, 네일, 메이크업 등 K뷰티 서비스에 대한 해외 소비자들의 수요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뷰티 서비스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전문 교육기관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교육생들의 뷰티아카데미 선택 기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뷰티아카데미 수강생들이 느끼는 관계효익을 심리적 효익, 사회적 효익, 경제적 효익, 고객화 효익으로 구분하여 측정하고 이러한 관계효익이 뷰티아카데미에 대한 교육생들의 브랜드 이미지와 신뢰도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각각 분석한 다음 뷰티 아카데미 교육생들의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뷰터 아카데미 운영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메이크업 이미지에 나타난 영화 패왕별희(覇王別姬)와 1989년 미스코리아 당선자의 비교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Movie Farewell My Concubine and Miss Korea Elected in 1989 in The Makeup Image)

  • 박장순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27-34
    • /
    • 2020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사는 현대인에게 외모 관리와 소비 행동은 개인의 가치뿐만 아니라 인간관계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사회생활에서 막중한 역할을 담당하는 이러한 외모 관리를 위하여 메이크업은 헤어미용, 네일미용, 피부미용, 패션 등과 함께 경쟁력을 갖춘 중요수단으로 활용된다. 따라서 영화<패왕별희>에 등장하는 우희와 1989년 미스코리아 당선자들의 눈썹, 눈, 아이라인, 볼, 입술화장, 피부톤 등의 메이크업에 관하여 미용학적인 관점에서 전문적으로 비교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소 과장된 화장기법의 공통분모 속에서 다른 면들이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참신한 메이크업 패턴과 아이템 개발을 위한 다각도 모색이 가능하며, 동시에 메이크업 미용 교육의 기틀 구축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더불어 본 연구는 메이크업 시장에서의 더욱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구축하여 경쟁력을 갖춘 실질적인 발전에도 일조하고자 한다.

파운데이션의 관능적 특성평가와 제품개발에 대한 응용 사례 연구 (Sensory Evaluation of Foundation Product and Application for Product Develpomnent)

  • 김수정;양윤정;선보경;이성호;문성준;장이섭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3-261
    • /
    • 2001
  • 화장품의 사용감은 개개인에 따라 다양한 기호를 나타내며 상대적이고 감성적인 개념들이 우선하게 된다. 이러한 관능특성들을 보다 객관적이며, 과학적으로 고찰하고자 하는 연구분야가 바로 관능평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메이크업 단계 중 베이스 메이크업에 속하는 제품인 파운데이션의 관능 특성을 보다 객관적이며 신뢰성 있게 평가, 분석하는 전문패널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사내 여성을 대상으로 discriminative 및 descriptive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적합한 패널을 선정하였고 일정하게 규정된 일련의 교육과정들을 통해 패널을 훈련시킴으로써 베이스 메이크업 전문 패널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 후 파운데이션에 대해 질감별 제품을 평가하도록 한 후 이러한 방법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신뢰성 있는 통계적 분석법을 이용하여 제품의 사용감 특성이 위치되니 2차원적 공간영역과 제품별 사용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후 분석된 결과를 자사 브랜드 메이크업 라인의 파운데이션 제품에 응용하여 제품을 차별화 시키도록 설계하고 질감별 특징적 사용감과 적합한 특성강도를 제시한 후 이를 나타내는 처방의 제품을 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출시된 제품을 실제 소비자들을 통해 기호형 관능평가를 다시 한번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실제 느끼는 사용감각 특성과 상품개발 계획 시 소구하고자 했던 관능특성이 일치하게 나타나 사용감 설계의 객관성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관능평가를 제품개발에 응용한 활용방안으로 보고자 하였다.

  • PDF

장례메이크업의 적용 방법 (Application of Funeral Make-up)

  • 김미혜;서란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223-235
    • /
    • 2010
  • 장례서비스는 인생의 마지막 단계인 죽음을 다루는 의례절차에 관한 것으로, 복지서비스의 마지막 단계라 할 수 있으며, 고인의 마지막 형태를 복원하는 고전적인 회복기술 수준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생시 모습의 재현 내지는 더 나은 외모로 표현하는 메이크업의 단계로 발전하고 있다. 이는 고인의 마지막 모습을 좋은 모습으로 기억코자 하는 유족들의 요구에 의한 것으로, 시대별로 변화되고 있는 방법들을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장례메이크업은 유족의 요구에 부응하여 죽은 이의 마지막 모습을 아름답게 꾸며줄 수 있는 우리의 장례문화의 가장 주요한 한 과정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향후 장례식장 내에서 고인을 모시는 입관 단계에서부터 꽃 장식, 관보 등의 인테리어, 음향효과, 조명시설, 특수 재료와 함께 연구되어야 할 장례 메이크업을 체계적인 방법으로 실제 적용해 보고, 그 효용성을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메이크업 일러스트레이션 교육 활성화 방안 (An Activation Plan for Make-up Illustration Education)

  • 김경태;최근희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5-12
    • /
    • 2006
  • Make-up illustration is a field of creativity with visible creative and artistic values; its ultimate functions includ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artistic expression, and recording. Establishing the make-up illustration education environment for the twenty-first centur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 curricula for basic art education and illustration education. It is extremely important for educators and institutions teaching make-up illustration to recognize that training of highly creative and professional beau designers through systematic educational structures is the ultimate foundation for enhancing competitiveness of the beauty industry despite the present reality that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and publications on beauty illustration and that there is lack of illustration lecturers and artists equipped with professional beauty knowledge.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search and analyze offering of illustration subjects by 160 beauty-related vocational schools and 16 4-year undergraduate colleges in the make-up field, which is the field with most creative art activities among the three representative beauty majors, namely make-up, hair, and skin. Education of make-up illustration must not remain as simple short-term education. The curricula must be specialized for providing solid foundation of basic majors. In terms of education content, strong emphases must be made for original and creative mark-up designs as well as purposes, functions, and necessity of make-up design and illustration. The curricula must include systematic, logical and artistic elements. Through the course of this study, which researched, analyzed and proposed measures for education content of make-up illustration, it was found that make-up illustration is the most appropriate subject that fulfills both the ultimate education objectives of beauty colleges and the demand by the society for beauty professionals. It is hoped that make-up illustration is emphasized and recognized for its importance and necessity as an education subject so that similar basic major subjects will further be researched and developed for specialized edu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