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사지요법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44초

전문 발 관리실 이용자의 발 반사요법 인식수준 및 관련요인 (Perception Level of Foot Reflex Therapy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Customers using Foot Care Service Centers)

  • 김영호;김범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350-1358
    • /
    • 2013
  • 본 연구는 발 반사마사지를 받는 이용자들의 발 반사요법에 대한 인식수준을 알아보고 그에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고자 2011년 09월 01일부터 10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대전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전문 발 관리실 3곳의 이용자 18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조사대상자의 발 반사마사지요법 인식수준에 대한 평균점수는 $32.19{\pm}5.32$점(11개 항목의 점수범위; 0-44점)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별 발 반사마사지요법 인식수준은 학력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높았다(p=0.020). 조사대상자의 발 반사마사지 요법에 대한 태도 및 실천도에 따른 발 반사마사지요법 인식수준은 "질병치유를 위해서 한다"는 군에서(p=0.034), 발 반사마사지 시작 시 "질병이 있었다"는 군에서(p=0.030). 발 마사지 이용기간이 길수록(p=0.000), 발 반사마사지를 타인에게 "권유 하겠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4). 다중회귀분석 결과 발 반사마사지요법 인식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으로는 발 반사마사지 이용 이유, 발 반사마사지 시작 시 건강상태, 발 반사마사지 이용기간 및 발 반사마사지의 타인에의 권유여부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이들 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26.1%이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볼 때, 전문 발 관리실 이용자들의 발 반사마사지요법 인식수준은 일반적 특성 변수들보다는 발 반사마사지에 대한 태도 및 실천도를 설명하는 변수들과 관련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요통의 주된 원인이 되는 근육질(Muscle Quality)향상을 위한 재활프로그램 모델개발

  • 라웅칠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15-117
    • /
    • 2002
  • 목적: 척추에통증을유발하는주된원인인근육질(Muscle Quality)의저하를향상시키는데있어서비교적안정적인방법(약물혹은수술이아닌요법)을시행하여치료중조직손상과부작용을최소화하면서신속한치료가이루어지는치료방법을찾는데주안점을두었다. 대상및방법: 임상실험기간은6주이었으며대상은평균연령34세(17 $\~$ 42세), 남녀30명,발병된지1년이상지난만성요통환자로서, 치료방법은근육마사지요법과운동요법을선택하였다.1군은근육마사지요법만을시행하였고, 2군은운동요법만을시행하였으며, 3군은근육마사지요법과운동요법을동시에병행하였다. 결과: 유연성측정결과와InBody 3.0에서의체성분결과를토대로분석한결과근육마사지요법만을시행한1군은즉각적인호전현상은보였으나시간경과후6일안으로다시이전의증상이원상복귀되어증상이개선되었다고보기는어려워보였다.한편운동요법만을시행한2군은연령에따른개인차는있었고6주안에만족할만한개선결과를보이지는않았지만증상개선이서서히이루어지고있었다. 그러나근육마사지요법과운동요법을병행한3군은1군과2군의실험결과와2단계이상의통증지수향상이관찰되었다. 결론: 요통의주된원인이되는근육질(Muscle Quality)의향상은근육질에긍정적인영향을주는모든요법중어느한가지를사용하는것보다는보다다각적인치료방법을개발하여적용시킬필요성이있다고사료된다.

  • PDF

소루마사지요법이 노인의 두경부 통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ru Massage Therapy on Pain of the Head and Neck of Elderly)

  • 한채연;신지훈;이미자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1265-1270
    • /
    • 2013
  • 근육의 긴장으로 인한 두경부 통증을 가진 노인을 대상으로 소루마사지 요법을 적용하여 두경부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광주광역시 노인건강센타에서 선정 기준에 적합한 65세 이상 노인에서 실험군 30명, 대조군 16명 총 46명을 대상으로 8주간 주 2회, 총 16회의 소루마사지요법을 30분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경부 통증이 남자와 여자 모두 실험 전, 후에 감소되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남녀를 구분하지 않는 분석에서도 두경부 통증의 실험 전, 후 차이가 유의하였다. 소루마사지요법은 근육의 긴장으로 인한 노인의 두경부 통증의 감소에 유의한 결과를 보여 노인들의 건강유지 및 건강증진,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 널리 적용할 수 있는 중재적 대체요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향요법 발반사 마사지가 치매노인의 인지, 불안, 공격행동 및 배회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n Aromatherapy and Foot Reflex Massage on the Cognition, Anxiety, Aggressive Behavior and Wandering Behavior of Elderly with Dementia)

  • 이선영;이정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495-505
    • /
    • 2013
  • 본 연구는 치매노인에 대한 간호중재로 향요법 발반사 마사지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인지, 불안, 공격행동 및 배회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의 유사실험설계이다. 연구대상자는 실험군 21명, 대조군 22명으로 실험군에는 향요법 발반사 마사지를 2주간 적용하였고 대조군은 2주간 무처치 하여 전체 실험기간은 총 4주간이었다. 자료의 처리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집단간 동질성 검정은 Chi검정과 t검정, 종속 변수에 대한 검정은 t검정, 대조군과 실험군의 사전, 처치 1주, 처치 2주의 효과 변수의 변화에 대한 분석은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 사후분석은 Bonferroni로 검정하였고 유의수준은 p<.05로 하였다. 향요법 발반사 마사지를 받은 실험군에서 불안, 공격행동 및 배회행동의 감소를 가져와 치매노인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간호중재로 사료된다.

중풍 환자의 변비에 대한 경락 마사지의 효과: 체계적 문헌 고찰 (Meridian Massage Therapy for Treating Constipation in Patients with Stroke: a Systematic Review)

  • 이은남;강중원;이명수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7권3호
    • /
    • pp.59-64
    • /
    • 2010
  •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풍 환자의 변비에 대한 증상완화요법으로서의 경락 마사지에 대해 그 임상적인 근거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방법 : 본 연구에서는 언어적인 제한 없이 12가지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개시부터 2010년 4월까지의 문헌을 검색했다. 변비가 있는 중풍 환자를 경락 마사지로 치료한 모든 형태의 임상 연구를 대상으로 하여, 플라시보 대조군 연구나 약물요법 또는 무처치 대조군 연구의 경우를 본 연구에 포함하였으며, 증례 보고나 사례군 연구는 제외하였다. 모든 임상 연구의 방법론적인 질은 Cochrane의 risk of bias analysi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 전체적으로 세 편의 비무작위 배정 대조군 연구와 한 편의 비대조군 관찰 연구가 포함되었다. 모든 연구들은 높은 수준의 risk of bias를 보였다. 세 편의 비무작위 배정 대조군 연구들은 경락 마사지의 효과를 무처치군과 비교하였는데, 중풍 환자의 변비에 대해 경락 마사지의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한편의 비대조군 관찰 연구 역시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모든 연구들은 bias에 노출되어 있었다. 결론 : 경락 마사지가 중풍 환자의 변비에 대해 효과적인 치료법이라는 것을 보여주기에는 현재의 근거가 부족하며, 모든 연구들은 높은 수준의 risk of bias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더욱더 엄격한 연구가 요구된다.

보완요법에 대한 보건진료원의 지식, 태도와 활용 경험 (The Knowledge, Attitude, and Utilization Experience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on Complementary Therapies)

  • 황성호;박재용;한창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7권2호
    • /
    • pp.87-105
    • /
    • 2002
  • 보건진료원들의 보완요법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활용경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 경남 대구 경북 지역에서 연차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보건진료원 393명을 대상으로 2002년 2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직접 면담 및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1가지 보완요법 각각에 대한 보건진료원의 관심률은 수지침이 75.3%로 가장 높았고 향기요법 71.0%, 한방요법 68.4%, 마사지 67.4%, 지압 64.6% 등의 순이었으며, 동종요법이 23.4%로 가장 낮았다. 치료효과에 대한 신뢰율은 한방요법이 92.6%로 가장 높았고 수지침 85.5%, 마사지 83.7%, 지압 81.7% 등의 순이었고, 동종요법은 18.1%로 가장 낮았다. 보완요법을 환자에게 권유한 경험은 한방요법 65.1%, 수지 침 50.4%, 마사지 44.8%, 지압 34.4%, 향기요법 27.5% 등의 순이었으며, 동종요법이 2.8%로 가장 낮았다. 보완요법의 학습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수지침 33.1%, 한방요법 13.2%, 향기요법 11.2%, 마사지 8.4%, 지압 5.6% 등의 순이었으며, 동종요법의 학습 경험자는 한명도 없었다. 지난 5년간 보완요법을 직접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한방요법 23.9%, 수지침 18.8%, 향기요법 5.9%. 마사지 5.3%, 지압 5.1% 등의 순이었고 동종요법은 이용 경험자가 없었다. 이용 경험이 있는 모든 보완요법에서 치료 효과가 있었다는 응답자가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부작용의 사례는 매우 적었다. 각각의 보완요법에 대해 보수교육이나 공무원 교육 훈련시 하나의 교육과정으로 도입하기를 희망하는 비율은 수지침 78.1%, 한방요법 69.2%, 향기요법 67.9%, 지압 63.9%, 마사지 63.1% 등의 순이었다. 보건진료원들의 일차진료시 보완요법 사용 희망률은 수지침 63.6%, 마사지 52.9%, 향기요법 51.9%, 한방요법 50.1% 등의 순이었으며, 카이로프락틱과 동종요법은 각각 170%, 12.2%로 매우 낮았다. 대상 보건진료원의 지난 5년간 보완요법 시술경험률은 수지침 8.4%, 한방요법 4.6%, 마사지 2.5%, 향기요법 2.5% 등의 순이었고 봉침요법과 동종요법을 시술한 경험자는 없었다. 시술받은 환자의 반응은 대부분이 긍정적이라고 하였으며, 부작용의 사례는 매우 낮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보완요법에 대한 보건진료원들의 관심, 신뢰, 권유 경험률 등은 높았지만 실제 학습 경험률은 매우 낮았다. 또한 실제 이용과 시술경험을 통해 부작용의 문제가 없었으며,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보완요법에 대해서는 교육과정으로 도입하기를 희망하였다. 따라서 지역주민들에게 보완요법 선택과 관련하여 제공하고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보완요법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건진료원에 대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보안요업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양.한방 혼합 마사지요법이 만성두통 환자의 두통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Headaches and Quality of Life with the Combined Western-Oriental Medicine Massage Program for Chronic Headache Patients)

  • 김정순;김명수;이상주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0-179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combined Western and Oriental medicine headache massage program for chronic headache patients. Methods: This study was designed using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forty nine patie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25 patients) and a control group (24 patien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hi-test, t-test, Fisher's exact test, Repeated measures ANOVA using SPSS/WIN 14.0 program. Results: After treatment in this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had no significan difference in scores for headache intensity and frequency as the length of time in treatment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use of medication (F=4.209, p=.046) and disturbances in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headaches (F=13.097, p=.001) after providing the combined Western-Oriental massage program. Conclusion: This program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using medication for pain controllers and headache related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 focusing on the effectiveness of unique nursing intervention for chronic headache patients is suggested.

미용대체요법이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복합적 영향 (Complex Effects of Alternative Beauty Therapy on Stress Relaxation)

  • 권혜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331-336
    • /
    • 2018
  • 본 연구는 평소 자신의 업무에 대하여 지각하는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30~40대 직장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미용대체 요법이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을 분석하여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여성 직장인들이 받는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건강하고 아름다운 삶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미용요법은 향기요법과 건식 이완 마사지를 15분간 시행하였으며, 시행 전 설문을 통하여 스트레스 지수를 확인하였다. 실험은 주1회 4주간 시행되었고 결과 측정은 타액 내 코티졸의 농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 전 스트레스 지수 평균은 3.97로 높게 나타났으며, 실험 후 대상자들의 코티졸 농도는 유의하게(p<0.05) 낮아졌고 특히, 기혼과 부양책임을 가진 대상자들에게서 더 많은 변화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향을 이용한 건식이완 마사지는 스트레스가 심한 30~40대 여성들의 심신 안정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미용적 방안을 잘 적용한다면 스트레스 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중년여성의 복부비만감소에 영향을 주는 향기요법마사지 효과 (Effectiveness of Aromatherapy Massage on Abdominal Obesity among Middle Aged Women)

  • 한선희;양복순;김희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839-846
    • /
    • 2003
  • Purpose: Objectives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romatherapy massage among middle aged women with abdominal obesity. Method: AB/BA crossover design of random blind assignment was applied. Aromatherapy and placebo massage were given to Group(A), Group(B), each groups applied each massages for 2weeks alternatively. Weight, abdominal circumference and appetite were compared for results check among the subjects. Result: The apparent effectiveness of Aromatherapy Massage in reducing weight, abdominal circumference and appetite was noted. Conclusion: On the basis of results, they strongly support the facts of reduction of abdominal obesity by applying aromatherapy massage for middle aged women.

향요법 발반사 마사지가 치매노인의 정서, 수면장애 및 배회행동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romatherapy and Foot Reflex Massage on Emotion, Sleep Disturbance, and Wandering Behavior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

  • 이선영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17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romatherapy and foot reflex massage on emotion, sleep disturbance and wandering behavior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 Methods: This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A total of 39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romatherapy and foot reflex massage was administrated to experimental group (N=19). There was no treatment for the control group (N=20).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18.0 program. Results: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 sleep disturbance and wandering behavior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aromatherapy and foot reflex massage program was effective on emotion, sleep and decreasing a wandering behavior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 This research suggests that aromatherapy and foot reflex massage could be recommended as a nursing intervention for enhancing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