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또래의사소통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3초

고등학생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의사소통과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변상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0년도 통합학술대회
    • /
    • pp.243-259
    • /
    • 2010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의사소통이 사회적 효능감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의사소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사회적 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과 사회적 효능감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또래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생들에게 유익한 프로그램이라 여겨지며 학교에서 적극적으로 이 프로그램이 활용되어야 한다고 본다.

  • PDF

부모의 온정 및 의사소통, 또래 환경이 아동의 공평성 추론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Children's Percceived Parental Warmth Communication Peer Environment and Their Distributive Justice Reasoning)

  • 송인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3권2호
    • /
    • pp.103-111
    • /
    • 1995
  •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내 국민학교 3, 4학년이 190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부모의 온정 및 의사소통과 또래 환경에 대한 지각이 아동의 공평성 추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분석을 위하여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빈도분포, 최저값, 최소값, 일원 변량분석과 $Scheff\'{e}검증$, Cronbach의 a값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즉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온정 및 의사소통과 또래 환경에 대한 지각이 아동의 공평성 추론에 별 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다. 반면에 아동이 지각한 또래 환경 중 또래의 지지와 교환적 협동은 아동의 공평성 추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PDF

청소년의 SNS 중독이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관계의 조절효과검증 (A Study on The Effects of Cyber-Bullying in Adolescents on SNS Addic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Friendship)

  • 전지형;김리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499-506
    • /
    • 2021
  • 본 연구는 청소년의 SNS 중독이 사이버불링 가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또래애착관계(또래의사소통, 또래신뢰, 또래소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중·고등학생 811명으로, 남학생 391명, 여학생 420명이었다. 분석결과 SNS 중독 수준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사이버불링 가해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의 SNS 중독과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의 관계에서 또래애착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또래의사소통과 또래신뢰 수준이 청소년의 SNS 중독과 사이버불링 가해 행동 사이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래의사소통과 또래신뢰 수준이 높을수록 SNS 중독 수준이 높은 청소년의 사이버불링 가해 행동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SNS 중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은 사전 진단 프로그램의 대중화, 또래집단 간의 올바른 의사소통 방식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진행, SNS에 중독된 청소년들의 또래집단 관계에서의 정서적·인지적 상황에 대한 사정 과정을 거쳐 폭력 가해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상담 등의 청소년의 SNS중독과 사이버불링에 대한 실천적 개입 방안과 연구의 한계를 제언하였다.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인문계 고등학생의 의사소통기술과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eer Counseling Program on the Communication Skills and Social Efficacy in High School Students)

  • 변상해;김세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466-476
    • /
    • 2011
  • 본 연구는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과 사회적 효능감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A시에 소재한 C고등학교 1학년 학생 중 연구에 참가를 희망하는 16명을 모집하여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전 검사 검정과 사후 검사 검증, 그리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내 사전-사후 검증에 대해서는 비모수적 통계인 Mann-Whitney U test와 Wilcoxon Signed Ranks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의사소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사회적 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과 사회적 효능감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또래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생들에게 유익한 프로그램이라 여겨지며 학교에서 적극적으로 이 프로그램이 활용되어야 한다고 본다.

A Study on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Chang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 Kim, Hyung-Hee;Park, Hwies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189-195
    • /
    • 2021
  • 본 연구는 청소년기 다문화수용성의 종단적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다문화수용성의 예측변인들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아동·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한국아동·청소년 패널 자료 가운데 중학교 1학년 패널의 3차, 5차, 6차 1,972명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자료 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은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고 증가의 폭은 3차년(중학교 3학년)에서 5차년으로 넘어가는 시점의 변화의 폭이 컸다. 둘째, 다문화수용성 예측 변인으로 초기치에서는 또래의사소통, 공동체의식의 결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변화율에서는 삶의 만족도, 또래의사소통, 공동체의식의 결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기 다문화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래교수가 또래교사의 수학적 성향과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Peer Tutoring on Mathematical Inclination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of Peer Tutors)

  • 정미진;권성룡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1호
    • /
    • pp.127-153
    • /
    • 2011
  • 수학학습에서의 개인차의 문제를 해결하는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가 교실에서 이뤄지는 또래교수이다. 일반적으로 또래교수는 기본학습과정을 먼저 끝낸 학습우수아가 기본학습과정을 이수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학습부진아를 도와주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따라서 대부분의 또래학습에 관한 연구가 또래교사보다는 또래학습자의 학습에 초점을 맞춰왔고 이런 이유로 부진아 지도를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연구되어졌다. 그러나 또래교수가 학습 부진아에게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지라도 또래교사에게는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한할 뿐 아무런 이득이 되지 않는다면 효율적인 교수학적 방법이라고 보기 어렵고 윤리적이지도 못하다. 본 연구는 또래교수가 또래교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또래교수가 이뤄지기 전과 후의 또래교사의 수학적 성향과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 PDF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담임교사와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otion Coaching Program using Animation on Infant's Peer Competence and Communication with Teachers in charge)

  • 윤수진;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4권2호
    • /
    • pp.27-5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담임교사와의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유아 만 5세 3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5명, 통제 집단 15명을 구성하였다. 실험집단 만 5세 유아 15명을 대상으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을 주 1회 50분씩 총 7회로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주 내용은 다양한 감정 장면을 통해 만5세 유아들의 감정의 명명화와 나의 감정을 인식하고 타인의 감정을 공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또래 유능성, 담임교사와의 의사소통(사회적 능력검사)을 사전, 사후, 추후(코칭 종료 4주 후)로 실시한 결과, 또래 유능성과 담임교사와의 의사소통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프로그램 지속성도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한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논의하였다.

  • PDF

또래애착, 공동체 의식, 다문화 수용도가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eer Attachment, Community Spirit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on School Life Adaption in Children)

  • 김영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321-331
    • /
    • 2014
  • 본 연구는 아동들이 인지하고 있는 또래애착, 공동체 의식, 다문화 수용도가 학교생활 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또래집단간의 의사소통, 신뢰, 소외, 공동체의식, 다문화수용 정도에 따라 학교생활 적응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연구결과에 대한 포괄적이고 객관화시킬 수 있는 강점을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학교 내에서 또래집단간의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고 신뢰 관계가 잘 형성되어 또래애착관계가 높을수록, 공동체 의식이 높게 형성될수록,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수용 정도가 높은 아동일수록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는 또래애착, 공동체의식, 다문화 수용도 순으로 영향력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의 또래집단간의 친밀감을 향상시키고, 학교에서 공동체 생활에서의 기본적 규범 준수와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려는 마음을 키우고, 다문화에 대한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는 교육을 통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시설거주여부,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초기 청소년의 의사소통 기술과 또래관계 질 (Preadolescent Communication Skills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by Institutionalization, Sex, and Age)

  • 김진경;유안진
    • 아동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1-135
    • /
    • 2002
  • This study compared preadolescent communication skills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by institutionalization, sex, and age and tested the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skills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The subjects were 98 institutionalized and 115 homereared preadolescents. Interviews measured the communication skills of persuasive, comforting, and listener-adapted abilities.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was investigated through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both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institutionalized and homereared subjects in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and in communication skills by sex, and ag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skills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