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Emotion Coaching Program using Animation on Infant's Peer Competence and Communication with Teachers in charge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담임교사와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 Yun, Soojin (Department of industrial psychology, Kwangwoon university) ;
  • Tak, Jinkook (Department of industrial psychology, Kwangwoon university)
  • 윤수진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 탁진국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Received : 2020.10.12
  • Accepted : 2020.12.10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 emotion coaching program using animation(the program) on infant peer competence and communication with teachers in charge (teachers). To this end, 30 infants aged 5 years residing in the Seoul area were selected to form 15 experimental groups and 15 control groups. An emotional coaching program using animation for 15 children aged 5 yea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7 times a week for 50 minutes each. The main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organized to name the emotions of children aged 5 years old through various emotion scenes, to recognize my emotions and to empathize with the emotions of other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eer competence and communication with the classroom teacher (social competency test) were conducted before, after, and after (4 weeks after the end of coaching). As a result, both peer competence and communication with the classroom teacher were significant. And the program continuity was verified.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담임교사와의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유아 만 5세 3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5명, 통제 집단 15명을 구성하였다. 실험집단 만 5세 유아 15명을 대상으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을 주 1회 50분씩 총 7회로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주 내용은 다양한 감정 장면을 통해 만5세 유아들의 감정의 명명화와 나의 감정을 인식하고 타인의 감정을 공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또래 유능성, 담임교사와의 의사소통(사회적 능력검사)을 사전, 사후, 추후(코칭 종료 4주 후)로 실시한 결과, 또래 유능성과 담임교사와의 의사소통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프로그램 지속성도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한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논의하였다.

Keywords